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규모 개발사업의 저영향개발(LID) 사전협의 제도 도입 연구 - 비용편익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LID Prior Consultation for Small-Scale Development Projects - Focusing on Cost-Benefit Analysis - 원문보기

청정기술 = Clean technology, v.26 no.2, 2020년, pp.151 - 157  

지민규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사공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주용준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급격한 도시화는 국토의 불투수면을 증가시켜 도시형 홍수의 위험성을 가중시켜왔고, 지하수위의 저하, 수질오염물질 증가 등 환경재해 및 환경오염 문제를 유발시키고 있다. 국내에서는 이러한 환경적 영향을 최소화하고 개발 이전의 물순환 건전성을 유지하기 위해 저영향개발 기법을 도입하여 적용하고 있지만, 소규모 개발사업의 대부분은 강우유출량 관리의 법적 근거가 부재하여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에 빗물의 표면 유출을 증가시키는 소규모 개발사업 또한 오염원인자 책임 원칙에 따라 저영향개발 시설의 적용을 의무화하는 것이 요구되며 이를 위해 물순환 회복 사전협의 제도를 도입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소규모 개발사업의 저영향개발기법 도입을 가정하여 비용편익 분석을 중심으로 수행되었다. 비용·편익 분석에 필요한 전국 소규모 개발 대상사업의 규모 및 건수는 『건축법』에 따른 대지면적이 1,000 ㎡ 이상 이거나 건축연면적 1,500 ㎡ 이상의 건축물에 서울시의 실제 사전협의 통계자료를 적용하여 도출하였다. 피규제 기업·소상공인, 피규제 이외 기업·소상공인·일반국민 및 정부를 대상으로 소규모 개발사업의 저영향개발 시설물 설치에 따른 비용·편익을 분석한 결과, 경제성의 기준 값인 1보다 많이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대상사업의 규모 대비 시설물의 설치 비용이 높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하지만 저영향개발 시설의 설치에 따른 수환경 및 대기질 개선 등의 환경적 가치와 하수처리시설 운영비 절감 등의 공공성을 고려하면 향후 소규모 개발사업의 사전협의제도 도입은 필연적이다. 앞으로 소규모 개발사업의 사전협의 제도 도입과 함께 비용·편익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지자체의 제도적, 재정적 지원이 적극적으로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apid urbanization has elevated the risk of urban flooding due to the increase in the impervious surface, causing environmental disasters and environmental pollution problems, such as lowering the groundwater level and increasing water pollution. In Korea, low impact development (LID) techniques hav...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LID 요소기술 및 개발사업의 특정지역 등을 대상으로 하는 기존의 비용・편익 연구와는 달리, 국내 소규모 사업의 저영향개발 적용 범위와 규모를 설정하고 이에 대한 비용・ 편익 분석을 수행했다는 측면에서 차별성이 있으며, 더불어 국내・외 유사 제도와의 비교 분석을 통해 정책적 시사점도 도출 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소규모 개발사업의 “물순환 회복 사전협의제도” 도입을 가정하에 비용・편익 분석을 중심으로 수행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환경영향평가 대상사업 규모 이하를 소규모 개발사업으로 규정하고자 하며, 그 대상과 규모는 주거, 상업, 산업, 유통, 정보통신, 생태, 문화, 보건 및 복지 등의 기능이 있는 건축물(『건축법』 제2조) 과 개발법에 따라 시행되는 단지로서 환경영향평가 대상규모 이하이면서 대지면적 1,000 m2 이상이거나 연면적 1,500 m2 이상으로 정하고자 한다(Figure 2).

