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제강점기 광장의 생성과 특성 - 조선은행 앞 광장을 중심으로 -
Creation of the Plaza and Its Featur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Focused on the Plaza in Front of Joseon Bank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5 no.4, 2017년, pp.11 - 22  

서영애 (기술사사무소 이수) ,  심지수 (버지니아 공과대학 건축도시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광장은 도시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공간이다. 광화문 광장과 서울 광장은 시민의 의견을 자유롭게 표출하는 대표적인 광장이다. 서울 도심 내 주요 광장들은 근대 도시계획이 시행된 일제강점기에 그 형태가 완성되었다. 그중에서 조선은행 앞 광장은 현재까지 '광장'이라고 부르지만, 광화문 광장이나 서울 광장과는 다른 특성이 있다. 일제강점기에 행정, 경제, 문화의 중심이었음에도, 이 광장에 대한 연구는 미진하다. 본 연구는 조선은행 앞 광장의 생성 과정과 변화를 통해 광장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첫째, 조선은행 앞 광장은 토지 매입과 설계 공모를 통해 완성된 기획의 결과물이다. 1910년대에 총독부가 도로의 폭을 넓히는 과정에서 조선은행 앞의 일곱 필지를 매입하여 광장의 공간적 기틀을 마련했다. 1930년대 후반에는 교통의 원활한 흐름을 위해 순환식 회전교차로 시스템이 도입되고, 설계 공모를 통해 분수대를 설치하면서 현재의 광장형태가 완성되었다. 광장으로 기획되었으나, 점차 로터리로 변화했다. 둘째, 조선은행 앞 광장은 일제의 권력과 근대성을 과시하는 랜드마크이자 상징 광장이다. 자동차 중심의 교차로와 대형 분수대는 초점 경관을 형성했다. 서양식 대형건물로 둘러싸인 공간을 중심으로 상업 광고와 네온사인이 설치되었다. 조선은행 앞 광장은 당시 근대 도시문화를 체험하는 첨단의 공간이었다. 지배자의 권력을 과시하는 스펙터클한 경관은 경성의 대표 이미지로 소비되었지만, 피지배자에게는 낯설고 소외된 경관으로 인식되었다. 본 연구는 조선은행 앞 광장 자체에 집중하여 생성 과정을 추적하였고, 그 특성을 고찰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서울의 도시변화와 함께 정치 경제적 여건을 반영한 공간 연구에 대해서는 향후 연구과제로 남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plaza represents the identity of a city, and that reveals a plaza's importance. Gwanghwamun Plaza and Seoul Plaza are two representative plazas where the citizens can freely express their opinions. Many major plazas in the center of Seoul were built under the Japanese occupation. Among these, the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광장은 어떤 시설에 속하며 어떻게 구분되는가? Franco Mancuso는 유럽의 60여 개 광장을 분석하여 그 역할에 따라 장터로서의 광장, 문화의 장으로서의 광장, 예술작품으로서의 광장, 의식이나 군중 집회를 위한 광장 등으로 구분하였다(Mancuso, 2009). 우리나라의 광장은 ‘도시계획시설의 결정․구조 및 설치기준에 의한 규칙’에 의해 공원, 녹지와 함께 공간시설에 속하며,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에 따라 교통광장, 일반 광장, 경관 광장, 지하 광장, 건축물 부설광장으로 구분된다.
광장은 어떤 공간인가? 광화문 광장과 서울 광장은 시민의 의견을 표출하는 대표적인 공간이다. 광장이라는 용어는 중세 유럽 도시에서 형성된 것으로 근대화와 더불어 도시 생활과 문화를 표출하는 장으로 인식된다. 넓은 의미에서 광장이란 건조 환경으로 둘러싸인도시 공간에서 가로와 가로가 만나는 지점 혹은 일정한 건물군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형성된 오픈스페이스다(Kim1, 2011). Franco Mancuso는 유럽의 60여 개 광장을 분석하여 그 역할에 따라 장터로서의 광장, 문화의 장으로서의 광장, 예술작품으로서의 광장, 의식이나 군중 집회를 위한 광장 등으로 구분하였다(Mancuso, 2009).
조선은행 앞 광장을 자유롭게 활용한 사례는? 일제강점기에는 조선은행 앞 광장을 줄여서 ‘선은전 광장’ 또는 일본어로 ‘센킨마에 광장’이라고 불렀다. 광장이라는 명칭에도 불구하고, 이곳에서는 해방 전 몇 차례의 문화행사(동아일보 1923년 4월 26일,매일신보 1930년 9월 17일)가 열렸을 뿐이며, 해방 이후에도 집회와 시위 장소로 활용된 경우(동아일보 1989년 2월 25일,동아일보 1990년 5월 10일)를 제외하면, 광장으로 자유롭게 활용한 사례는 드물다. 광장이 생성된 시기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조선은행 앞 광장 자체에 대한 연구 성과는 미비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Architecture of the Joseon 朝鮮と建築(1939) (9)9: 18. 

