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입자추적모델을 이용한 마산만 북부 해역에서의 육상오염물질 확산 수치모의
Numerical Simulation for Dispersion of Anthropogenic Pollutant in Northern Masan Bay using Particle Tracking Model 원문보기

水産海洋敎育硏究 =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v.28 no.4 = no.82, 2016년, pp.1143 - 1151  

김진호 (부경대학교) ,  정우성 (부경대학교) ,  홍석진 (국립수산과학원) ,  이원찬 (국립수산과학원) ,  정용현 (부경대학교) ,  김동명 (부경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study the dispersion process and residence time of anthropogenic pollutant in Masan bay, a three-dimensional hydrodynamic model coupled to a particle tracking model, EFDC, is applied. Particle tracking model simulated the instantaneous release of particles emulating discharge from river and was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입자추적 모델을 이용하여 육상기인 오염물질의 이동 및 확산범위를 예측하였다. 이를 통해 각 부하지점에서 유입된 오염물질이 마산만 북부 내만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 본 연구는 마산만 해역에 있는 하천 및 하수처리장에서 유입된 오염물질의 확산 특성을 예측하였다. 이를 위해 마산만에 입자추적모듈이 포함된 해수유동모델을 이용하였으며, 마산만 북부내만에 잔류하는 입자의 수를 파악함으로써 오염물질의 영향을 정량적으로 파악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입자추적 모델을 이용하여 육상기인 오염물질의 이동 및 확산범위를 예측하였다. 이를 통해 각 부하지점에서 유입된 오염물질이 마산만 북부 내만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가설 설정

  • 입자추적모델 계산을 통해 덕동하수처리장에서 방류된 5,040개 중 약 13%인 660개의 입자가 북부해역으로 유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전의 연구들과 같이 입자추적모델의 계산에 있어서 입자를 일시적으로 방류하며, 입자를 분해되지 않는 물질로 가정하였다(Gomez-Gesteira et al, 1999; Perianez, 2004; Suh, 2006; Navas et al., 2011; Smyth, 2016).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입자추적법은 어떤 기법인가? 해양에 방류된 오염물질의 확산을 표현하는 방법 중의 하나인 입자추적법(particle tracking method)은 오염물질을 다수의 작은 입자들의 집합체로 가정하고 개별입자들의 움직임을 추적함으로서 전체 오염물질의 이류 및 확산 과정을 모델링하는 기법이다(Jung, 2002). 이 기법을 통해오염원의 농도는 입자의 수에 비례하고 입자가 위치한 영역에 집중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입자추적 모델을 이용하여 육상기인 오염물질의 이동 및 확산범위를 예측한 이유는? 이 기법을 통해오염원의 농도는 입자의 수에 비례하고 입자가 위치한 영역에 집중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입자추적법은 격자단위의 농도처리에 있어서 발생할 수 있는 수치확산(numericaldiffusion)에 따른 오차의 발생이 없으며, 다양한 확산과정을 모의할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해 오염물질, 체류시간, 유류 및 확산에 대한 연구에서 사용되고 있다(Suh, 1996; Perianez, 2004; Yang etal., 2009; Salama and Rabe, 2013; Smyth et al.
마산만의 해수순환특성을 재현하기 위해서 사용한 것은? 마산만의 해수순환특성을 재현하기 위해서 입자추적모듈이 포함된 EFDC(Environmental Fluid Dynamics Code)를 사용하였다. EFDC는 Virginia Institute of Marine Science에서 개발되었으며 해수 유동, 퇴적물이동, 수질 및 독성물질에 대한 예측을 위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n, Soon-Mo & Beak, Bong-Ju(2003). Organic matter and nutrient budget of constructed tidal flat in Gapo area of the Masan bay,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8(4), 411-419. 

  2. Choi, Jin-Woo et al.(2005).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of macrobenthic communities during winter and summer in the Masan bay special management area, southern coast of Korea, Ocean and Polar Research, 27(4), 381-395. 

  3. Choi, Jin-Woo and Seo, Jin-Young(2007). Application of biotic indices to assess the health condition of benthic community in Masan bay, Korea, Ocean and Polar Research, 27(4), 381-395. 

