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일본 수묵화 양식 분석을 통한 한복과 기모노의 미의식 연구
A Study of the Aesthetic Sense of Hanbok and Kimono by Analyzing Korean and Japanese Ink Painting Style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66 no.5, 2016년, pp.82 - 98  

심상보 (건국대학교 의상 디자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Korea and Japan have a cultural homogeneity because they were affected by China. However, each country has developed its own original culture due to their own national characteristic and endemism, In traditional clothing, though Korea and Japan share the same origin, they have developed their own fo...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예술은 어떤 것을 형상화 한 것인가? 복식은 시대의 문화를 형성하는 중요한 생활양식이며, 예술은 사회의 미의식을 형상화 한 것으로, 회화는 대표적인 예술 작품이다. Kim(2013)은 복식도 예술의 한 영역이라고 설명하며, 예술 작품의 특징을 파악하면 시대와 지역에 따라 공통적인 요인을 발견할 수 있고, 이러한 요인의 총체를 양식이라고 하며 양식은 예술 작품들 간에 관계를 해석 할 수 있는 도구가 된다고 하였다.
한복스타일의 인식을 위해서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특히 일본의 디자이너들이 전 세계 패션계에 ‘기모노스타일’을 알린 것에 비해, 세계인이 떠올릴 수 있는 ‘한복스타일’의 구체적인 이미지는 없다. ‘한복스타일’의 인식을 위해서는 한복의 형태적 특징이 어떤 미의식을 바탕으로 발전되었는지 알아보아야 하며, 이를 위해서 대표적인 예술 작품인 회화의 양식과 복식의 양식을 비교하여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을 가지고 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한국의 전통복식인 한복과 일본의 전통복식인 기모노를 비교한 결론은? 첫째, 한복은 고름을 이용한 착용으로 여유가 있으며 입는 사람의 체형이 자연스럽게 드러난다. 반면 기모노는 오하쇼리와 오비를 이용하여 인체를 감싸 빈틈없는 착장을 한다. 둘째, 한복은 상하의로 구성되어 복종간의 배색을 하며 단과 문양이 대칭되는 기하학적 형태를 가지고 있다. 기모노는 상하의 구별이 없는 넓은 의복을 화폭처럼 이용하여 화려하고 다양한 문양을 회화적으로 장식한다. 셋째, 한복은 각각의 복종이 개별적인 형태를 명확히 보여주며 서로 어우러져 아름다운 착장을 완성하고, 기모노는 같은 형태의 속옷과 겉옷을 오비를 이용하여 하나의 완성된 착장을 만든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Akiyama, T. (1992). Japanese Painting (S. M. Lee, Trans.). Seoul. Korea: Yekyung. (1961) 

  2. An, H. j. (1980). Korean painting history. Seoul. Korea: Iljisa 

  3. Choi, S. E. (2002). Comparison between Korea and Japan: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costume. Korea Society for Science of Eastern Art, 6, pp. 317-349. 

  4. Gyeonggi Provincial Museum. (Ed.) (2010). The Essential Art of Costume in Joseon Dynasty. Yongin, Republic of Korea: Gyeonggi Provincial Museum. 

  5. Han, J. H., Bae, J. H., Han, D. S., & Ju, K. M. (2007). Oriental Art History(1) [동양미술사(상권)]. Seoul. Korea: Mijinsa. 

  6. Hanbok Traditional Korean Dress (2016, May 23). Retrieved from http://www.freeridebikepark.com/hanbok-traditional-korean-dress 

  7. Hanbok Advancement Center. (2015). Hanbok, korean costume we want to wear [입고 싶은 우리옷 한복] September 2015 N02. Seoul, Korea: Hanbok Advancement Center 

  8. Hara, K. (2009). White, (J. H. Lee, Trans.). Seoul. Korea: Ahn Graphics. (2008) 

  9. Hong, N. Y., Kim, C. j., You, H. K., & Lee, J. H. (1999). A Study on Comparative Culture about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Cultural Heritage Style in Asia (2). Asian Comparative Folklore Society, 17, pp. 315-334. 

  10. Jang, S. E. (2007). A Study on the Clothing Styles of Renaissance and Baroque Focused on H. Wolfflin's Methodolog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tume, 57(7), pp. 15-29. 

