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의 아동학대 인식, 신고 효과성 인식 및 신고 장애 인식 조사
A Study on the Perception on Child Abuse, Effectiveness of Reporting, and Barriers to Reporting among Nurses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30 no.2, 2016년, pp.236 - 246  

홍선영 (대구과학대학교 간호학과) ,  박미향 (영남이공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urses' perception of child abuse, effectiveness of reporting, and barriers to reporting. Method: We surveyed 155 nurses at a University Hospital by using convenience sampling. The perception of child abuse, effectiveness of reporting, and b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아동학대 인식, 신고 효과성 인식 및 신고 장애 인식 정도를 조사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아동학대 인식, 신고 효과성 인식 및 신고 장애 인식 정도를 파악함으로써 아동학대에 대한 인식 개선과 조기발견을 위한 근거자료로 사용하고자 함이다.
  • 본 연구는 병원에 종사하는 간호사의 아동학대 인식, 신고 효과성 인식 및 신고 장애 인식 조사를 위한 상관성 조사연구이다.
  • 이에 본 연구자는 종합병원 간호사의 아동학대 인식 및 신고의무자로서 신고 효과성, 신고 장애에 대한 인식 조사를 통해 아동학대 간호사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동의 건강을 위협하는 학대는 어떤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가? 우리나라의「아동복지법」은 아동이 건강하게 출생하여 행복하고 안전하게 자랄 수 있도록 아동의 복지를 보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2015). 하지만 아동의 건강을 위협하는 학대는 아동에게 신체적,정신적 고통과 더불어 학습과 발달장애, 행동 장애, 자살, 섭식장애, 약물 및 알코올 남용, 공격성, 폭력성,범죄 행동 등을 유발하여 심리사회적 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게 된다(Eija, Mika, Aune, & Leila,2014; Kim & Chung, 2013).
간호사가 아동학대에 대한전문적 지식을 가지고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표준화된 교육을 받을 필요가 있는 이유는? 아동학대의 정확하고 신속한 진단은 학대 초기의 아동들을 보호할 수 있고 학대 이후의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Caneira & Myrick, 2015; O'Malley, Kelly, &Cheng, 2013). 하지만 전문가에 의한 교육의 부재는 학대를 발견하는데 잠재적 장애가 될 수 있기 때문에 학대에 대한 정확한 교육을 통해 학대 징후를 발견하는데 익숙해질 필요가 있다(Lynne, Gifford, Evans,& Rosch, 2015). 이러한 연구 결과는 간호사가 아동학대를 발견하는데 신고의무자로서의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의미함과 동시에 아동학대 사례 발견부터 신고 및 후속조치에 이르기까지 정확한 지식과 인식을 가지고 접근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간호사는 의료인 중에서 피해 아동 환자를 실무에서 우선적으로대하는 신고의무자 유형이다. 따라서 아동학대에 대한전문적 지식을 가지고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표준화된 교육을 받을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의 아동복지법의 목적은 무엇인가? 우리나라의「아동복지법」은 아동이 건강하게 출생하여 행복하고 안전하게 자랄 수 있도록 아동의 복지를 보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2015). 하지만 아동의 건강을 위협하는 학대는 아동에게 신체적,정신적 고통과 더불어 학습과 발달장애, 행동 장애, 자살, 섭식장애, 약물 및 알코올 남용, 공격성, 폭력성,범죄 행동 등을 유발하여 심리사회적 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게 된다(Eija, Mika, Aune, & Leila,2014; Kim & Chung,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Caneira, L., & Myrick, K. M. (2015). Diagnosing child abuse: the role of the nurse practitioner. The Journal for Nurse Practitioners, 11(6), 640-646. http://dx.doi.org/10.1016/j.nurpra. 2015.03.017 

  2. Cho, Y. J., & Shin, H. R. (2013). A study on report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mandatory report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44, 213-237. 

  3. Cja, S. J. (2013). The standard between the allowable method of child rearing and the prohibited child abuse -On the basis of the cultural aspect about the violence-. The Legal Studies Institute of Hanyang University, 30(4), 153-182. 

