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학생의 교육용 전자간호기록 시스템 적용 효과
An Effect of the Application of Educational Electronic Nursing Record System for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22 no.3, 2016년, pp.396 - 407  

김세영 (창원대학교 간호학과) ,  이인숙 (창원대학교 간호학과) ,  김신미 (창원대학교 간호학과) ,  김기숙 (창원대학교 간호학과) ,  박보현 (창원대학교 간호학과) ,  노윤구 (창원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al Electronic Nursing Record System in terms of nursing process preparation ability and satisfaction about the system itself. Methods: A one group pre-post experimental study design was utilized in this study. The effectiveness of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럼에도 본 연구는 국내에서 최초로 교육용 전자간호기록 시스템을 활용하여 간호기록 교육을 시행하고 그 효과로서 간호기록을 평가한 연구로서 그 의의를 갖는다. 향후 간호학생들이 간호과정을 적용하여 간호기록을 효율적으로 작성할 수 있도록 임상자료와 연계된 교육용 전자간호기록 시스템을 개발하는 연구가 필요하고, 본 연구에서 개발한 간호학생용 간호과정 평가도구를 정련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 본 연구의 결과는 교육용 전자간호기록 시스템을 활용하면 간호학생들이 전자간호기록 시스템 상에서 간호기록을 작성하고, 간호기록에서 간호과정을 적용하는데 도움을 준 것으로 해석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학생들은 교육용 전자간호기록 시스템에 대하여 여러 가지 불편한 점을 보고하여 향후 교육용 전자간호기록 시스템의 개선에 대한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일개 대학교의 간호학과 3학년 29명과 4학년 33명을 대상으로 단일군 유사실험설계에 의하여 교육의 효과를 측정하였고,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적용효과의 차이를 분석하지 않았기 때문에, 본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는 데 제한점을 가진다.
  • 본 연구는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교육용 전자간호기록 시스템을 활용하여 간호과정에 따라서 간호기록을 작성하도록 교육하고, 그 효과를 파악한 단일군 사전사후 유사실험설계 연구이다.
  • 본 연구는 교육용 전자간호기록 시스템 활용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간호과정 적용을 위한 임상 시나리오를 개발하였고, 학생들이 작성한 간호과정을 평가하기 위하여 국외간호과정 평가도구를 번역-역번역을 통해 수정하여 간호과정적용능력 평가도구를 개발하였으며, 전자간호기록 시스템 사용 전․후 학생들의 간호과정 적용능력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파악된 연구결과들은 간호교육 현장에서 활용이 용이한 체계적인 전자간호기록 시스템의 개발에 대한 필요성과 더불어 간호학생들의 실무능력 증진에 기여하기 위해 고려해보아야 할 교육적 함의 등을 보여주고 있으므로 이에 대해, 주요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교육용 전자간호기록 시스템의 도입 전·후 간호 학생의 간호기록을 평가하여 전자간호기록 시스템을 활용한 교육과 실습을 통해서 학생들의 간호과정 적용능력이 향상된 결과를 확인하였다.
  • 본 연구는 교육용 전자간호기록 시스템 활용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간호과정 적용을 위한 임상 시나리오를 개발하였고, 학생들이 작성한 간호과정을 평가하기 위하여 국외간호과정 평가도구를 번역-역번역을 통해 수정하여 간호과정적용능력 평가도구를 개발하였으며, 전자간호기록 시스템 사용 전․후 학생들의 간호과정 적용능력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파악된 연구결과들은 간호교육 현장에서 활용이 용이한 체계적인 전자간호기록 시스템의 개발에 대한 필요성과 더불어 간호학생들의 실무능력 증진에 기여하기 위해 고려해보아야 할 교육적 함의 등을 보여주고 있으므로 이에 대해, 주요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교육용 전자간호기록 시스템을 활용 전, 후 간호기록을 평가하고 그 효과를 파악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임상간호사의 경력을 가진 교수 2인이 간호과정 학습에 최적화된 문제중심의 시나리오를 개발하여 학생들에게 간호과정을 적용하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인 간호과정 학습의 사례를 제공하였다. 