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로이동오염원 대기오염 저감대책에 의한 수도권 지역 계절별 질소산화물 개선효과
Seasonal Nitrogen Oxides Improvement due to On-road Mobile Air Pollution Source Emission Control Plan in Seoul Metropolitan Area 원문보기

대한환경공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v.38 no.5, 2016년, pp.269 - 278  

김유정 (건국대학교 소셜에코텍 연구소) ,  정혜선 (건국대학교 신기술융합학과) ,  김수향 (건국대학교 신기술융합학과) ,  마영일 (건국대학교 신기술융합학과) ,  이우근 (강원대학교 환경공학과) ,  김정수 (국립환경과학원 교통환경연구소) ,  선우영 (건국대학교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수도권지역의 대기오염을 개선하기 위해 수도권 대기환경 개선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되었고 2005년부터 시행되었다. 그 결과 수도권의 대기질은 개선되었으나 각 대책의 평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도로이동오염원의 배출량 저감정책이 질소산화물의 농도저감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MM5-SMOKE-CMAQ 모델 시스템을 이용하여 수치모사를 수행하였다. 2007년 수도권 $NO_x$ 저감 배출량은 16,561톤으로서 4.7%의 저감률을 보였다. 여러 대책 중 제작차 배출허용기준강화 대책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지역별 삭감실적은 차이가 커서 서울의 삭감률은 인천과 경기의 약 2배에 달하였다. 결과적으로 $NO_x$ 저감의 효과는 서울 도심에 집중적으로 나타났다. 이동오염원 저감대책에 의하여 서울의 $NO_2$ 농도는 연평균 0.60 ppb (2.0%)저감되었고 인천과 경기는 각각 0.18 ppb (1.5%), 0.22 ppb (1.7%)가 저감되었다. 봄과 겨울의 저감농도는 여름과 가을에 비해 1.5~2.0배 정도 높았다. 도심과 풍하지역으로의 $NO_2$ 저감효과 분산때문에 도심지역$NO_x$ 배출량 저감이 직접적인 $NO_2$ 농도 저감에 효과적이지 않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improve air quality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SMA), the "Special Act on Seoul Metropolitan Air Quality Improvement" has been enforced since 2005. The strategy has resulted in some reduction of air pollution, but there has not been much research into the quantitative impact analys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07년의 삭감실적만을 고려하여 질소산화물의 저감효과를 분석하였다. 수도권 대기질 관리 대책 이후 누적된 삭감 배출량이 적용되면 저감효과가 증가되어 나타날 것이다.
  • 그러나 각 관리대책에 의한 대기질 개선을 정량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부족하다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 특별대책 중 도로이동오염원 관리대책에 따른 대기질 개선효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오염관리 대책 미시행시의 배출량을 추정하여 배출량을 비교하였으며, 대책 시행시와 미시행시에 대한 대기질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가설 설정

  • 그러나 해당자료가 존재하지 않아 대체할 대안이 필요하였다. 차종별 연료형태는 SCC 세분류(연료대분류) 및 세세분류(연료소분류)로 구분되고 있으나 해당 정보 역시 연료별 등록대수를 판단할 수 없어 이를 단순비례로 가정하고 SCC수로 나눠주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도권특별대책 중 도로이동오염원 관리대책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수도권특별대책 중 도로이동오염원 관리대책은 크게 운행차, 제작차, 기타 대책으로 구분된다. 운행차 관리 대책에는 저감장치 부착, LPG 엔진개조, 조기폐차, 자동차 연료의 품질기준강화가 있으며 제작차 관리대책에는 저공해자동차 보급, 제작차 배출허용기준 강화가 있다.
수도권 대기질 개선에 관한 특별법이 시행된 연도는? 주요 선진국의 경우 교통정책의 수립에 있어서 이러한 환경적 요소를 필수적으로 고려하고 있다. 우리나라 정부도 수도권 대기질 개선을 위해 “수도권 대기질 개선에 관한 특별법(이하 수도권 특별법)”을 제정하여 2014년까지 미세먼지(PM10) 40 µg/m3, 이산화질소(NO2) 22 ppb를 목표로 광범위한 저감대책을 구성하고 2005년부터 시행하였다. 그 결과 2014년도 서울시의 미세먼지 농도는 46 µg/m3로, 2004년(61µg/m3) 대비 24.
수도권 대기질 개선에 관한 특별법을 시행한 결과는? 우리나라 정부도 수도권 대기질 개선을 위해 “수도권 대기질 개선에 관한 특별법(이하 수도권 특별법)”을 제정하여 2014년까지 미세먼지(PM10) 40 µg/m3, 이산화질소(NO2) 22 ppb를 목표로 광범위한 저감대책을 구성하고 2005년부터 시행하였다. 그 결과 2014년도 서울시의 미세먼지 농도는 46 µg/m3로, 2004년(61µg/m3) 대비 24.6%, NO2는 33 ppb로 2004년(37 ppb) 대비 10.8% 감소하였다.6) 수도권특별대책 수행에 따른 2007년 서울시 배출량 저감실적에 따르면 도로이동오염원에서의 삭감이 전체 삭감량 중 PM10은 99% (1,325톤), NO2는 95% (8,403톤)에 해당하여 다른 대책에 비해 가장 효과적이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Lim, J.-S., Kim, S.-S., Park, D.-S., Joo, J.-H., Lim, C.-K. and Hur, J.-H., "Monitoring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 residues in environmental samples in Korea," The Korean J. Pesticide Sci., 11(2), 95-105(2007). 

