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ituation of domestic patents in Korea on natural products and to provide directions for developing and applying herbal medicinal products by in-depth analyses. Methods : Combinations of words, such as "A61K" or "A61P", "herb" or "Korean medic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전 세계적인 동향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위와 같은 분석이 필수적이나 정밀한 분석을 동반하지 않아 유관 기관에게 시사점을 제공하기는 부족한 측면이 있다. 따라서 이번 연구는 천연물 신약 관련 국내 특허를 정밀하게 분석하여 관련분야 연구자, 유관 기관 및 기업들에게 현황을 파악가능하게 하고 향후 특허 개발 및 출원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 이 연구는 국내에 등록된 천연물 신약 관련 특허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천연물 신약 특허 분석과 관련해서는 기존 연구에서도 종종 다루어져 왔지만, 전 세계적인 동향을 분석하는데 초점을 맞추어 우리나라 기관/기업들에게 구체적인 시사점을 주기 어려웠다.
  • 특히, 본 연구에서는 기술/질병 분야를 미리 분류하고, 이에 해당하는 특허의 개수 및 내용을 분석하는 방법이 아니라 클러스터맵을 활용하여 천연물을 중심으로 한 해석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를 통해, 기술/질병 분야별로 단순히 특허건수를 집계하는 것 이외에도 어떠한 질병 치료를 위해 어떠한 천연물이 활용되었는가를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한 가지 천연물이 다양한 질병의 치료에 활용될 경우 다수의 해당 질병을 그룹화 하여 보여주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국과 유럽에서는 천연물 신약을 무엇이라고 부르는가? 천연물 유래 의약품은 국가에 따라 생약(crude drug), 생약제제(herbal medicinal preparation), 천연물의약품(botanical drug), 식물제제(HMP : herbal medicinal product) 등으로 다양한 용어로 불린다. 미국에서는 공식적으로 식물성 약품(botanical drug)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고, 유럽에서는 생약의약제품(HMP: herbal medical product)라고 부르고 있다. 중국에서는 이를 중약(TCM: traditional Chinese medicine)으로 표시하며, 1~6류로 분류하고 있다.
신약은 무엇으로 나누어지는가? 일반적으로 신약은 화합물(chemical), 바이오(biotech), 천연물(natural) 신약으로 나뉜다. 천연물은 광의로 자연계에서 얻을 수 있는 동식물, 광물 및 미생물과 이들의 대사산물을 모두 칭하는데, 우리나라 『천연물신약연구개발촉진법 (약칭 천연물 신약개발법)』에 의하면 “천연물신약”이란 천연물 성분을 이용하여 연구⋅개발한 의약품으로서 조성성분⋅효능 등이 새로운 의약품을 말한다2).
특허분석은 어떤 정보를 제공하며 어떻게 활용되는가? 특허분석은 발명에 대한 내용은 물론, 출원 및 등록 날짜, 기술 분야, 선행기술과의 관계 등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기술의 변화를 추적하는데 매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8). 특허분석은 발명에 대한 내용은 물론, 출원 및 등록 날짜, 기술 분야, 선행기술과의 관계 등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기술의 변화를 추적하는데 매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9). 또한 정부가 권리를 부여하고 있기 때문에 권리의 행사 측면에 있어서도 합법성과 정당성을 충분히 가질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 2014 천연물 의약품 글로벌진출 전략보고서. 성남시: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 2014. 

  2. 천연물신약연구개발촉진법 제2조(정의) http://www.law.go.kr/법령/천연물신약연구개발촉진법/(11690,20130323) 

  3. Reekie, W.D. Patent data as a guide to industrial activity. Research Policy. 1973;2(3): 246-264. 

  4. Simmons, E.S. Prior art searching in the preparation of pharmaceutical patent applications. Drug Discovery Today. 1998;3(2):52-60. 

  5. Wagner, S., Wakeman, W. What do patent-based measures tell us about product commercialization? Evidence from the pharmaceutical industry. Research Policy. 2016; 45(5), 1091-1102. 

  6. 특허청. 천연물 신약 연구개발 분야 특허동향. 대전. 2010. 

  7. 특허청. 천연물 의약품 특허동향조사. 대전. 2012. 

  8. Ernst, H. Patent portfolios for strategic R&D planning. Journal of Engineering and Technology Management. 1998;15(4):279-308. 

  9. IMS Knowledge Link Global Botanical Drug Business Strategy Development, IMS Consulting Group Report (2013) 

  10. Narin, F., Noma, E., Perry, R. Patents as indicators of corporate technological strength. Research Policy. 1987;16(2-4):143-155. 

  11. Narin, F. Patent bibliometrics. Sceintometrics. 1994;30(1):147-155. 

  12. Huang, M.H., Chiang, L.Y., Chen, D.Z. Constructing a patent citation map using bibliographic coupling: A Study of Taiwan's high-tech companies. Scientometrics. 2003;58(3): 489-506. 

  13. Van Eck, N. J. and Waltman, L. Software survey: VOS viewer, a computer program for bibliometric mapping. Scientometrics. 2010; 84(2):523-538. 

  14. Kay, L., Newman, N., Youtle, J., Porter, A.L., Rafols, I. Patent overlay mapping: Visualizing technological distance.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4;65(12):2432-2443. 

  15. Liu, Y., Sun, Y.. China Traditional Chinese Medicine(TCM) Patent Database. World Patent Information. 2004;26(1):91-96. 

  16. Kartal, M. 2007.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in natural product drug discovery, traditional herbal medicine and herbal medicinal products. Phytotherapy Research 21, 113-119. 

  17. Sahoo, N., Manchikanti, P., Dey, S.H. Herbal drug patenting in India: IP potential.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2011;137(1):289-297. 

  18. Cheng, J., Xiao, S., Liu, T. Analysis of active patents to investigate the frequency and patterns of Chinese herbal extract combinations claiming to treat heart disease. Journal of Traditional Chinese Medical Sciences. 2016;In Press. 

  19. 박상희. 천연물 추출 화장품 특허동향. 보건산업기술동향, 통권. 2002(9):72-5. 

  20. 손은수, 김상우, 강종석, 이상필. 천연물유래 화장품 소재의 기술개발 동향 및 특허정보분석. Applied Chemistry. 2004;8(2):466-9. 

  21. 이한영. 최신특허 동향-천연물 화장품. BT NEWS. 2007;14(4):35-41. 

  22. 장일무. 천연물산업의 동향과 약용식물 활용. 한국작물학회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02;47(1):28-37. 

  23. 김동현, 박노형, 손태일, 이준우, 나재식. 키토산과 글루코사민의 최근 특허동향 분석. 한국키틴키토산학회지. 2009;14(4):182-7. 

  24. 진희정, 이영섭, 유하나, 이시우. 미병 특허 동향 조사.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15;19(3):21-28. 

  25. Zhu, S., Takigawa, I., Zeng, J. and Mamitsuka, H. Field independent probabilistic model for clustering multi-field documents. Information Processing and Management. 2009;45(5):555-570. 

  26.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성남. 2010. 

  27. 생명공항정책연구센터. 천연물 유망산업 동향. 대전: 2015. 

  28. IMS Knowledge Link Global Botanical Drug Business Strategy Development, IMS Consulting Group Report. 2013. 

  29. 국가생명연구자원정보센터(한국생명공학연구원). 2014 국가생명연구자원 통계자료집. 대전: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