여기에 간호과정을 학습하는 수단으로 종이 기반의 간호과정 기록과 전자간호기록 시스템을 이용한 간호과정 기록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전자간호기록 시스템의 적용을 통한 간호교육의 변화의 필요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교육용 전자간호기록 시스템을 활용하여 간호학생을 교육하고, 그 효과로써 학생들의 간호기록을 평가하였으며, 교육용 전자간호기록 시스템의 질과 운용방식 등을 평가하기 위하여(Jung, Mung, Kang, & Park, 2012) 사용자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 더욱이 간호학생들은 실무를 기반으로 한 임상 시나리오를 통해 학습하게 됨으로써 간호학생들은 간호과정을 실제적으로 습득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임상간호사의 경력을 가진 교수 2인이 간호과정 학습에 최적화된 문제중심의 시나리오를 개발하여 학생들에게 간호과정을 적용하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인 간호과정 학습의 사례를 제공하였다. 여기에 간호과정을 학습하는 수단으로 종이 기반의 간호과정 기록과 전자간호기록 시스템을 이용한 간호과정 기록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전자간호기록 시스템의 적용을 통한 간호교육의 변화의 필요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과정은 무엇으로 구성되는가? 간호과정은 전문직 간호실무의 기틀로서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계획, 간호중재, 간호평가로 구성된다. 간호과정은 간호사가 환자 사정을 기반으로 간호진단을 내리고,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기대되는 간호결과를 설정하고 그 결과를 달성하기 위한 간호중재를 계획하여, 간호중재를 수행한 후 간호결과를 평가하는 문제해결 과정을 말한다(Pesut & Herman, 1999).
전자간호기록 시스템을 활용하여 간호학생을 교육한 연구는 국내에 어떤것들이 있는가? 지금까지 국내에서 전자간호기록 시스템을 활용하여 간호학생을 교육한 연구는 소수에 불과하다. Park과 Park (2001)은 중환자 실습에 참여한 간호학생이 개별 personal computer에서 compact disc로 상품화된 간호과정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입력한 간호과정 기록을 분석하여 간호진단, 간호목표, 간호중재, 간호평가의 빈도를 분석하였다. Hong과 Kim (2011)이 개발한 웹 기반의 간호과정 프로그램은 표준화된 간호진단, 간호결과, 간호중재를 연계하였으나, 병원정보시스템과 연계가 되지 않아서 사정 자료를 학생들이 직접 입력해야 하고 간호중재 영역에서 메뉴에 없는 내용을 일일이 기록해야 하는 점과 간호 결과 지표가 임상현장과 상이하여 적용하는데 어려움을 호소하였다.
전자간호기록(Electronic Nursing Records, ENR) 시스템의 장점은 무엇인가? 최근 국내에서 상당수의 종합병원들이 종이기반 의무기록을 전자의무기록(Electronic Medical Records, EMR) 시스템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전자간호기록(Electronic Nursing Records, ENR)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다. 국내에서 전자간호기록 시스템은 간호기록의 명확성, 간결성, 적시성, 정보의 양과 질, 이용가능성, 연속성 등을 높이고, 간호사들의 기록 시간을 절약하여 직접 환자간호 시간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Cho, Park, Jung, & Lee, 2003; Kim & Park, 2010). 또한 전자간호기록 시스템을 도입한 후 간호기록이 적시에 작성되었고, 기록의 완성도가 높아졌고, 간호계획의 수가 증가하였다(Larrabee et al., 2001). 특히 전자간호기록 시스템 도입과 활용으로 간호기록이 표준화되고 간호과정을 적용할 수 있게 되었다(Kurihara et al., 200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Cho H., Hong S. J., & Kim, H. S. (2013). Evaluation of adaption and intent to use smart phone application for nursing process of nursing student.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4(12), 6403-6412. http://dx.doi.org/10.5762/KAIS.2013.14.12.6403 

