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문헌을 통해 본 조선후기 꽃놀이 명소의 경관 특성
A Study on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Flower-viewing Sites through Historical Literatur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34 no.2, 2016년, pp.35 - 44  

이제이 (서울대학교 대학원 협동과정 조경학) ,  성종상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조선후기 한양의 세시풍습과 명승을 기록한 "경도잡지(京都雜誌)"에 꽃놀이 명소로 등장하는 네 곳-필운대(弼雲臺), 북둔(北屯), 동대문 밖, 서대문의 천연정(天然亭) 등-을 대상으로 한다. 관련 문헌기록을 통해 각 명소들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경관요소들로 구성되고 방문객에게 어떻게 체험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경관특성은 물경(物境), 정경(情境), 체험행위로 세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표적인 물경은 꽃이었으며, 꽃과 함께 술, 술잔, 술병 등의 음주와 관련된 물리적인 요소와 시 짓는 모임인 시회를 즐기는 장면도 등장하였다. 또한 이용 주체들이 물경에 의미를 부여한 정경의 도출을 통해 주체들이 공간에 성대해 갖는 의미를 해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본 꽃놀이 명소의 의미로는 첫째, 풍류를 향유하기 위한 공간이라는 점이다. 문인들이 모여 꽃을 구경하고 술을 마시며 시회를 여는 등 각 공간들을 문화 창작의 거점으로 활용되었다. 둘째, 주체들이 각 장소에서 묘사한 정경에서 나타나듯, 방문객들은 공감각적인 완상을 통해 경관을 즐기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로써 꽃놀이 명소는 단지 꽃을 감상하는 것 이상의 감각적 체험의 장이었음을 확인하였다. 전통적인 꽃놀이 명소의 경관특성을 도출한 본 연구는 우리 선조들이 여가의 한 형태로 즐긴 꽃놀이와 그 공간이 갖는 의미를 추적하고 한국적인 꽃놀이 명소를 계획함에 있어 기초적인 자료가 될 것이라 판단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targets flower-viewing sites appearing in "Kyungdojapji" and talks about the seasonal customs and tourist attractions of the later Chosun; Pilundae, Bukdun, Outside of Dongdaemun, Cheonyunjeong and near Seodaemun etc. Through related poetry, paintings and maps, it looks into what scenic 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가장 많이 드러난 물경은 꽃이었으며, 꽃과 함께 술, 술잔, 술병 등의 음주와 관련된 물리적인 요소와 시 짓는 모임인 시회를 즐기는 장면도 등장하였다. 또한 이용 주체들이 물경에 의미를 부여한 정경의 도출을 통해 주체들이 공간에 대해 갖는 의미를 해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본 꽃놀이 명소의 의미로는 첫째, 풍류를 향유하기 위한 공간이라는 점이다.
  • 본 연구는 조선후기 한양 내 꽃놀이 명소의 입지 및 경관 특성을 도출하여 그 공간의 의미를 읽어내고자 하였다. 이러한 꽃놀이 명소 연구는 구체적인 경관 요소와 이용 주체가 부여한 정경을 읽어냄으로써 이용 주체와 공간의 생성적 관계에 주목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 본 연구의 대상이 되는 꽃놀이 명소는 우리나라 대표 세시 풍속지로 알려진 유득공(柳得恭, 1748~1807)의 『경도잡지(京都雜誌)』에 등장한 곳을 기준으로 선정하였다. 이 문헌은 조선후기 한양에서 행해지던 세시풍속을 객관적으로 기록한 민속지[9][10]이자 당대 지식인들의 시대정신이 반영된 일상문화를 엿볼 수 있는 저작[10]으로, 한양의 세시풍속과 그 풍속이 행해지던 장소가 함께 기록되어 있어 본 연구의 대상 문헌으로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특히, 『경도잡지』는 김매순(金邁淳, 1776~1840)의 『열양세시기(洌陽歲時記, 1819)』 및 홍석모(洪錫謨, 1781~1857)의 『동국세시기』와 함께 3대 세시풍속지로 꼽히나, 이들 중 가장 먼저 집필되었다는 점에서 문화사적인 가치가 돋보인다[9].
  •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조선시대에 발간된 문헌들을 중심으로 조선시대 사람들이 꽃놀이를 즐긴 명소들의 실체를 확인하고자 한다. 주로 어느 장소에서 꽃놀이가 이루어졌는지, 꽃과 함께 무엇을 보고 무엇을 하였는지 등 문헌에 기록된 꽃놀이 양상을 살펴보는 것은 곧 꽃놀이 명소의 경관을 읽어내는 것으로 이를 통해 당대 사람들이 선호하고 향유한 꽃놀이 명소 경관의 실체와 인식을 확인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화전(花煎)놀이의 의미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화전(花煎)놀이 또한 삼짇날의 풍속으로, 화전은 진달래꽃을 반죽한 찹쌀가루에 붙여 둥근 떡을 만든 다음 참기름에 지진 떡을 말한다. 원래 이 떡을 지져 먹고 가무를 즐기던 부녀자들의 놀이를 일컫던 것으로 후에 교외에 나가 음식을 먹고 꽃을 보는 놀이를 지칭하게 되었다.
화류(花柳)놀이는 어떤 풍속에서 유래하였는가? 꽃놀이에 대한 기록은 조선의 대표적인 세시풍속서들에 나타나면서 풍속으로서 받아들여지는 양상을 보인다. 다양한 꽃놀이 관련 행태가 담긴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 1849)』를 살펴보면, 화류(花柳)놀이는 산언덕 물굽이를 찾아 놀러 다니며 봄을 즐기는 것으로 이는 삼짇날 풀밭에 나가 처음 돋은 풀을 밟는다는 풍속에서 유래한 것3)이다. 화전(花煎)놀이 또한 삼짇날의 풍속으로, 화전은 진달래꽃을 반죽한 찹쌀가루에 붙여 둥근 떡을 만든 다음 참기름에 지진 떡을 말한다.
경도잡지에 등장하는 꽃놀이 명소 4곳은? 본 연구에서는 조선후기 한양의 세시풍습과 명승을 기록한 "경도잡지(京都雜誌)"에 꽃놀이 명소로 등장하는 네 곳-필운대(弼雲臺), 북둔(北屯), 동대문 밖, 서대문의 천연정(天然亭) 등-을 대상으로 한다. 관련 문헌기록을 통해 각 명소들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경관요소들로 구성되고 방문객에게 어떻게 체험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Lee, J. M.(2012). The Joseon Seonbi's Flower-Viewing and the Quaint Poetry Clubs. Sino-Korean Poetry Research. 20: 299-335. 

