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해안 물건리 방조어부림의 식생구조 특성 및 관리방안
Vegetation Structure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Plan of Mulgeun Fish Shelter Forest in the Southern Coast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34 no.1, 2016년, pp.118 - 128  

이수동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조경학과) ,  김미정 (국립생태원) ,  강현경 (상명대학교 환경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남해안 물건리 방조어부림의 인문사회적, 자연생태적 특성을 토대로 효율적인 보전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지는 천연기념물 제 150호로 1,600년경 전주 이씨 후손들이 정착하면서 조성한 숲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마을의 평안을 위하여 매년 10월마다 동제를 지내고 있다. 방조어부림은 방재적, 경제적, 환경생태적 기능과 함께 대표적인 역사문화자원으로 남해군에서 관리하고 있다. 선형의 대상지 면적은 $23,962.6m^2$로 주변은 경작지(48.5%), 도시화지역(38.2%)이 넓게 분포하고 있다. 세부적인 현존식생은 이용압 및 훼손여부에 따라 층위형성지와 식생복원지, 훼손지로 구분되었으며 세부적인 식물군집유형은 이용압이 낮은 푸조나무군집(I), 느티나무군집(II), 이용압이 높은 느티나무-이팝나무-푸조나무군집(III), 푸조나무-느티나무군집(IV), 이용에 의해 하층이 훼손된 팽나무-푸조나무군집(V)으로 구분되었다. 숲 내부의 관통도로와 해안도로, 목재데크 산책길, 주차장, 세면대 등의 교통 휴게시설 설치로 인하여 숲의 파편화 및 내부 식생의 생육이 어려워지고 있다. 이를 위한 복원방안으로서 우선복원지역 설정, 복원 식생종 선정과 적정 복원방법이 요구되었다. 훼손지역($7,868.2m^2$)을 우선 복원지역으로 설정하고, 복원 식생종은 후대림을 위하여 숲내 우점종인 느티나무, 푸조나무, 팽나무, 이팝나무모수로 한 실생묘를 육성하며, 다층식생구조 형성을 위하여 아교목층과 관목층에 각각 5개체, 115개체(단위면적 $100m^2$)를 보완식재해야 할 것이다. 또한, 숲 내부의 곳곳에 산재하는 휴게시설물 철거 및 무분별한 이용을 통제하고 낙엽활엽수림으로 보전, 복원될 수 있도록 관리 및 모니터링이 수반되어져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efficient methods of preserving and managing the fish shelter forest in Mulgun-ri o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on the basis of its humanistic, sociologic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The study object is Korean natural monument No. 150, which is presum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방조어부림은 물건리 마을의 방재, 보안, 경제림으로서 기능하면서 해안과 육지의 추이대이자 다양한 생물들의 서식처로, 마을 사람들의 삶이 배어있는 문화자원으로서 낙엽활엽수 중심의 해안숲 전형의 보전을 위한 훼손지의 복원·관리가 시급하였다. 