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 보건진료소장의 수필에 나타난 지역사회간호사의 역할
The Role of Community Health Nurse in Assay Written by a Nurse Practitioner of Primary Health Care Post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30 no.2, 2016년, pp.300 - 310  

진영란 (청운대학교 간호학과) ,  김현 (신성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role of community health nurse through a nurse practitioner of primary health care post. Methods: An assay, 'Even if we were allowed to look at', written by a nurse practitioner of primary health care post was analyzed with the contents analy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 보건진료소장이 쓴 수필집에서 지역사회간호사의 역할모델을 찾아보고자 한다. 수필 내용에는 보건진료소에서의 다양한 경험, 당시 지역주민의 건강문제와 상황,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간호사가 사용한 지식과 행위 등을 포함하고 있어 간호학생이 느끼는 지역사회간호이론과 실무 간의 거리감을 줄이며, 지역사회간호사의 역할모델을 명확히 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또한, 주민의 건강수준 향상에 도움이 되는 프로그램을 수행하거나 상황을 확인하기 위하여 주민들을 상담하였다.
  • 본 연구는 일 보건진료소장이 쓴 수필을 분석하여 지역사회간호사의 역할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지역사회간호를 보다 깊이 이해하기 위함이다.
  • . 우리 지역주민 전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기생충감염실태조사를 해보자고 제안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역사회간호사의 역할에 대해 세계보건기구 간호실무전문위원회는 무엇을 제시하였는가? 지역사회간호사의 역할은 세계보건기구 간호실무전문위원회가 현장활동을 분석하여 제시한 5가지 주요역할-건강과 질병상태 관리, 건강사업의 질 감사와 보장, 조직업무에 따른 역할수행, 대상자 돕기, 교육-코치(Clemen, Eigsti & McGuire, 1995), 미국 지역사회간호사의 역할-옹호자, 상담가, 간호제공자, 교육자, 사례발견자(Clemen et al., 1995), 호주 community aged care nurse practitioner (ACNP)의 역할-약물 처방, 진단검사 요청, 의료기관 의뢰, 입원, 결석/결근인정서 작성(Allen & Fabri, 2005), 미국 전문 간호사(NP)의 직접간호, 간접간호, 서비스제공 관련활동(Gardner et al.
질적 사례 연구란 무엇인가? 본 연구는 질적 사례연구(Qualitative Case Study Methodology)를 연구방법으로 활용하였다. 질적 사례 연구는 다양한 자료원을 활용하여 현상을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한 연구방법으로(Baxter & Jack, 2008), 연구대상자의 행위를 조작할 수 없거나 현상이나 맥락의 경계가 명확하지 않은 상황을 보다 깊이 이해하고자 할 때 적용한다(Yin, 2003). 질적 사례연구는 구성주의에 기반하며, 구성주의는 인간을 주관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지만 객관성을 완전히 부정하지는 않는다(Yin, 2003).
연구에서 지역사회간호사의 역할 분석틀중에서 어떤 분석틀을 설정하였는가? , 1995), 호주 Community Aged Care Nurse Practitioner(ACNP)의 역할(Allen & Fabri, 2005), 미국 지역사회 정신보건간호사의 역할(Kudless & White, 2007) 등을 비교분석하였다. 그 중, 우리나라 지역사회간호학 교과서에서 광범위하게 인용되고 있는 지역사회간호사의 역할인 대상자 중심(client-oriented), 서비스 전달 중심(delivery-oriented), 인구집단 중심(population-oriented)의 세 가지로 분석틀을 설정하였다(Clark, 2008). 지역사회간호사의 역할모델을 제시하려는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서는 지역사회간호의 특성인 대상자, 인구집단, 서비스 전달로 명확하게 구분되고, 역할이 구체적으로 명명되어 있어 쉽게 이해되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llen, J. & Fabri, A. M. (2005). An evaluation of a community aged care nurse practitioner service.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4(10), 1202-1209. 

  2. Baxter, P. & Jack, S. (2008).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ology: Study design and implementation for novice researchers. The Qualitative Report, 13(4), 544-559. 

  3. Chin, Y. R., & Song, Y. I.(2016). The learning experiences of nursing student on community health nursing. Forthcoming. 

  4. Clark, M. J. (2008). Community health nursing advocacy for population health(5th ed), Pearson Prentice Hall; New Jersey. p. 1064. 

  5. Clemen, S. S., Eigsti, D. G., & McGuire, S. L. (1995). Comprehensive family and community health nursing. St. Louis: CV Mosby. p. 899. 