  11. Ji, S. H. (2015). South Korea, China, Japan aesthetic [한중일의 미의식]. Seoul. Korea: Artbooks. 

  12. Jung, H. R. (2003). A study On the History and Patterns of the Japanese Kosode. Korean Antiquity 62, pp. 87-112. 

  13. Junihitoe (2016, May 23). Retrieved from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Crown_Prince_Akihito_%26_Michiko_Shoda_Wedding_1959-4.jpg 

  14. Kim, M. J. (2004). A study on the Source of Hanbok in ancient times and the position of te Hanbok on the Globalism.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7(1), pp. 7-15. 

  15. Kim, M. J. (2013). Aestherics in Dress. Seoul. Korea: Kyomunsa. 

  16. Kim, M. K., Hwang, S. H. (2008). Critics of Korean Painting. Seoul. Korea: Kariart 

  17. Kim, S. H. (2002). Traditional Style and Chinese Style appears in Costume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Oriental Art, 5, pp. 5-42. 

  18. Koike, M., Noguchi, H., Yosimura, K., & Shibata, M. (2005). Costume History and Life Culture History of Japan, (E. J. Hur, trans.). Seoul, Korea: Eomunhaksa. (2000, 2002) 

  19. Lee, J. M., & Kim, M. J. (2006).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Japanese Women's Traditional Costumes From the Viewpoint of Oriental Aesthetic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6(5), pp. 132-149. 

  20. Lee, K. J. (1986). A Study of the Aestical Features of Traditional Korean Costume. Journal of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Culture, 51, pp. 281-308. 

  21. Lee, K. J. & Kim, J. G. (1997). The Spatial Space Analysis on Naksunjae. Journal of Conference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7(2), pp. 449-455. 

  22. Lee, K. H. (2011). Transition of Japanese Kimono Design.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3(1), pp. 32-43. 

  23. Lee, M. L., Park, H. K., Kim, I. G., Lee, J. H., Ku, H. W., & Lim, Y. A. (2007). Oriental Art History(2) [동양미술사(하권)]. Seoul. Korea: Mijinsa. 

  24. Lee, O. Y. (2015). Lee O Young's Wrapping cloth Humanities [이어령의 보자기 인문학]. Seoul. Korea: Maroniebooks. 

  25. Lee, S. M. (2007). The Compositional Principle of Kim Jeong-hui's Sehando and the Evolution of its Mounting Format. Arts Resource, (76), pp. 59-84. 

  26. Lim, Y. J. & Pack, J. S. (2002). A study of Costume Aesthetic consciousness between Ancient Northeast Asia countries. The Journal of Asian Ethno-Forms and Culture 3, pp. 155-168. 

  27. Lim, Y. J., & You, S. L. (2000). Special Character of Korean Costume & Changing Process Aesthetic.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0(8), pp. 57-66. 

  28. Masuiwaya (2016, May 23). Retrieved from http://www.masuiwaya.co.jp/furisode/hanasaki02.html 

  29. Namgung, M. J. (1999). (A) Study on the Influence of Japanese Folkcostume in the Modern Japanese Fashion. Seoul Women's University Graduate School, Master's Thesis. 

  30. Oh, S. Y. (1995). Ideology study of Ink painting focusing on blank space. (Unpublished mater dissert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31. Park, M. H. & Shim, S. B. (2016). Modern fashion design development using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Hanbok.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6(2), pp. 134-147. 

  32. Ryu, H. K., Kim, M. J., Cho, H. S., Park, M. Y., Shin, H, S., Kim, Y. J. & Choi, E. S. (2008). 2000 Years of Korean Fashion and Culture. culture of art. 

  33. Saski, J., Lee, H. W. (1997). Literati painting of Japan. Art History Forum, 4, pp. 65-76. 

  34. Shin, M. Y. (2009). Characteristics of Paintings by Literary Artists from Kim Jeong-hee's Sehando. (Unpublished mater disserta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35. Soh, H. O. (2002). Korean costume's association with a foreign culture. Proceedings of the World Congress of Korean Studies, 1, pp. 476-487. 

  36. Tabane-Noshi Furisode (2016, May 23). Retrieved from http://www.thekimonogallery.com/1885.html 

  37. Tsuji, N. (1994). Nihon bijutsu no mikata, (W. H. Lee, Trans.). Seoul. Korea: Sigomgsa. (1992) 

  38. Wolfflin, H. (1994). Kunstgeschichtliche Grundbegriffe. (J. H. Park, Trans.). Seoul. Korea: Sigomgsa. (19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