  2. Cho, S.-J., Kim, S.-D., Jung, J.-H., Park, C.-H., Kim, J.-H. and Kim, M.-Y., "Effects on Air Pollution of Traffic Around about Cheonggye-4ga," Proc. 45th Meeting of Korean Soc. Atmos. Environ., pp. 420-422(2007). 

  3. Lee, S.-B. and Bae, G.-N., "Characteristics of Air Pollution at a Roadside Contaminated with Vehicle Emissions," Proceeding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for the 30th Anniversary, pp. 398-402(2008). 

  4. Lee, S.-B. and Bae, G.-N., "Characteristics of air pollution at a junction area contaminated with vehicle emissions," Trans. Korean Soc. Automotive Eng., 18(4), 48-53(2010). 

  5. Laden, F., Neas, L. M., Dockery, D. W. and Schwartz, J., "Association of fine particulate matter from different sources with daily mortality in six US cities," Environ. Health Perspec., 108, 941-947(2000). 

  6. "Annual Report of Ambient Air Quality in Korea, 2014," Ministry of Environment(2015). 

  7. "Enforcement Performance Evaluation Report for Air Quality Management Plan in Seoul Metropolitan Area," Ministry of Environment(2009). 

  8. "Performance Evaluation Report for Air Quality Improvement Enforcement Plan in Seoul Metropolitan Area in 2007," Ministry of Environment(2008). 

  9. Grell, G. A., Dudhia, J. and Stauffer, D. R., 1995, "A Description of the Fifth-Generation Penn State/NCAR Mesoscale Model (MM5). NCAR/TN-398+STR," National Center for Atmospheric Research, Boulder, Colorado, p. 107(1994). 

  10. Mlawer, E. J., Taubman, S. J., Brown, P. D., Iacono, M. J. and Clough, S. A., "Radiative transfer for inhomogeneous atmospheres: RRTM, a validated correlated-k model for the longwave," J. Geophysical Res.: Atmos. (1984-2012), 102 (D14), 16663-16682(1997). 

  11. Dudhia, J., "A multi-layer soil temperature model for MM5," The Sixth PSU/NCAR Mesoscale Model Users' Workshop, Boulder, Colorado, 49-50(1996). 

  12. Sunwoo, Y. et. al., "Development in Community Version for Next Generation Acid Deposition Model and Quantitative Source-receptor relationship of Nitrogen Oxides(I),"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2009). 

  13. Sunwoo, Y. et. al., "Development and estimation of Emission Inventory System for Long-range Transport Air Pollutant Modeling Optimization in Northeast Asia(I),"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2009). 

  14. Moon, N., Kim, S., Byun, D. W. and Joe, Y., "Air Quality Modeling System I: Development of Emissions Preparation System with the CAPSS," Korea Environment Institute(2006). 

  15. Moon, N., Kim, S., Byun, D. W. and Lee, K. Y., "Air Quality Modeling System II," Korea Environment Institute(2007). 

  16. Byun, D. W. and Ching, J., "Science Algorithms of the EPA Models-3 Community Multiscale Air Quality (CMAQ) Modeling System,"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Rep. EPA-600/R-99/030, p. 727(1999). 

  17. Gery, M. W., Whitten, G. Z., Killus, J. P. and Dodge, M. C., "A photochemical kinetics mechanism for urban and regional scale computer modeling," J. Geophysical Res.: Atmos. (1984-2012), 94(D10), 12925-12956(1989). 

  18. Odman, M. T., "Research on Numerical Transport Algorithms for Air Quality Simulation Model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1998). 

  19. Community Modeling and Analysis System Institute (CMAS), "Operational Guidance for the Community Multiscale Air Quality (CMAQ) Modeling System version 4.7.1.," http://www.cmaq-model.org(2010). 

  20. Emery, C. and Tai, E., "Meteorological Modeling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September 13-20, 1999 Ozone Episode," Prepared for the Texas Near Non-Attainment Areas through the Alamo Area Council of Governments, by ENVIRON International Corp, Novato, CA(2001). 

  21. Hurley, P. J., Blockley, A. and Rayner, K., "Verification of a prognostic meteorological and air pollution medel for year-long predictions in the Kwinana industrial region of Western Australia," Atmos. Environ., 35(10), 1871-1880(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