가설 설정

  • 해당 LID 시설인 투수성 포장, 침투시설, 저류시설은 서울시의 기준에 따라 각각 총대책 빗물분담량의 10%, 70%, 20%로 분배하였다[13]. 그리고 빗물분담량의 산정 시 사전협의 대상사업의 최근5년 평균 건축면적인 5,464 m2 를 기준으로 소규모 건축물의 주거지역 건폐율 70%, 주차장 면적 등을 제외한 15%의 녹지조성 면적을 가정하였다(Table 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Baek, J., Lee, S., Shin, H., and Kim, H., "Analysis of Effectiveness for Water Cycle and Cost-Benefit according to LID Application Method in Environmentally-Friendly Village," J. Korean Soc. Water Environ., 34(1), 57-66 (2018). 

  2. Seoul metropolitan city, Rainwater management master plan of Seoul, p. 30 (2013). 

  3. Ko, H. B., Choi, H. N., Lee, Y. K., and Lee, C. Y., "Analysis on the Water Circulation and Water Quality Improvement Effect of Low Impact Development Techniques by Test-Bed Monitoring," Journal of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17(5), 27-36 (2016). 

  4. Kim, H. O., and Yeom, J. M., "Effect of the Urban Land Cover Types on the Surface Temperature: Case Study of Ilsan New City," Korean J. Remote Sens., 28(2), 203-214 (2012). 

  5. Imhoff, M. L., Zhang, P., Wolfe, R. E., and Bounoua, L., "Remote Sensing of the Urban Heat Island Effect Across Biomes in the Continental USA," Remote Sens. Environ., 114(3), 504-513 (2010). 

  6. Liu, Z., Wang, Y., Li, Z., and Peng, J., "Impervious Surface Impact on Water Quality in the Process of Rapid Urbanization in Shenzhen, China," Environ. Earth Sci., 68(8), 2365-2373 (2013). 

  7.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A Research on Control Targets and Strategies for Impervious Surface Management," NIER-SP2014-321 (2014). 

  8. Fogaca, F. N. O, Gomes, L. C, and Higuti, J., "Percentage of Impervious Surface Soil as Indicator of Urbanization Impacts in Neotropical Aquatic Insects," Neotrop. Entomol., 42(5), 483-491 (2013). 

  9. Lee, J. M., Lee, Y. S., and Choi, J. S., "Analysis of Water Cycle Effect according to Application of LID Techniques," J. Wet. Res., 16(3), 411-421 (2014). 

  10. Lee, S. W., and Kim, R. H., "Study of Benefit Characteristics for Low Impact Development (LID) Facilities demonstrated in Seoul Metropolitan," J. Kor. Soc. Environ. Eng., 38(6), 299-308 (2016). 

  11. Park, J. Y., Lim, H. M., Lee, H. I., Yoon, Y. H., Oh, H. J., and Kim, W. J., "Water Balance and Pollutant Load Analyses according to LID Techniques for a Town Development," J. Kor. Soc. Environ. Eng., 35(11), 795-802 (2013). 

  12. Choi, J., Yoon, E., Lee, J. Lim, S., "A Study on Introduction Plan of Low Impact Development Techniques in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MAC)(I)," Research Division, LH land and housing institute, Report No. 2018-165 (2017). 

  13. Kim, Y. R., and Sim, J. Y., "A Feasibility Analysis of Stormwater Management for the Housing Redevelopment and Reconstruction," Journal of Seoul City Studies, 14(2), 145-149 (2013). 

  14. Lee, J. H., "LID Implementation Scheme for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Korea Environment Institute, Research report 2014-18 (2014). 

  15. Lee, W. B., Kim, J. H., Kang, S. I., Jeong, H. C., Moon, H. S., and Hyun, C. T., "Installation Criterion for Rainwater Harvesting Facilities of Multi-Family Housings using Cost-Benefit Analysis," J. Archit. Inst. Korea Struct. Constr., 28(10), 121-130 (2012). 

  16. Korea Environment Institute, "A Study on Introduction of the System for LID Application in Small-scale Development Projects.," Research report 2018-14 (2018). 

  17. Kim, H. S., Lee, S. J., Bake, J. S., Park, S. K., and Shin, H. S., "Development of LID Standard Combination Set and Planning Model," J. Korean Soc. Hazard Mitig., 18(3), 321-329 (20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