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설용량을 초과하는 폐수량의 유입확률 분석을 위한 극치분포모델의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he extreme value distribution model for analysis of probability of exceeding the facility capacity 원문보기

上下水道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v.30 no.4, 2016년, pp.369 - 379  

최성현 (중앙대학교 토목공학과) ,  유순유 (중앙대학교 토목공학과) ,  박태욱 (중앙대학교 토목공학과) ,  박규홍 (중앙대학교 토목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was confirmed that the extreme value distribution model applies to probability of exceeding more than once a day monthly the facility capacities using data of daily maximum inflow rate for 7 wastewater treatment plant. The result of applying the extreme value model, A, D, E wastewater treatment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2009년 1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5년간 국내 6개의 폐수종말처리시설을 대상으로 하였는데 1개는 2개의 폐수종말처리시설로 나누어져 있어 총 7개의 폐수종말처리시설의 일별 수질 및 부하량은 제외한 일별 폐수유입량 자료를 바탕으로, 각 처리시설의 처리용량을 초과하여 유입될 확률을 극치분포모델을 이용해 적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이를 통하여 기존의 연간폐수 유입률 관점에서 판단하고 있는 유입률저조에 대한 비교 평가와 동시에 폐수유입률을 확률개념으로 월별 일초과확률로 기준 설정의 타당성 여부를 판단하였다.
  • 자료를 바탕으로 얻어진 모델이 실제 자료를 잘 표현하는지 여부는 모델로부터 얻어진 결과의 신뢰성을 판단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이를 검토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자료의 분포함수와 모델의 분포함수를 직접 비교해 보는 것으로 모델 진단을 해보기로 한다. Fig.
  • 본 연구에서는 폐수유입량 변화에 극치분포모형을 적용해 기존의 연간 평균폐수유입률을 활용한 시설용량 산정에 있어 월별 일초과확률로 기준을 설정할 수 있는지에 대한 타당성을 분석하였다.
  • 폐수유입량의 시간적 변화에 확률개념을 도입함으로써, 일간 폐수량이 서로 독립적이지만 동일한 확률분포를 따르는 확률변수라면 주, 달 또는 년과 같은 특정 기간에 대한 일간 폐수유입량의 최대값과 최소값은 극치분포를 따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폐수유입량 변화에 극치분포모형을 적용해 기존의 연간 평균폐수유입률 관점에서 판단하고 있는 유입률 저조에 대해 비교 평가하는 동시에 확률개념의 폐수유입률을 활용하여 월별 일초과확률로 기준을 설정할 수 있는지에 대한 타당성 여부를 판단해 보고자 한다.
  •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 제51조 및 시행령 제71조에서 폐수종말처리시설로 오폐수를 유입하여야 하는 자를 정하고 있으며, 환경부 폐수종말처리시설에 적용되는 비용부담규정 제4조에서 처리시설에 폐수를 유입하고자 하는 경우에 관리기관의 사전승인(변경포함)을 받도록 하고 있다. 폐수처리시설은 여러 일련의 공정을 통해 오염물을 제거함으로써 오염농도를 배출수허용기준 미만으로 줄여야 하는 기본적인 기능을 수행해야 하며, 이는 폐수량과 함께 고려하여 오염 부하량을 줄이는 기여를 하게 되므로 수량과 수질을 복합적으로 고려해야 하지만, 폐수유입량 승인제도를 고려하여 우선적으로 폐수종말처리시설로 유입되는 폐수량에 초점을 두고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폐수종말처리시설의 설치 상황은 어떠한가? 환경부(2014)의 「2013년 폐수종말처리시설 운영 및 관리실태 평가결과」에 의하면 산업단지에서 발생하는 오ㆍ폐수를 처리하기 위하여 설치된 폐수종말처리시설은 162개소로 국가산업단지는 12개소, 농공단지는 74개소, 지방산업단지는 76개소가 설치되어있다. 폐수종말처리시설은 기본계획에서 처리대상지역, 오염원의 분포 및 폐수유입량과 그 예측에 관한 사항, 처리능력 등을 고려하여 설계하고 설치되기 때문에 그 처리시설에서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인 시설용량, 유입오염부하량, 처리대상물질, 방류수 수질기준 범위 내 처리 등에 대한 한계를 가지고 있다.
폐수종말처리시설 설계 및 설치 시 고려사항은 무엇인가? 환경부(2014)의 「2013년 폐수종말처리시설 운영 및 관리실태 평가결과」에 의하면 산업단지에서 발생하는 오ㆍ폐수를 처리하기 위하여 설치된 폐수종말처리시설은 162개소로 국가산업단지는 12개소, 농공단지는 74개소, 지방산업단지는 76개소가 설치되어있다. 폐수종말처리시설은 기본계획에서 처리대상지역, 오염원의 분포 및 폐수유입량과 그 예측에 관한 사항, 처리능력 등을 고려하여 설계하고 설치되기 때문에 그 처리시설에서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인 시설용량, 유입오염부하량, 처리대상물질, 방류수 수질기준 범위 내 처리 등에 대한 한계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공장의 생산량 변화와 신규 공장의 설치로 인하여 폐수의 발생량과 유입수질이 변하여 장래 폐수 유입조건이 달라질 수 있다.
폐수종말처리시설의 일최대유량을 계산 시에 기존의 연간 폐수유입량 관점에서는 유입률이 저조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일간 폐수유입량 관점에서 판단한다면 그렇지 않다는 것이 의미하는 바는 무엇인가? 따라서 기존의 연간 처리용량과 연간 폐수유입량 관점에서는 유입률이 저조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본 연구에서 알아본 바와 같이 일간 폐수유입량 관점에서 판단을 한다면 폐수종말처리시설에 유입되는 유입유량이 시설용량에 비해 결코 저조한 것이 아닌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기존의 연간처리용량과 연간유입량을 단순 평균 비교하여 처리시설유입량의 과소를 평가하는 것은 문제가 있음을 의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Bell. V. A., A. L., Jones. R. G., Moor. R. J. and Reyard. N. S. (2009). Use of soil data in a grid-based hydrological model to estimate spatial variation in changing the UK. Journal of Hydrology, vol. 377, No 3-4, pp. 335-350. 

