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화재 열 유동을 고려한 구조물의 열응력해석
Nonlinear Thermo-mechanical Analysis Considering Heat Flow under Fire Conditions 원문보기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v.29 no.4, 2016년, pp.369 - 376  

박홍락 (홍익대학교 토목공학과) ,  강준원 (홍익대학교 토목공학과) ,  이진우 (한국전력기술 원자력사업처)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화재에 노출된 구조물의 역학적 거동을 평가하기 위한 기반연구로서 화재 유동해석과 열응력해석의 통합 프레임워크를 확립하고 이를 강재와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대표체적에 적용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먼저 Fire Dynamics Simulator(FDS)를 이용해 임의의 화재곡선으로 모델링되는 화원으로부터 구조물 표면까지 유동해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구조물 표면에서 시간에 따른 온도 분포를 계산하였고, 이 결과를 비선형 열응력해석에 경계조건으로 적용하였다. 이후의 과정은 화재의 성장 또는 감소에 따라 구조물 표면온도의 변화를 반영하는 열전달해석과 구조해석으로 이루어진다. 제시한 통합 프레임워크에 의해 화재 구조해석을 수행한 결과, 강재와 콘크리트의 대표체적 모두 동일한 하중이 작용할 때 상온 조건에서는 탄성 거동을 보였지만 화재로 인한 온도 조건을 고려할 경우 소성 거동을 보였다. 이는 구조물이 화재에 노출되는 경우 설계하중보다 작은 하중에서도 한계상태에 이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원전구조물이나 교량과 같은 중요 사회기반구조물의 설계 시 구조물의 화재거동 평가가 고려되어야 한다고 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a numerical analysis framework for investigating the nonlinear behavior of structures under fire conditions is presented. In particular, analysis procedure combining fire-driven flow simulation and thermo-mechanical analysis is discussed to investigate the mechanical behavior of fi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논문에서는 화재 유동해석과 비선형 열응력해석을 통해 화재에 노출된 구조물의 거동을 평가하는 통합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였다. 이 절차를 대표체적(representative volume, RV)에 적용해 다양한 화재 조건에서 구조물의 비선형 거동을 보임으로써 제시한 통합 프레임워크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화재 유동해석으로부터 구한 구조물 표면에서의 온도 시간이력을 시간에 대한 다항함수로 근사시켜 화재 후 뿐만 아니라 화재 중에도 구조물의 거동을 예측할 수 있는 해석절차를 제안하였다. Fig.
  • 이 연구에서는 화재에 노출된 구조물의 역학적인 거동을 평가하기 위해 화재 유동해석으로부터 비선형 열응력해석에 이르는 통합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였고, 이 프레임워크의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해 강재와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대표체적에 대한 국부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온도에 따라 변하는 강재와 콘크리트의 구성관계식을 이용해 화재 시 또는 화재 후 구조물의 거동을 평가하였다.

가설 설정

  • 이와 관련해 ISO 834, JIS(japanese industrial standard) A 1304, ASTM E119, KS F 2257과 같은 여러 기준들에서 표준 가열곡선을 제시하고 있다. 표준 가열곡선을 화원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구조물의 표면온도가 위치에 관계없이 일정하다고 가정하게 된다. 그러나 대형 구조물의 경우 화재 시 공간에 대한 온도의 편차가 매우 크기 때문에 이러한 가정은 실제 화재 조건을 반영한다고 보기 어렵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원전 격납건물의 각 계통 별 격실 구조의 내화 및 방화성능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대형 화재발생 시 원전구조물과 같은 중요 사회기반구조물의 건전성 유지 여부가 최근 세계적으로 큰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으며, 화재에 노출된 구조물의 거동에 대한 면밀한 분석은 생애주기를 고려한 구조물의 설계를 위해서도 매우 중요하다. 특히 원전 격납건물의 경우 화재로 인한 기계 및 제어계통의 손상이 발전 시스템 전체의 안전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각 계통 별 격실 구조의 내화 및 방화 성능이 매우 중요하다. 최근 미국과 유럽에서는 원전구조물과 같은 중요 사회기반구조물에 대해 가연물의 종류와 양, 화재실 규모, 화재하중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구조물의 내화성능 시간을 설정하고 이에 적합한 부재를 선택하는 성능적 내화설계법을 적용하고 있다(Chung et al.
구조물 평가에 있어 전산해석 기법을 이용하는 것이 효과적인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나 최근 컴퓨터 하드웨어와 전산 역학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해 실제 상황과 유사하게 화재 유동을 계산하고 고온 조건에서 비교적 정확히 구조 거동을 예측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따라서 구조 화재실험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하면서 다양한 구조 및 화재 조건에 대한 구조물의 내화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전산해석 기법을 이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관념적인 내화규정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하지만 국내의 경우 구조물의 화재영향 평가를 체계적으로 수행하기보다는 구조물의 용도, 규모, 중요도 등에 따라 방화구역의 내화성능 시간을 설정하고 이를 부재에 적용 하는 관념적인 내화규정을 채택하고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는 원전구조물을 비롯한 사회기반구조물에 대형 화재가 발생할 경우 화재에 대한 대응전략을 수립하기 어렵고 구조물의 건전성 유지 여부를 확인하기 쉽지 않다. 따라서 화재 시 구조물의 형태와 특성, 화재의 규모, 구조 재료의 특성 등을 고려한 종합적인 구조거동 평가기법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ABAQUS 6.14-5 [Computer software] Dassault Systems. 