  2. Cho, H., Hong, S. H., & Kim, H. S. (2011).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 for Nursing Process based on Mobile Application.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14(9), 1190-1201. 

  3. Cho, I., Park, H. A., Jung, E., & Lee, H. (2003). Formative Evaluation of Standard Terminology-based Electronic Nursing Record System in Clinical Setting. Healthcare Informatics Research, 9(4), 413-421. 

  4. Choi, W. H. (2007). Comparison of nursing records between paper and electronic record systems in patients having hysterectomy.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5. Edsall, R. L., & Adler, K. G. (2009). The 2009 EHR user satisfaction survey: responses from 2,012 family physicians. Family Practice Management. 16(6), 10-16. 

  6. Hong, S. J., & Kim, H. S. (2011). Development and effects of a comprehensive web-based nursing process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8(4), 497-505. 

  7. Jung, J. H., Myung, G. H., Kang, K. H., & Park, E. H. (2012). Analysis of standard nursing statements recorded in an electronic nursing record system and user satisfaction.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9(2), 146-153. 

  8. Kim, D. Y., & Park, M. H. (2010). Intermediate evaluation after the introduction of electronic nursing record system in a general hospital.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6(3), 133-144. 

  9. Kim, H. S. (2005).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computerized nursing process program for orthopedic surgery inpatients (NANDA, NOC, and NIC linkag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6), 979-990. 

  10. Kim, H. Y., Oh, H. S., & Yun, E. K. (2013). Analysis of asthma patient nursing process based on the systems thinking of nursing students. Korean System Dynamics Review, 14(2), 55-69. 

  11. Kim, Y. J., & Park, H. Y. (2005). Analysis of nursing records of cardiac surgery patients based on nursing process focusing on nursing outcom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edical Informatics, 11(1), 45-55. 

  12. Kurihara, Y., Kusunose, T., Okabayashi, Y., Nyu, K., Fujikawa, K., Miyai, C., et al. (2001). Full implementation of a computerized nursing records system at Kochi medical school hospital in Japan. Computers in Nursing, 19(3), 122-129. 

  13. Lærum, H., & Faxvaag, A. (2004). Task-oriented evaluation of electronic medical records system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questionnaire for physicians. BMC Medical Informatics and Decision Making, 4, 1-16. doi:10.1186/1472-6947-4-1. 

  14. Lee, I., & Park, H. A. (2009). Comparison of Nursing Records of Open Heart Surgery Patients before and after Implementation of Electronic Nursing Record.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edical Informatics, 15(1), 83-91. 

  15. Muller-Staub, M., Lunney, M., Lavin, M. A., Needham, I., Odenbreit, M., & van Achterberg, T. (2008). Testing the Q-DIO as an instrument to measure the documented quality of nursing diagnoses, interventions, and outcome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Terminologies and Classifications, 19(1), 20-27. 

  16. Paans, W., Sermeus, W., Nieweg, R. M. B., & Van Der Schans, C. P. (2010). D-Catch instrument: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testing of a measurement instrument for nursing documentation in hospital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6(6), 1388-1400. doi: 10.1111/j.1365-2648.2010.05302.x 

  17. Park, I. S., Yoo, C. S., Lee, S. H., Woo, K. S., Joo, Y. H., Choi, W. H., et al. (2009). Evaluation on the record completeness of the nursing process in electronic nursing record for patients undertaken gastrectomy.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5(3), 107-116. 

  18. Park, S. O., & Park, H. K. (2001). Impact of applying "Nursing Process Program" to nursing practice-based on I.C.U. nursing practi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8(4), 24-34. 

  19. Pesut, D. J., & Herman, J. (1999). Clinical reasoning: The art and science of critical and creative thinking. New York: Delmar Publishers-Albany. 

  20. Shin, A. M., Jung, S. J., Lee, I. H., Son, C. S., Park, H. J., Kim, Y. N., et al. (2010). A study of comparing the paper-based medical record with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on the level of medical record completeness and the accordance. Korean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 15(1), 1-12. 

  21. Shin, A. M., Park, H. J., Jung, S. J., Park, M. H., Yoon, K. I., & Kim, Y. N. (2009). Analysis survey of user satisfaction with electronic nursing record system in a general hospital in Daegu.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Information and Health Statistics, 34(1), 29-39. 

  22. Viitanen, J., Kuusisto, A., & Nykanen, P. (2011). Usability of electronic nursing record systems: Definition and results from an evaluation study in Finland. In Elizabeth M. Borycki, John A. Bartle-Clar, Mowafa S. Househ, Craig E. Kuziemsky, and Ellen G. Schraa (Ed.). International Perspectives in Health Informatics (pp. 333-338). Amsterdam: The Netherlands. IOS Press. 

  23. Wang, N., Hailey, D., & Yu, P. (2011). Quality of nursing documentation and approaches to its evaluation: a mixed-method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7(9), 1858-1875. doi: 10.1111/j.1365-2648.2011.05634.x 

  24. Yi, Y. J. (2009). Comparison of effects of nursing process reeducation according to academic credit bank system student nurses' clinical experience-expertis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clinical decision mak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5(2), 275-283. 

  25. Yoo, M. S., Park, J. H., & Lee, S. R. (2010). The effects of case-based learning using video on clinical decision making and learning motivation i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0(6), 863-871. doi:10.4040/jkan.2010.40.6.8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