  4. Eija, P., Mika, H., Aune, F., & Leila, L. (2014). How public health nurses identify and intervene in child maltreatment based on the national clinical guideline. Nursing Research and Practice, 2014, 1-7. http://dx.doi.org/10.1155/2014/425460 

  5. Eisbach, S. S., & Driessnack, M. (2010). Am I sure I want to go down this road? Hesitations in the reporting of child maltreatment by nurses. Journal for Specialists in Pediatric Nursing, 15(4), 317-323. http://dx.doi.org/10.1111/j.1744 -6155.2010.00259.x 

  6. Fraser, J. A., Mathews, B., Walsh, K., Chen, L., & Dunne, M. (2010). Factors influencing child abuse and neglect recognition and reporting by nurses: A multivariate 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7, 146-153. http://dx.doi.org/10.1016/j.ijnurstu.2009.05.015 

  7. Herendeen, P. A., & Anson, E. (2014). Barriers to and consequences of mandated reporting of child abuse by nurse practitioners. Journal of Pediatric Health Care, 28(1), e1-e7. http://dx.doi.org/10.1016/j.pedhc.2013.06.004 

  8. Huh, N. S. (2003). The factors that affect the reporting behavior of mandated reporter.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53, 209-230. 

  9. Kim, H. Y. (2013). Perception of child abuse and reporting awareness in Osan. Journal of Korean Council for Children & Rights, 17(1), 29-53. 

  10. Kim, J. A. (2014). Study on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cognition of child abuse and child abuse reporting system. The Journal of Cultural Exchange, 3(3), 99-125. 

  11. Kim, J. M. (2006). Report awareness and report behavior of reporting obligator on child abu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12. Kim, J. S., & Park, G. S. (2005). Predictors of intention to report child abuse among nurse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11(2), 211-220. 

  13. Kim, S. J., & Chung, I. J. (2013). A longitudinal study of persistent and recency effects of child maltreatment on depression, anxiety and aggress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43, 1-28. 

  14. Kim, Y. H., Yun, E. Y., & Lee, N. Y. (2006). A survey on perception of child abuse among nurses in a general hospit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10(2), 189-197. 

  15. Kraft, L. E., & Ericsson, U. B. (2015). The school nurse's ability to detect and support abused children: a trust-creating process. The Journal of School Nursing, 31(5), 353-362. http://dx.doi.org/10.1177/1059840514550483 

  16. Lee, S. H. (2007). Childcare facility workers' perception of child abuse and attitudes towards mandatory reporting-centering on Daegu metropolitan c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Daegu. 

  17. Lee, P. Y., Fraser, J. A., & Chou, F. H. (2007). Suspected child abuse and neglect cases in Taiwan. Kaohsiung Journal of Medical Sciences, 23, 128-137. 

  18. Lynne, E., Gifford, E., Evans, K., & Rosch, J. (2015). Barriers to reporting child maltreatment. North Carolina Medical Journal, 76(1), 13-18. http://dx.doi.org/10.18043/ncm.76.1.13 

  1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National Child Protection Agency. (2015). Child abuse report. Seoul: Author. 

  20.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2015). Law of Child Welfare. Retrieved January 19, 2016, from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69522&efYd20150928#0000 

  21.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2016). Law of Child Welfare. Retrieved January 19, 2016, from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69522&efYd20150928#0000 

  22. O'Malley, D. M., Kelly, P. J., & Cheng, A. L. (2013). Family violence assessment practices of pediatric ED nurses and physicians. Journal of Emergency Nursing, 39, 273-279. http://dx.doi.org/10.1016/j.jen.2012.05.028 

  23. Park, H. Y., Choi, E. J., & Lee, E. N. (2013). Intention to report child abuse of emergency room nurse,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6(2), 1-11. 

  24. Piltz, A., & Wachtel, T. (2009). Barriers that inhibit nurses reporting suspected cases of child abuse and neglect. Australian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6(3), 93-100. 

  25. Yoo, Y. E., Lee, J. H., & Lim, J. H. (2013).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tion about the seriousness of child abuse and the child abuse reporting on reporting intention. Soonchunhyang Journal of Institute Humanities, 32(3), 123-147. 

  26. Yoon, S. O., & Park, B. S. (2011). A study on the personnels' perception and awareness of child abuse in child welfare institutions. The Journal of Public Welfare Administration, 21(2), 25-59. 

  27. Yoon, S. Y. (2004). Understanding of cruelty to children on the profession of children rearing facilit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nam University,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