$\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콘크리트 배합조건에 따른 수축저감제의 건조수축 특성
Drying Shrinkage Characteristics of the Concrete Incorporated Shrinkage Reducing Agent According to Mixed Proportion of Concrete 원문보기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v.17 no.3, 2017년, pp.245 - 252  

김영선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LOTTE Engineering & Construction) ,  김광기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LOTTE Engineering & Construction) ,  박순전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LOTTE Engineering & Construction) ,  김정선 (R& D Center Group 1, SILKROAD C& T)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소비패턴의 변화에 따라 대형마트, 아울렛 및 물류창고 등과 같은 구조물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조물들은 초평탄 바닥부재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소성 및 건조수축에 의한 슬래브 부재의 균열 억제 관리를 철저하게 실시한다. 슬래브 부재의 균열을 억제하기 위한 방안으로 화학적 균열저감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특히 수축저감제에 대한 사용검토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국내 연구결과는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축저감제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수축특성과 배합요인 변동에 따른 건조수축 특성을 검토하였다. 국내 수축저감제는 해외 고급형 수축저감제와 성능이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축저감제 사용량이 증가할수록 건조수축 억제 효과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축저감제 1.5%를 사용한 시험체는 재령 100일에서 수축저감제를 사용하지 않은 시험체에 비해 건조수축량이 약 절반으로 나타났다. 또한, 혼화재료 사용에 대해 특별한 성능변화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structures such as large retailers, outlets and warehouses have been increasing in accordance with changes in consumption patterns. Since these structures include ultra-flat slab members, they are thoroughly managed to control slab cracking by the plastic and drying shrinkage. In order to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생산되는 수축저감제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특성과 배합 요인 변동에 따른 건조 수축 특성 검토 결과를 제시함으로서 건설 산업에서 수축저감제 성능에 대한 이해도 및 적용성을 높이는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수축저감제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수축특성과 배합요인 변동에 따른 건조수축 특성을 검토하였다. 국내 수축저감제는 해외 고급형 수축저감제와 성능이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축저감제 사용량이 증가할수록 건조수축 억제 효과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슬래브 부재의 문제점은? 한편, 최근 소비 패턴의 변화에 따라 증가하고 있는 대형마트, 아울렛 및 물류창고 등은 일반 구조물과 달리 슬래브 부재의 성능이 특히 높게 설정되어 있으며, 슬래브 부재는 대단위 면적에 비해 얇은 두께를 가지고 있어 소성 및 건조 수축에 의해 균열이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바닥 부재의 사용성이 중요시 되는 구조물들은 바닥 균열 발생을 엄격하게 관리하고 있으며, 품질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콘크리트의 수축을 저감시키기 위한 검토가 다양하게 수행되고 있다[1,3,4,5].
콘크리트 구조물에 발생하는 균열이란? 건축물의 장수명화에 대한 요구의 증가와 함께 콘크리트의 품질, 특히 균열에 관한 사회적인 관심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에 발생하는 균열은 콘크리트를 습식으로 생산하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수축에 의한 결함으로 콘크리트 역사와 함께 이를 억제하기 위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왔다.
기존 콘크리트 수축에 대한 균열 대책의 문제점은? 재료적 관점에서 콘크리트 수축에 대한 균열 대책은 석회암 골재, 팽창재 및 수축저감제의 사용이 일반적인 방법으로 인지되고 있다. 그러나, 석회암 골재는 장거리 운송에 의한 비용 및 환경 부하의 증대가 문제 시 되고 있으며, 팽창재에 관해서는 첨가 시점에 의한 비빔 부족으로부터 발생하는 펌프아웃 등의 위험성이 있으며, 수축저감제는 비용 증가에 의해 사용 실적이 매우 미미한 상황이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Kim YS, Kim KK, Lee JH, Kim BS, Kim JS. Experimental study on dry shrinkage deformation of concrete with popular shrinkage reducing admixtur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annual convention. 2016 May;16(1):151-2. 

  2. Tsujino M, Yuasa R, Hashida H. Cracking reduction method using admixture slurried with expansive additive and shrinkage reducing agent. Shimizu Corporate Report. 2015 Jan;92:51-8. 

  3. Kim YS, Kim KK, Lee JH, Jang SH, Lee SH. Experimental study on drying shrinkage of concrete with crack reduction method. Korea Concrete Institute annual convention. 2016 Nov;28(2):589-90. 

  4. Woo HM, Park HG, Lee YD. An experimental study on durability of mortar and concrete using shrinkage reducing typed superplasticizer.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n Building Construction. 2016 Dec;16(6):561-9. 

  5. Seo JH, Lee JH, Lee KS, Jeon BK, Kim JS, Lee HK. Application of shrinkage-reduced concrete to mitigate cracks of slab in parking garages. Korea Concrete Institute annual convention. 2012 May;12(1):197-200. 

  6. Irene Battaglia MS., Gary Whited PE, Ryan S. ECLIPSE shrinkage reducing admixture product evaluation, final report, Wisconsin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2008. 18 p. 

  7. The Concrete Society. Industrial Ground Floors (A Guide to Design and Construction). 4th ed; 2014. 88 p. 

  8. Silkroad C&T.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of the Popular Comples-Functional Concrete Crack Reducing Agent for Long-Life Structures. 1st ed. Seoul: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6. 64 p. 

  9. Architectural Institute of Japan. State-of-the-Art Report on Concrete with Expansive Additive/Shrinkage Reducing Admixture; 1st ed. Japan: Architectural Institute of Japan; 2013. 350 p. 

  10. Yuan J, Lindquist W, David D, Browning J. Effect of slag cement on drying shrinkage of concrete. ACI Material Journal. 2015 Mar;112(2):267-76. 

  11. Yang WH, Ryu DW, Kim WJ, Park DC, Seo CH. An experimental study on early strength and drying shrinkage of high strength concrete using high volumes of ground granulated blast-furnace slag(GGB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2013 Aug;13(4):391-9. 

  12. Park JW, Lee GC, Gao S. Drying shrinkage and pore structure of blast furnace slag concrete mixed alkaline stimulation.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annual convention. 2016 Oct;16(2):32-3. 

  13. Han MC, Han DY, Lu LL. Effects of incineration waste ash and gypsum substitution on the properties of blast furnace slag mortar using recycled aggregat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n Building Construction. 2015 Apr;15(2):161-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