대부분 해안숲의 이용강도에 따라 식재기반지의 나지화, 토양견밀화, 답압의 피해 최소화를 강조한 바와 같이[27] 본 연구에서는 우선적인 복원지역 설정, 복원 식생종 선정과 복원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군락별 종수 및 개체수는 단위 면적 100㎡의 조사구를 기준으로 하여 산출하였으며, 다수의 조사구가 설정된 군집은 각 조사구별 평균값을 통하여 비교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군집구조를 규명하기 보다는 훼손 유형에 따른 관리를 제안하고자 하였으므로 18개 조사구에 대해 훼손 유형에 따라 분류하고, 각 군집별 특성과 이에 따른 관리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천연기념물로 지정·관리되어온 남해안 물건리 방조어부림을 대상으로 인문사회적, 자연환경적 여건을 고려하여 대상지 내부의 식생구조, 훼손현황을 토대로 한 효율적인 보전관리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물건리 방조어부림의 효율적인 관리를 제안하고자 인문사회적 특성과 자연생태적 특성으로 구분하였다. 인문사회적인 특성은 문헌과 웹사이트, 인터뷰를 통해 파악하였고, 자연생태적 특성은 대상지 주변 토지이용현황을 조사하였으며 대상지의 식생구조 유형별 현존식생, 식물군집구조 조사를 실시하였다.
  • 천연기념물 제 150호인 물건리 방조어부림의 인문사회적, 자연생태적 특성을 조사·분석하여 우리나라 해안 방풍림의 전형을 잘 유지, 복원하기 위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물건리 방조어부림에 대한 어떤 일화가 있는가? 물건리 방조어부림은 해풍으로부터 마을과 경작지를 보호하기 위해 조성된 인공림으로 팽나무, 상수리나무, 느티나무, 이팝나무, 푸조나무인 낙엽수와 상록수인 후박나무 등 300년 된 40여 종류의 수종이 숲을 이루고 있으며 남해군에서 관리하고 있다[25]. 19세기말 숲의 벌채로 큰 화재와 폭풍을 입게 되면서 숲의 훼손이 마을의 안녕과 관련지어 신성시 여겨 보호하기 시작하였고 일제시대 때에는 일본인이 고목을 벌채하려 하자 주민들이 나서 ‘나를 대신 베어가라’ 하며 숲을 보호했다는 일화가 전해진다. 또한 숲 입구에는 당산목인 팽나무, 이팝나무가 존재하며 신과 인간의 매개체 역할을 하는 신단수라 하여 음력 10월 15일에 동제를 올려 마을의 평안을 빌고 있으며 현재는 당목이 고사하여 보식·승계하고 있다[13].
물건리 방조어부림의 역할은? 거칠고 거센 바닷바람을 막아준다고 하여 방풍림(防風林), 파도에 의한 해일이나 염해·조수를 막아준다고 하여 방조림(防潮林), 수면에 숲이 투영, 양분공급 등 남해에 떠도는 물고기 떼를 불러들인다 하여 어부림(漁付林)이다. 즉, 물건리 방조어부림은 방재적인 역할과 생계의 수단으로 활용되어 왔으며 이러한 숲의 역할로 어족이 풍부하여 남해에서 가장 부유한 마을이었다고 전해진다[16]. 해안 마을숲은 마을의 역사, 문화, 신앙 등을 바탕으로 마을 사람들의 공동체 삶의 표출로 마을 주변에 조성되고, 보호·유지되어 온 숲으로 마을 사람들의 사상을 담고 있으며 특별한 장소적 의미를 지닌다[17][3].
우리나라 남해안 일원 어부림의 생태적 가치가 더욱 높은 이유는? 최근 해안가 개발 및 매립, 관광을 위한 정비사업 등으로 어부림과 같은 전통 해안숲이 점차 사라지고 있는 시점에서 그 형태가 남아있는 우리나라 남해안 일원 어부림의 생태적 가치는 더욱 높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물건리 방조어부림은 300여년 전 하안(河岸)을 따라 길게 조성된 해안림으로 마을숲의 한 형태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Yun, S. J. and Cha J. H.(2009). A Study on Sustainable Management of Village Forest based on Re-understanding of the Tragedy of the Commons -Focued on the Lesson from the Songrim-ri Maeulsoop.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Rural Sociological Society. 19(2): 125-166. 