  6. Desborough, J., Forrest, L. & Parker. R. (2012). Nurse-led primary healthcare walk-in centres: An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8(2), 248-263.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11.05798.x 

  7. Gardner, G., Gardner, A, Middleton, S., Della, P., Kain, V. & Doubrovsky, A. (2010). The work of nurse practitioner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6(10), 2160-2169 

  8. Handel, N., Silverstein, M. J., Waisman, E., Waisman, J. R. (1990). Reasons why mastectomy patients do not have breast reconstruction. Plastic Reconstruction Surgery, 86(6), 1118-1122. 

  9. Kim, C. M. & June, K. J. (2012). Looking back the past 30 years: Activities and achievements of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s in rural and remote areas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3(1). 51-62. 

  10. Kim, C. Y. (2011). Primary health care and community nurse practitioner. Seoul Korea: Seoul National University. p. 417. 

  11. Kinnersley, P., Anderson, E., Parry, K., Clement, J., Archard, L., Turton, P., Stainthorpe A., Fraser A., Butler, C. C., & Rogers, C. (2000). Randomised controlled trial of nurse practitioner versus general practitioner care for patients requesting "same day" consultations in primary care. British Medical Journal, 15(320). 1043-1048. 

  12.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16). Act on health care service for rural and remote area. Retrieved May 9, 2016, from http://www.moleg.go.kr 

  13. Kudless, M. W. & White, J. H. (2007). Competencies and roles of community mental health nurses. Journal of Psychosocial Nursing, 45(5). 36-44. 

  14. Kwon, M. S. (1999). A study on curriculum development for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13(2), 26-44. 

  15. Lee, J. Y., Kang, H. Y., Kim, K. S., Kim, H. R., Yang, K. H., Lee, H. K., et al. (2014). Theory and practice of community health nursing(2nd ed). Seoul Korea: Hyunmoonsa. p. 607 

  16. Lee, T. W., Ko, I. S., & Jeong, S. H. (2004). Is an expanded nurse role economically viabl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46(5), 471-479. 

  1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Republic of Korea (2011). 3rd Health people 2020. Seoul Korea: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Republic of Korea. p. 799. 

  1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Republic of Korea (2015). 2014 White paper on health and welfare. Seoul Korea: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Republic of Korea. p. 275. 

  19. Park, D. S. (2013). Even if we were allowed to look at. Seoul Korea: Photoart. p. 279. 

  20. Park, D. S., Na, S. J., Cho, S. H., June, K. J., Cho, Y. C., & Lee, Y. H. (2014).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Clonorchiasis among Residents of Riverside Areas in Muju-gun, Jeollabuk-do, Korea. Korean Journal of Parasitology. 52(4), 391-397. http://dx.doi.org/10.3347/kjp.2014.52.4.391 

  21. Paterson, B. L., Duffett-Leger, L., & Cruttenden, K. (2009). Contextual factors influencing the evolution of nurses' roles in a primary health care clinic. Public Health Nursing, 26(5), 421-429. http://dx.doi.org/10.1111/j.1525-1446.2009.00800.x 

  22. Patton, M. (1987). How to use qualitative methods in evaluation. Newbury Park London New Delhi: Sage Publications. p. 176. 

  23. Pijl-Zieber, E. M. & Kalischuk, R. G. (2011). Community health nursing practice education: preparing the next gener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Scholarship, 8(1), 15. http://dx.doi.org/10.2202/1548-923X.2250 

  24. Sanggok community health care post (2016). Sanggok community health care post. Retrieved May 9, 2016, from http://www.sanggok.org. 

  25. Shin, Y. A. (2011). Primary health care nurse practitioner in Korea. Chungcheongbuk-do Korea: Korea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stitute. p. 129. 

  26. Tolson, D., Fleming, V., & Schartau, E. (2002). Coping with menstruation: Understanding the needs of women with Parkinson's diseas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40(5), 513-521. http://dx.doi.org/10.1046/j.1365-2648.2002.02408.x 

  27. Torrisi, D. & Hansen-Turton, T. (2005). Community and nurse-managed health centers; getting them started and keeping them going. New York: Springer. p. 160. 

  28. Venning, P., Durie, A., Roland, M., Roberts, C., & Leese, B. (2000).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omparing cost effectiveness of general practitioners and nurse practitioners in primary care. British Medical Journal, 15(320), 1048-1053. 

  29. Yang, Y. J. (2016).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life experiences of a Korean woman in Germany-'becoming work migrant woman'.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68(1), 141-168. 

  30. Yin, R. K. (2003). Case study research: Design and methods (3rd ed.). Thousand Oaks, CA: Sage.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