  4. Choi, Woo-Jung et al.(1994). Numerical simulation of the formation of oxygen deficient water-mass in Jinhae bay,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49(2), 241-246. 

  5. Craig, Paul(2011). User's Manual for EFDC_Explorer: A Pre/Post Processor for the Environmental Fluid Dynamics Code, Dynamic Solutions-International, LLC, Knoxville, TN, USA. 

  6. EPA(1988). Boston harbor wastewater conveyance system, EPA report, 606. 

  7. Gomez-Gesteira, Moncho et al.(1999). A two-dimensional particle tracking model for pollution dispersion in a Coruna and Vigo Rias(NW Spain), Oceanologica Acta, 22(2), 167-177. 

  8. Jung, Woo-Sung et al.(2016). Modeling for pollution contribution rate of land based load in Masan Ba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22(1), 59-66. 

  9. Jung, Yun-Chul(2002). Ocean outfall modeling with the particle tracking method, Journal of Korean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26(5), 563-569. 

  10. Kang, See-Whan et al.(2001). Concentration changes of wastewater effluent discharge in the mixing zone of Masan sea outfal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4(2), 15-24. 

  11. Kim, Cha-Kyum et al.(1994). Two-dimensional hydraulic and numerical modeling of tidal currents in Chinhae bay,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29(2), 83-94. 

  12. Kim, Cha-Kyum and Lee, Pil-Yong(2000). Three-dimensional water quality modeling of Chinhae Ba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12(1), 1-10. 

  13. Kim, Jin-Ho et al.(2016). Numerical simulation for dispersion of anthropogenic material near shellfish growing area in Geoje bay, The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 Education, 28(3), 831-840. 

  14. Kwon, Jung-No et al.(2014). The long-term variations of water quality in Masan bay, south sea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and Energy, 17(3), 212-223. 

  15. Kwon, Young Tack(2004). Evaluation of heavy metal pollution in the dumping site of the dredged sediment, Masan ba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7(2), 75-81. 

  16. Lee, Chan-Won et. al.(2010). Evaluation of heavy metal concentration for Bongam tidal flat sediments in Masan Bay, Korea,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12(3), 15-20. 

  17. Lee, In-Cheol et al.(2008). Numerical prediction for reduction of oxygen deficient water mass by ecological model in Jinhae bay, Journal of Ocean Engineering and Technology, 22(5), 75-82. 

  18. MOF.(2011). Report of Introduction and implementation of total pollution load management(TPLM) and management of land-based pollution source. MOF report, 1-1018. 

  19. Navas, Juan Moreno et al.(2011). Application of 3D hydrodynamic and particle tracking models for better environmental management of finfish culture, Continental Shelf Research, 31(6), 675-684. 

  20. Park, Sung-Eun et al.(2009). Calculating average residence time distribution using a particle tracking model, Journal of Ocean Engineering and Technology, 23(2), 47-52. 

  21. Perianez, Raul(2004). A particle-tracking model for simulating pollutant dispersion in the Strait of Gibraltar, Marine Pollution Bulletin, 49(7-8), 613-623. 

  22. Salama, Nabeil K.G. and Rabe, Berit(2013). Developing models for investigating the environmental transmission of disease causing agents within open-cage salmon aquaculture, Aquaculture Environment Interactions, 4(2), 91-115. 

  23. Smyth, David et al.(2016). Using particle dispersal models to assist in the conservation and recovery of the overexploited native oyster (Ostrea edulis) in an enclosed sea lough, Journal of Sea Research, 108, 50-59. 

  24. Suh, Seung-Won(1996). Suspended solid dispersion analysis for coastal areas using hybrid concepth of particle and concentration of Eulerian-Lagrangian mode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8(2), 185-192. 

  25. Suh, Seung-Won(2006). A hybrid approach to particle tracking and Eulerian-Lagrangian models in the simulation of coastal dispersion, Environmental Modelling & Software 21(2), 234-242. 

  26. Yang, Chan-Soo et al.(2009). Study on improvement of oil spill prediction using satellite data and oil-spill model: Hebei Spirit oil spill,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5(5), 435-44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