  2. Lee, S. J., Kim, D. U. and Hue, B. S.(2011). Analysing the Plant Ecosystems for the Rural Village Forest of Designated as Natural Monument. - The Case of Natural Monument no.468 Pohang Buksong-ri Bukcheonsu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Rural Planning. 17(1): 43-58. 

  3. Kim, H. B. and Jang, D. S.(1994). Village Forest. Youlhwadang. 

  4. Ministry of Home Affairs(1972). Protected Trees Report. The Office of Cultural Properties. 

  5. Choi, J. U. and Kim, D. Y.(2000). A Study on the Structure and Conservation Condition of Rural Community Forests as Culture in Korea.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Garden. 18(3): 51-64. 

  6. Lim, E. J., So, H. S. and Lee, S. D.(2012). A Study on the Cultural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Village Forest Sites in the Southern Coast. - A Case Study of Namhae-Goon and Tongyoung City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0(3): 1-13. 

  7. Park, J. C.(1998). Comparative Review of the Village Groves and Seaside Groves in Chonbuk-Do Provinc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6(2): 133-142. 

  8. Choi, J. U., Kim, D. Y., Kim, M. H., Rhee, S. Y., Jo, L. W., Kang, B. H. and Kim, S. B.(2011). Perspectives on the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Scheme for the Dangsan and Bibo Forests at the Seashore of Daebang-dong, Sacheon.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9(4): 125-133. 

  9. Kim, S. H. and Choi, S. H.(2007). The Structure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astal Forest in Busan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nvironment and Ecology. 21(1): 67-73. 

  10. Oh, H. K.(2003). Vegetation Structure and Habitat Management of Windbreak Forest: In Case of Four Sites in the South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Yeungnam University. 

  11. Jo, R. H., Yoon, Y. H., Kuk, J. H., Son, J. K. and Han, S. H.(2008). An Application Plan of Use Village Groves through an Analysis of the Present Status of Planting and Management - Centered around the Case of Seaside Groves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Green Tourism. 15(2): 47-64. 

  12. Oh, H. K., Kim Y. S. and Koh, M. H.(2005). Studies on the Flora of Mulgun-ni and Mijo-ri Windbreak Forests in Namhaegun, Kyungsangnamdo.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nvironment and Ecology. 19(3): 246-257. 

  13. Kang, H. C. and Lee, J. H.(2007). The Analysis of Structure of Mulgeon-ri Forest. - A Case of Distribution Tree and DBH Class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5(4): 93-100. 

  14. Hwang, J. I.(2008). Studies on Vegetation Sturucture and Management of the Mulgon Forest for Fish Shelter in Namhae-gun.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Jinju National University. 

  15. Lim, E. J., Lee, S. D. and Kim, M. J.(2013). Management Plan for Humanistic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Suweol Village Forest in the Southern Coast in Tongyoung.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nviroment Ecology. 27(1): 85-98. 

  16.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2008).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Forest Natural Monument. 

  17. Kim, H. B.(1991). A Study on the Village Grove in Korea. Doctor's Thesis. Graduate School of Korea University. 

  18. Gyeongsangnamdo(1994). Windbreak Forest Management State and Preservation Methods. Gyeongsangnamdo. 

  19. Park, I. H.(1985). A Study on Forest Structure and Biomas in Baegwoonsan Natural Ecosystem. Doctor's Thesis.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20. Lee, K. J., Song, K. J. and Cho, W.(1994). Changes of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 during the Twenty-Two Years(1972-1993) in Forest of Mt. Kwanak.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2(3): 79-90. 

  21. Curtis, J. T. and McIntosh, R. P.(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nsconsin. Ecology. 32: 476-496. 

  22. Brower, J. E. and Zar, J. H.(1977).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Wm. C. Brown Company. 

  23. Pielou, E. C.(1977). Mathematical Ecology. John Wiley&Sons. N.Y. 

  24. Hill, M. O.(1979). TWINSPAN-a FORTRAN Program for Arranging Multivariate Data in an Ordered Two Way Classification of the Individuals and Attributes. Ecology and systematics. Cornell Univ. Ithaca. New York. 

  25. http://www.namhae.go.kr/ 

  26. Shin, S. S.(2004).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Soundness and Sustainability of Nagan Walled Town and Oeam Traditional Villag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2(1): 27-38. 

  27. Kang, H. K., Bang, K. J., Lee, S. J. and Kim, H. B.(2004). Management Guidelines of Village Groves through an Analysis of Growth Environments. - Focusing on Village Groves in Gyungsang and Gangwon Provinces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2(2): 63-74. 

  28. Kim, S. H.(2010). A Study on the Cultural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Village Forest site in the Southern Coast.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Jinju Industrial University. 

  29. Baek, G. J. and Kim, G. T.(1999). Studies on the Vegetation Structure and Management of the Seonghwoanglim(Natural Monument No. 93) in Wonju.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nvironment and Ecology. 13(1): 61-69. 

  30. Kang, B. G.(2014). The Assessment of Tree Risk of Mulgun-ri Forest (Monument No. 150) of Namhae in Korea.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31. Kang, H. K.(2000).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Vegetation Model for Naturalness Restoration of Urban Plant Community. Doctor's Thesis. Graduate School of Sangmyung Universit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