  2. Busan Museum(2009) The Looks of Modern Landscape with Photo Postcard 1. Busan: Busan Museum. 

  3. Cho, E. J.(2008) A study on the two-story commercial Hanok in Namdaemunno and Taepyoungro, during 1910-30's. The Journal of Seoul Studies. 30: 99-138. 

  4. Choi, Y. E., J. H. Chon and J. A. Lee(2014) An analysis of design elements and satisfaction on the usability of city squares: Focused on Gwanghwamun Square and Geumbit Squar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2(6): 111-123. 

  5. Daegyeonseongbudaegwan(1936) Seoul Museum of History. 

  6. Daegyeonseongjeondo(1936). 

  7. Gyeongseongbu dosigyehoeg josaseo(1927) National Library of Korea 

  8. Hong, S. P.(2002) A Study on the Formation and Use of Urban Square: The Case of the Square in the Central District of the City of Dlian in China. Ph.D. Dissertation, Inha University. Incheon, Korea. 

  9. Jang, I. S.(2016) The ideology of the colonial architecture and the memory of Kyeongseong. Journal of East Asian Cultures 66: 35-60. 

  10. Jeong, S. I.(1929) Jingogae. Byeolgeonon. September. 

  11. Jang, T. H.(1996) A Study on the Spatial Composition in Urban Square. Ph.D. Dissertation,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12. Jeon, W. Y.(2003) The formation and transition of the Seoul Nam-chon Market. Seoul Namchon. The Journal of Seoul Studies. pp. 173-235. 

  13. Kim1, B. Y.(2003) Domination and Space. Seoul: Munhakgwajiseongsa. 

  14. Kim1, B. Y.(2011) Colonial power and the square space. Journal of Korean Social History Association 90: 271-311. 

  15. Kim, G. G.(1939) Gwangjang. Wasadeung. 

  16. Kim, G. R.(1931) Temptation of the Sea. Dongailbo. 

  17. Kim2, G. H.(2003) Changes in urban planning and urban structure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Seoul Namchon. The Journal of Seoul Studies 14: 2-35. 

  18. Kim3, J. G.(2003) The expansion of the Japanese district in central Seoul-From the late 19th century to the Japanese colonial first half era: 1885-1929. The Journal of Seoul Studies. 20: 181-230. 

  19. Kim2, J. H.(2011) The Change of Streetscape and Urban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Modern Buildings on the Side of Namdaemun-ro(南大門路) in Kyongsung(京城) during 1910-30's.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20. Kim, Y. O.(2001) A study on the landscape of Namdaemunno 1882-1916. The Korea Planning Association. Proceedings of Fall Conference. pp. 1397-1405. 

  21. Lee, G. Y.(1940) Day of Research. Dongailbo. 1940. 4. 20. 

  22. Lee, J. A., H. S. Lee, Y. E. Choi, and J. H. Chon(2012) Analysis of user satisfaction on the city squares in Seoul: Focused on grand public plac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0(3): 42-50. 

  23. Lee, M. Y.(1933) People Who Turn the Earth Axis. Dongailbo. 1933. 8. 19. 

  24. Lee, S.(1932) Architectural infinite hexagon. Unknown source. 

  25. Lee, S.(1935) Movement. Architecture of the Joseon 朝鮮と建築. 

  26. LIFE(1947) June. 

  27. Mancuso, F. and K. Kowalski(2007) Squares of Europe, Squares for Europe. Poland: Cracow. 

  28. Park, S. Y. and J. H. Choi(2005) The study on the extension. transition process and uses of event space in the city: Focusing on the street space of Jong-no. Journal of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6(2): 41-54. 

  29. Postcards of Japanese colonial period. 

  30. Seong, G. M. and J. H. Ryu(2013) A study on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Korean urban squares: Focused on the metropolitan city hall square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5(3): 47-56. 

  31. Yeom, B. G.(2016) Origin of Seoul, The Birth of Gyeongseong. Seoul: Idea. 

  32. Yohan(1931) Sinsanggok. Donggwan 28. 

  33. Yoon, I. S.(2003) Modern architecture of Namchon. Seoul Namchon. The Journal of Seoul Studies. pp. 129-171. 

  34. Dongailbo(www.newslibrary.naver.com) 

  35. Gyeongseongilbo(www.bigkinds.or.kr) 

  36. Gyeongseongbu nambu jijeog-wondo(1912) Seoul Map Archive(www.gis.seoul.go.kr) 

  37. Gyeongseongsigajeondo(1910) Seoul Map Archive(www.gis.seoul.go.kr) 

  38. Gyeongseongsigajeondo(1927) Seoul Map Archive(www.gis.seoul.go.kr) 

  39. Maeilsinbo: www.bigkinds.or.kr 

  40. www.luris.molit.go.kr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