  2. EPA (2003), CFR(code of Federal Regulations) Parts 133-Secondary Treatment Regulations. 

  3. Lee, H. P. (2012), An Analysis on Stormwater Capacity of Sewer System in Non-stationary State Using Generalized Extreme Value Distribution,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Chung-Ang University. 

  4. Lee, H., Ryu, J., Yoo, S., and Park, K. (2012). Analysis of generalized extreme value distribution to estimate stormwater capacity of sewer system under climate change,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26(2), 321-329. 

  5. Ministry of Environment (2015). 2015 Industrial wastewater treatment and buffer storage facilities Budget Highlights. 

  6. Ministry of Environment (2008). Guideline for industrial wastewater treatment facilities operation & management performance evaluation. 

  7. Ministry of Environment (2014). 2013 Industrial wastewater treatment facilities operation & management state evaluation. 

  8. Ministry of Environment (2015), Study on improvement of industrial wastewater treatment facilities installation, operation & management. 

  9. Ministry of Environment (2014), 2013 industrial wastewater treatment facilities operation state. 

  10. Ministry of Environment (2009), Evaluating the feasibility of standard for effluent of wastewater treatment plants by probability concept. 

  11.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06), Industrial Wastewater & Best Available Technologies : Performance, Reliability and Economics(II) 

  12. Semadeni-Daviesa, A., Hemebringb, C., svenssonb, G. and Gusfssonc, L.G. (2008). The inpacts of climate change and urbanisation on drainage in Heldingborg, Sweden : Conbined seweraystem, Journal of Hydrology, Vol. 350, No. 1-2, pp. 100-1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