  2. Kim, H. K.(2011). A Study on Interpreting People's Enjoyment under Cherry Blossom in Modern Tim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9(4): 124-136. 

  3. Kim, S. H.(2009). A Study on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of Traveling to Mt. Samgak in the Chosun Dynasty as Viewed through Travel Accounts. Journal of the Association Of Korean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ers. 21(2): 132-150. 

  4. Lee, S. K.(2011). A Study on Travel Aspect of Sadaebu in Joseon Dynasty. Korean Studies Quarterly. 34(4): 37-62. 

  5. Jung, C. Y.(2013). Activities of Literati's Travels in the Joseon Dynasty. The Journal of Korean Historical-forklife. 42: 37-70. 

  6. Son, Y. H. and Ham, K. M.(2011). A Study on Yijing and the Landscape Characteristics through the Analysis of Poems in Changdeokgung's Rear Garde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9(3): 124-133. 

  7. Lee, J. H. and Lee, J. K.(2011). A Study on Landscape of Cheongpunggy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9(1): 50-58. 

  8. Park, S. J., Kim, H. B., and Lee, S. H.(2014).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Landscape Attractions of Seoul in Joseon Dynasty: Focusing on the Eight Scenery Poems, True-View Landscape Paintings and Folklore Literatures. The Korea Spatial Planning Review: 17-35. 

  9. Na, K. S.(2007). The Writing and Its Significant of Folk Poetry(風俗志) in Yeongjae Yu Deuk-gong(?齋 柳得恭). Journal of the Association of DaeDong-Hanmun 27: 131-156. 

  10. Cho, S. S.(2012).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he description of books of Seasonal Customs in Joseon Dynasty from the latter-half of the 18th century to the middle of the 19th century -focusing on the perception of China-. The Journal of Choson Dynasty History. 60: 183-221. 

  11. Jung, S. M.(2007). Research Achievements on translation to Korean on books of Seasonal Customs in Joseon Dynasty In National Folk Museum(eds.). Almanac of seasonal customs of Joseon. Seoul: National Folk Museum. 17-37. 

  12. National Folk Museum(2007). Almanac of seasonal customs of Joseon III. Seoul: National Folk Museum. 

  13. Nam, E. K.(2012). The Image of Samcheong-Dong in Koreabn Literary Material. The Study of the Eastern Classic. 49: 262-295. 

  14. Choi, J. N.(2014). A Romantic pursuits of Park-Hyokwan in the area of Pilundae and the part role of Lee-Yoowon. Journal of Korean Classical Poetry Association. 36: 175-205. 

  15. Maeng, I. J.(1963). Pilundaedo(弼雲臺圖) of Jang, Si-Heung(方壺子張始興). Korean Journal of Art History. 34: 391-393. 

  16. Park, H. W.(Trans.)(2015). Seoul in the Eighteenth Century from a poem for "Seongsijeondo." Seoul: Bogosa. 

  17. Lee, S. H.(1998a). Korean culture through flowers 1 (Revised) (Korean edition). Seoul: Nexusbook. 

  18. http://www.floma.pe.kr/xe/FreeBoard/417349 

  19. http://news.chosun.com/ 2015.07.18. 'Current affairs & Column by Ahn, Dae-Hoe'. 시사 칼럼, 안대회. [가슴으로 읽는 한시] 흥인문에 오르다 

  20. http://www.dangdang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7710 

  21. Seoul Historiography Institute(2010). Pavilions in Seoul. Seoul: Seoul Historiography Institute. 

  22. Kim, S. J.(2005). Study on Gyunggi gamyeongdo, In Gyeonggi Cultural Foundation(eds.). Gyeonggi-do in old paintings. Suwon: Gyeonggi Cultural Foundation. 223-274. 

  23. Na, J. M.(2010). Ascend the mountain following Scholoars (Sunbi). Paju: Idambooks. 

  24. Jung, M.(Trans.)(2014). 300 Chinese Poetry. Paju: Gimgyoungsa. 

  25. Seoul Museum of History(2015). Cheonggyecheon and Willow trees: 2014-2015 of Special Exhibition in Cheonggyecheon Museum. Seoul Museum of History. 

  26. Lee, S. H.(1998b). Korean culture through flowers 3 (Revised) (Korean edition). Seoul: Nexusbook. 

  27. Lee, J. M.(2015). Flower laugh at people and be mixed up with heart. -four seasons flower viewing of scholars in Joseon Dynasty-. In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eds.). Understanding Joseon Dynasty through recreation. Paju: Geul-Hangari. 17-46. 

  28. http://legacy.www.hani.co.kr/section-009000000/2005/05/009000000200505181623041.html 

  29. Lee, J. M.(2013). The way to raise flowers of scholars. In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eds.). Joseon Dynasty in Practical Books. Paju: Geul-Hangari. 53-8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