  2. Ahn, J.K., Lee, C.H. (2015) Experimental and Numerical Study of Fire Resistance of Composite Beams, J. Korean Soc. Steel Constr., 27(2), pp.143-153. 

  3. Alos-Moya, J., Paya-Zaforteza, I., Garlock, M.E.M., Loma-Ossorio, E., Schiffner, D., Hospitaler, A. (2014) Analysis of a Bridge Failure due to Fire using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and Finite Element Models, Eng. Struct., 68, pp.96-110. 

  4. ASCE (1992) Structural Fire Protection, ASCE Manuals and Reports on Engineering Practice, 78. 

  5. Choi, J. (2008) Concurrent Fire Dynamics Models and Thermomechanical Analysis of Steel and Concrete Structures, Ph.D. thesis,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Atlanta, GA. 

  6. European Committee for Standardization(CEN) (2005) Design of Steel Structures part 1. 2., Eurocode 3, Brussels, Belgium. 

  7. Fire Dynamics Simulator(FDS) 6 [computer software] Gaithersburg, MD, NIST 

  8. Gong, X., Agrawal, A. (2014) Numerical Simulation of Fire Damage to a Long-Span Truss Bridge, J. Bridge Eng., 20(10), 10.1061, 04014109. 

  9. Kwon, I.K., Chung, Y.J. (2010) Cost Analysis for Fire Protection on Structural Members of Residential Steel Building using Fire Engineering Design, J. Korean Inst. Fire Sci. & Eng., 24(1), pp.81-89. 

  10. Lee, R., Kim, D.E., Kim, B.C., Lee, J.W., Kwon, Y.J. (2011) A Study on the Trends of Research and Application fo FDS in the Overseas Country, Proc. Korean Inst. Fire Sci. & Eng. Conf., pp.19-22. 

  11. Lee. J., Fenves. G. (1998) Plastic-Damage Model for Cyclic Loading of Concrete Structures, J. Eng. Mech., 124(8), pp.892-900. 

  12. Simulia (2015) Analysis User's Manual, version 6.15. 

  13. Wainman, D.E., Kirby, B.R. (1988) Compendium of U.K. Standard Fire Test Data: Unprotected Structural Steel, 1, Swinden Laboratories, British Steel, Rotherham, U.K. 

  14. Willam, K., Xi, Y., Lee, K., Kim, B.H. (2009) Thermal Response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in Nuclear Power Plants, SESM No. 02-2009, University of Colorado at Boulder. 

  15. William, W., Brian, L., Michael, W., Mohammad, N., Elisa, S. (2013) Highway Bridge Fire Hazard Assessment, Rep.NCHRP 12-75, Virginia Tech, Blacksburg, VA. 

  16. Yun, S.H., Gil, H. B., Lee, I.K., Kim, W. S., Park, T.H. (2013) Thermal-Structure Interaction Parallel Fire Analysis for Steel-Concrete Composite Structures under Bridge Exposed to Fire Loading, J. Comput. Struct. Eng. Inst. Korea, 26(4), pp.283-29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