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 저영향개발(LID) 시범 시설에 대한 편익 특성 연구
Study of Benefit Characteristics for Low Impact Development (LID) Facilities demonstrated in Seoul Metropolitan 원문보기

대한환경공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v.38 no.6, 2016년, pp.299 - 308  

이승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환경.플랜트연구소) ,  김이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환경.플랜트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서울시는 '건강한 물순환 도시' 조성을 비전으로 선포하고 도시 물환경 악화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는 빗물의 침투 및 저류 기능 등을 이용하는 저영향개발(LID) 시설의 설치를 확산시키기 위한 정책 및 제도 개선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저영향개발 시설은 공공이 선도하는 물순환 도시 조성과 이를 위한 빗물의 표면 유출 억제와 물이용 효율화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 악화된 물순환과 물환경을 회복하기 위해 다양한 저영향개발 시설이 설치 및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체계적인 경제성 평가를 위한 편익 분석 방안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저영향개발 시설의 경제적 환경적 사회적 편익을 다각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저영향개발 시설별로 물 에너지 대기질 개선 기후변화 대응의 4개 카테고리별로 편익 분석항목을 선정하였다. 이러한 카테고리별 분류에 따른 직간접인 편익효과의 정량화 및 가치 평가 결과, 각 시설별로 연간 1,191원의 단위면적 당 편익이 발생하는 것으로 산정되었다. 분석 항목별 편익 분포 특성은 시설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다(물: 30~90%, 에너지: 4~44%, 대기질 개선: <1~2%, 기후변화 대응: 5~22%). TBL 분석 결과, 시설별로 경제적 편익의 비중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75~90%), 환경적 편익(<1~2%) 및 사회적 편익(9~24%)이 산정되었다. 향후, 현재의 개별 저영향개발 시설에 대한 편익 분석 방안을 기반으로 단지 및 지구단위의 물순환 연계 시스템이 적용될 경우, 도시 열섬 현상 및 홍수 재해 예방 등 저영향개발 시설 운영의 편익에 대한 시너지 효과 등을 평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eoul metropolitan has established a vision as 'Healthy water-cycle city' to resolve urban water-environmental deterioration. And it established administrative structure to expand Low Impact Development (LID) facilities to recover aggravated water-cycle and water-environment. Therefore, various LI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서울시에서 시범 설치 및 운영하고 있는 저영향개발 시설을 대상으로 저영향개발 시설의 편익 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국내 적용 방안 마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서울시 저영향개발 시범 시설을 대상으로 Triple Bottom Line (TBL) 기법과 단계별 프레임워크 기법을 적용하였으며, 편익 분석 항목에 대한 정량화 및 가치평가 과정을 통해 편익 가치를 분석하였다.
  • TBL이란 특정 시설 또는 사업의 설치 및 운영을 통해 직접적으로 발생하는 경제적 효과뿐만 아니라,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발생하는 환경적 및 사회적 효과까지 통합적으로 고려하는 평가 방안을 의미한다. 이는 해당 시설의 경제성 관리 목적 외에도 환경적 안정성의 유지 및 사회적 형평성의 증대를 통합적으로 고려하는 개념으로, 환경 분야에서의 지속가능한 발전의 구현을 목적으로 한다.5)

가설 설정

  • 해당 시설의 경우 빗물이 침투형 저류조로 유입되는 주차장의 집수 면적은 실제로 2,000 m2 이상이지만, 경사면 시공 불량으로 인해 절반 정도의 표면에서만 빗물이 유입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침투형 저류시설의 집수 면적을 1,000 m2로 가정하여 편익 특성을 분석하였다.
  • 옥상 저류 시설은 빗물을 옥상면에 일시 저류한 후 점차적으로 방류하는 시설이다. 현재 해당 시설은 일시 저류된 빗물을 하수도로 방류시키고 있으나, 편익 분석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침투 및 저류 시설과 연계 처리된다고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저영향개발 시설이란 무엇인가? 저영향개발 시설이란 옥상녹화, 식생지 조성, 식생 침투공간, 투수성 포장 등 분산형 빗물 관리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이러한 저영향개발 시설은 강우유출수의 유입 및 침투기능을 통해 강우유출량을 감소시키고 수환경을 개선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저영향개발 시설의 긍정적 영향은 무엇인가? 이러한 저영향개발 시설은 강우유출수의 유입 및 침투기능을 통해 강우유출량을 감소시키고 수환경을 개선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1) 또, 저영향개발 시설은 비점오염물질을 포함한 초기 강우유출량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에너지 절감, 대기질 개선, 탄소 감축 및 격리, 부동산 가격 상승, 여가활동 기회 증가 및 금전적 또는 사회적 가치를 지닌 기타 공중위생 및 커뮤니티 활성화 활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2)
침투형 저류 시설의 기능은 무엇인가? 침투형 저류 시설은 도로 대상 적용 시설로, 서울 종로구 적선주차장 내에 설치되어 있다. 주차장 부지에 내린 빗물이 경사면을 따라 저류조로 유입된 후 지하 공간으로 침투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해당 시설의 경우 빗물이 침투형 저류조로 유입되는 주차장의 집수 면적은 실제로 2,000 m2 이상이지만, 경사면 시공 불량으로 인해 절반 정도의 표면에서만 빗물이 유입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Suh, J. H. and Lee, I. K., "The Water Circulation Improvement of Apartment Complex by applying LID Technologies: Focused on the Application of Infiltration Facilities," J. KILA, 41(5), 68-77(2013). 

  2. Center for Neighborhood Technology, "The value of green infrastructure,"(2010). 

  3. United S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Reducing Stormwater Costs through Low Impact Development Strategies and Practices,"(2007). 

  4. Center for Neighborhood Technology, "Integrating Valuation Methods to Recognize Green Infrastructure's Multiple Benefits,"(2010). 

  5. Park K. H., Hwang Y. W. and Namkung E., "Development of Triple Bottom Line Integrated Model for Sustainable Construction," J. Korean Soc. Environ. Eng., 29(4), 36-376(2007). 

  6. Center for Neighborhood Technology, "Benefits Details,": Green Values Calculator, http://greenvalues.cnt.org/national/ benefits_detail.php#reduced-treatment(2009). 

  7.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n Korea, "Statistics of sewerage," (2014). 

  8.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nnual climatological report,"(2014). 

  9. Korea Electric Power Cooperation Home Page, http://home.kepco.co.kr/kepco/main.do(2015). 

  10. Clark, C., Adriaens, P. and Talbot, F. B., "Green Roof Valuation: A Probabilistic Economic Analysis of Environmental Benefits," Environ. Sci. Technol., 42, 2155-2161(2008). 

  11. Korea Gas Cooperation Home Page, http://www.kogas.or.kr/(2015). 

  12.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U.S. Electricity Consumption for Water Supply & Treatment-the Next Half Century," (2002). 

  13.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Midwest Community Tree Guide: Benefits, Costs, and Strategic Planting,"(2006). 

  14. Currie, B. and Bass, B., "Estimates of air pollution mitigation with green plants and green roofs using the UFORE model," Urban Ecosyst., 11, 409-422(2008). 

  15. United S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GRIDweb." United States Total Emissions Profile Data, http://cfpub.epa.gov/egridweb/view_us.cfm(2005). 

  16. Yellen, J., "CRA Report,"(1998). 

  17. Getter, K., Rowe, D. B., Robertson, G. P., Cregg, B. M. and Andresen, J. A., "Carbon Sequestration Potential of Extensive Green Roofs," Environ. Sci. Technol., 43, 7564-7570(2009). 

  18. United S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Mandatory Reporting of Greenhouse Gases,"(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