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DEM 개선을 통한 중소하천 홍수범람지도 정확도 향상
Enhancement of Digital Elevation Models for Improved Estimation of Small Stream Flood Inundation Mapping 원문보기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한국환경과학회지, v.25 no.8, 2016년, pp.1165 - 1176  

김태은 (단국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서강현 (단국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김동수 (단국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김서준 (주식회사 자연과기술)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ccuracy of digital elevation models (DEMs) is crucial for properly estimating flood inundation area. DEM pixel size is especially important when generating flood inundation maps of small streams with a channel width of less than 50 m. In Korea, DEMs with large spatial resolutions of 30 m have 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 역거리가중법을 통한 공간보간은 본 논문에서 신규로 제시하는 것이 아닌 GIS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법이다. 다만, 본 논문에서 강조하는 점은 일반적인 역거리가중법을 사용하더라도 중소하천용 홍수범람지도 작성을 위해서 가능하면 작은 격자크기로 보간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점을 실제 사례를 통해 제시하려고 하였다. 따라서, 0.
  • 4 참조) 측량점과 등고선 및 하천 횡단의 좌표들을 기존 30 m DEM과 결합하여 보간하였다. 보간 시, 공간해상도는 임의적으로 조정할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Fig. 7b와 같이 제내지와 제외지의 DEM 정밀도를 0.1 m까지 상세화 하고자 하였다. 상세화된 DEM은 하도 형상과 주변 형상이 추가적인 측량성과가 반영되어 상세화되기 전 DEM에 비해 지형의 형상을 적절히 묘사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 따라서, 추가 측량성과를 사용하고, 상세화 격자로 재보간 과정을 거쳐 도출된 DEM이 일반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해상도가 낮은 DEM에 비해 홍수범람이 발생할 수 있는 하도 주변을 적절히 표출하는 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소하천이 포함된 대상유역으로 제주시 도심을 통과하는 한천 유역 중 하류부를 선택하여 DEM을 개선시켰고 기존 DEM에 비해 하천 주변 지형의 개선 여부를 평가하였다. Fig.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저해상도 DEM을 중소하천에 적용할 경우 홍수범람지도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도해적으로 제시하고, 기존 국토공간영상정보서비스에서 제공하는 공간해상도 30 m DEM을 기반으로 하천 기본계획 작성 시 확보된 하천 단면 및 제내지 기준점 측량 성과를 결합하여 고정밀도 DEM을 생성시키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개선된 DEM의 적용성 평가를 위해 하폭 약 50 m 중소하천인 제주도 한천에 DEM을 시범적으로 구축하였고, 개선 전후 DEM을 비교하여 하도 주변 지형의 묘사의 적절성을 평가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소하천 홍수범람지도 작성을 위해 국토공간영상정보서비스 등에서 제공하는 30×30 m 격자 크기의 저해상도 DEM이 주어졌다고 가정하고, 하천정비기본계획 시 작성되는 1/1,000 수치지도의 등고선, 측량 표고점, 하천횡단 실측점 및 통합기준점 등을 합성하여 높은 해상도로 재보간하여 하천 부근 지역의 고해상도 DEM을 제작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Fig. 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홍수범람지도란? 홍수범람지도란, 돌발호우나 태풍으로 인한 홍수 발생 시 인명 및 재산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홍수지역을 미리 예측 가능하도록 제작된 지도이다. 홍수범람지도는 홍수에 대비하여 도시계획이나 댐 수위 조절 운영, 제방 등의 설계에 주요 지표로 사용되며 거주지역에 대한 홍수발생 여부를 예보하거나 홍수 발생 시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하도록 하는 홍수 예·경보 시스템 구축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2015).
최근 DEM의 공간정밀도를 향상시켜 홍수범람지도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인공위성, 항공사진, LiDAR 측량 기법 등을 활용하는 방식의 한계점은? , 2013). 그러나, 이러한 방식들은 고비용을 수반하여 중소하천에 적용하는 단계에 이르지 못하고, 오히려 국가의 중점 홍수관리 대상인 국가하천 규모의 정밀 홍수범람지도 작성 시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중소하천의 홍수범람도 작성에는 여전히 저해상도의 DEM이 사용되고 있어 정확도가 높은 범람지도가 생성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Lee, 2014).
홍수범람지도는 무엇을 상호 비교하여 제작되는가? 일반적으로 홍수범람지도는 1차원 혹은 2차원 수치모형으로 모의된 홍수위와 수치표고모델 (digital elevation model: DEM)을 상호 비교하여 제작된다. 따라서, 홍수위 모델링과 함께 수치표고모델(DEM)은 홍수범람지도 작성 시 범람구역 예측 정확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요 인자이다(Hong and Sim, 2009; Jung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Choi, C., Choi, Y., Kim, K., 2013, Analysis of flood inundation using LiDAR and LISFLOOD mode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6(4), 1-15. 

  2. Goff, J. A., Nordfjord, S., 2004, Interpolation of fluvial morphology using channel oriented coordinate transformation: A case study from the New Jersey shelf, Mathematical Geology, 36(6), 643-658. 

  3. Hong, S., Sim, M., 2009, HEC-Geo RAS also flood flooding using the create practical application method, Water for Future. 

  4. Jung, Y., Kim, D., Kim, D., Kim, M., Lee, S., 2014, Simplified flood inundation mapping based on flood elevation-Discharge rating curves using satellite images in gauged watersheds, Water, 6(5), 1280-1299. 

  5. Jung, Y., Yeo, K., Kim, S., Lee, S., 2013, The effect of uncertainty in roughness and discharge on flood inundation mapp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33(3), 937-945. 

  6. Kim, K., Shin, H., Jung, S., Kim, J., 2012, Comparative study on flood inundation according to river terrain modification, Journal of KWRA Conference, 251-255. 

  7.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KICT), 2014, Development of flood hazard mapping method for local streams. 

  8. Lee, J., 2014, The Case study for prevention of inundation on small and mid-sized strea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Professional Geographers, 48(2), 177-202. 

  9. Lee, J., 2012, Estimation of roughness coefficient using a representative grain diameter for han stream in Jeju Island, Jeju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10.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OLIT), 2008, Guide for Producing the Flood Hazard Map. 

  11.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MPSS), 2015, Guideline for Mapping Disaster Map. 

  12.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NGII), 2012, Offer Free Map Data (DEM). 

  13. Park, K., Kim, S., 2011, A study of make inundation map using satellite photograph at urban river,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20(2), 199-20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