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효율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용 정공수송층 연구동향 원문보기

전기전자재료 = Bulletin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v.29 no.8, 2016년, pp.3 - 10  

고민재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광전하이브리드연구센터) ,  배승환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광전하이브리드연구센터) ,  조제웅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광전하이브리드연구센터)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고효율의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위한 정공수송물질의 연구 동향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초반에는 고효율을 위한 새로운 정공수송물질의 개발에 초점이 맞춰졌다면 최근에는 고효율 뿐만아니라 유연태양전지에도 적용가능한 정공수송물질의 개발 또는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공수송물질의 개발 등 더 많은 조건을 충족할 수 있는 정공수송물질이 요구되고 있다.
  • 유기 재료는 이전부터 유기태양전지 분야에서 합성을 통해 전자적 성질을 미세 조정하는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어 왔는데 이를 기반으로 고효율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위한 새로운 정공수송층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새로운 정공수송물질 도입으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어떠한 노력들이 진행되고 있는지 폭넓게 다루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페로브스카이트는 어떤 구조를 하고 있는가? 그림 1(a)는 페로브스카이트 (ABX3)의 일반적인 결정구조를 보여준다. 크기가 큰 양이온 A는 정육면체 단위격자 꼭지점에 위치하고 중심에는 크기가 작은 양이온 B가, 그리고 각 면의 중앙에는 음이온 X가 위치해 있는 구조이다. 양이온 B는 음이온 X를 꼭지점으로 8면체 안에 위치하며 이 BX6 팔면체는 꼭지점을 공유하는 구조로 이어져 있다. 그림 1(b)를 보면 양이온 A는 이어진 8개의 팔면체들에 의해 만들어지는 공간에 위치하여 페로브스카이트 구조를 이루는 것을 알 수 있다.
페로브스카이트란? A. Perovski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는 ABX3의 분자식을 갖는 화합물로 특정한 결정구조를 가지는 물질을 통칭하며 대표적으로 CaTiO3, BaTiO3를 예로 들 수 있다. 그림 1(a)는 페로브스카이트 (ABX3)의 일반적인 결정구조를 보여준다.
페로브스카이트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그림 1(b)를 보면 양이온 A는 이어진 8개의 팔면체들에 의해 만들어지는 공간에 위치하여 페로브스카이트 구조를 이루는 것을 알 수 있다. 페로브스카이트는 A, B 그리고 X 자리에 어떠한 원소가 들어가냐에 따라 CaTiO3, CaTiO3, BaTiO3, MgSiO3, SrFeO3,LiNbO3, SrZrO3, BaZrS3, KMgF3 등 수백 가지의 조성을 가지며 조성에 따라 절연특성에서 반도체, 초전도체까지 넓은 범위의 전도도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압전, 열전 등 다양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Kojima, A.; Teshima, K.; Shirai, Y.; Miyasaka, T. J. Am. Chem. Soc. 2009, 131, 6050 

  2. Yang, W. S.; Noh, J. H.; Jeon, N. J.; Kim, Y. C.; Ryu, S.; Seo, J.; Seok, S. I. Science 2015, 348, 1234 

  3. Saliba, M.; Matsui, T.; Seo, J. -Y.; Domanski, K.; Correa-B aena, J.-P.; Nazeeruddin, M. K.; Zakeeruddin, S. M.; Tress, W.; Abate, A.; Hagfeldt, A.; Gratzel, M. Energy Environ. Sci. 2016, 9, 1989 

  4. Ameen, S.; Rub, M. A.; Kosa, S. A.; Alamry, K. A.; Akhtar, M. S.; Shin, H.-S.; Seo, H.-K.; Asiri, A. M.; Nazeeruddin, M. K. ChemSusChem 2016, 9, 10 

  5. Chueh, C.-C.; Li, C.-Z.; Jen, A. K.-Y. Energy Environ. Sci. 2015, 8, 1160 

  6. Saliba, M.; Orlandi, S.; Matsui, T.; Aghazada, S.; Cavazzini, M.; Correa-Baena, J.-P.; Gao, P.; Scopelliti, R.; Mosconi, E.; Dahmen, K.-H.; De Angelis, F.; Abate, A.; Hagfeldt, A.; Pozzi, G.; Graetzel, M.; Nazeeruddin, M. K. Nature Energy 2016, 1, 15017 

  7. Ryu, S.; Noh, J. H.; Jeon, N. J.; Kim, Y. C.; Yang, W. S.; Seo J.; Seok, S. I. Energy Environ. Sci. 2014, 7, 2614 

  8. Liu, Y.; Hong, Z.; Chen, Q.; Chen, H.; Chang, W.-H.; Yang, Y. (M.); Song, T.-B.; Yang, Y. Adv. Mater. 2016, 28, 440 

  9. Choi, H.; Mai, C.-K.; Kim, H.-B.; Jeong, J.; Song, S.; Bazan, G. C.; Kim, J. Y.; Heeger, A. J. Nat. Commun. 2015, 6, 7348 

  10. Park, J. H.; Seo, J.; Park, S.; Shin, S. S.; Kim, Y. C.; Jeon, N. J.; Shin, H.-W.; Ahn, T. K.; Noh, J. H.; Yoon, S. C.; Hwang, C. S.; Seok, S. I. Adv. Mater. 2015, 27, 4013 

  11. Chen, W.; Wu, Y.; Yue, Y.; Liu, J.; Zhang, W.; Yang, X.; Chen, H.; Bi, E.; Ashraful, I.; Gratzel, M.; Han, L. Science 2015, 350, 944 

  12. Zhang, H.; Cheng, J.; Lin, F.; He, H.; Mao, J.; Wong, K. S.; Jen, A. K.-Y.; Choy, W. C. H. ACS Nano 2016, 10, 1503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