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천연 녹차추출물인 epigallocatechin gallate (EGCG)의 메추리알 장조림에서 천연식품첨가제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S. Enteritidis에 대한 항미생물 활성을 냉장온도($4^{\circ}C$)와 일반실내온도($25^{\circ}C$)에서 평가하였다. 순수배양액에서의 실험결과 첨가된 EGCG의 농도($200-800{\mu}g/mL$)에 따라 $4^{\circ}C$에서 5일에서 16일 사이에서 그리고 $25^{\circ}C$에서 1일부터 6일 사이에서 S. Enteritidis균이 검출한계 이하로 억제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와 대조적으로 간장소스에서의 실험에서는 $25^{\circ}C$에서 첨가된 EGCG의 농도와 관계없이 S. Enteritidis균이 억제되지 않았으며, $4^{\circ}C$에서는 $400{\mu}g/mL$ 이상의 농도일 때 16일에 S. Enteritidis균이 검출한계 이하로 억제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메추리알 장조림의 경우, $25^{\circ}C$에서 간장소스의 결과와 동일하게 어떠한 EGCG의 항미생물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지만, $4^{\circ}C$에서 $400{\mu}g/mL$의 EGCG 농도 첨가 시 16일에 S. Enteritidis 균이 검출한계 이하로 억제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메추리알 장조림 완제품에서 EGCG는 $4^{\circ}C$ 이하의 저온유통체계(cold chain system)하에서 S. Enteritidis과 같은 식중독세균을 제어할 수 있는 적합한 천연 식품첨가제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nhibitory effect of epigallocatechin gallate (EGCG), one of the antioxidants in green tea (Camellia sinensis), against Salmonella Enteritidis was evaluated in commercial braised quail eggs at two temperatures (4 and $25^{\circ}C$). Although S. Enteritidis was dose-dependently suppr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almonella Enteritidis의 인위접종실험을 통해 저장 온도에 따른 순수배양액, 간장소스, 메추리알 장조림 완제품에 대한 다양한 EGCG의 농도에 따른 S. Enteritidis 항미생물 활성을 평가하여, 식품첨가제로서의 EGCG의 활용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알가공품이 다른 가공식품들보다 유통과정의 안전 관리가 더욱 중요하게 요구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농림축산식품부에서 발간 되는 주요 통계자료에 의하면, 한국 국민 1인당 계란 소비량은 2013년 245개로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2). 특히 알가공품은 고단백질, 고영양원으로, 다른 가공식품들보다 유통과정의 안전 관리가 더욱 중요하게 요구되고 있는데, 이것은 생산으로부터 유통, 판매 등 모든 과정 중 부패와 변질이 되기 쉽기 때문이다(1).
유해 미생물들 중 Salmonella Enteritidis는 인체 감염시 어떤 증상을 유발하는가? 외국에서는, 오래 전부터 알가공품의 병원성 대장균, 살모넬라, 바실루스 세레우스와 같은 유해 미생물들에 의한 식품 중독사고가 보고되어왔다(3). 이 중, Salmonella Enteritidis는 가장 치명적인 식품중독 세균 중 하나로, 인체 감염 시에 심한 복통과 설사, 구토, 오한 등을 유발할 수 있어, 이들의 식품 오염을 차단하거나 증식을 억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4).
외국에서는 오래 전부터 어떤 유해 미생물들에 의한 알가공품 식품 중독사고가 보고 되었는가? 외국에서는, 오래 전부터 알가공품의 병원성 대장균, 살모넬라, 바실루스 세레우스와 같은 유해 미생물들에 의한 식품 중독사고가 보고되어왔다(3). 이 중, Salmonella Enteritidis는 가장 치명적인 식품중독 세균 중 하나로, 인체 감염 시에 심한 복통과 설사, 구토, 오한 등을 유발할 수 있어, 이들의 식품 오염을 차단하거나 증식을 억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Ko YM, Hong SH, Park GC, Na YJ, Moon JS, Yoon KS. Effect of fat content and storage temperature on the growth and survival kinetics of pathogenic microorganisms in milk and ready to eat (RTE) quail eggs. Korean J. Food Cook. Sci. 30: 603-612 (2014) 

  2.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AFRA statistics. Available from: http://lib.mafra.go.kr. Accessed Sep. 15, 2015. 

  3. Amiali M, Ngadi MO, Smith PJ, Raghavan GSV. Inactivation of Escherichia coli O157: H7 and Salmonella enteritidis in liquid egg white using pulsed electric field. J. Food Sci. 71: M88-M94 (2006) 

  4. Song YJ, Cho YS, Oh KH.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Salmonella enteritidis JK-15 and LPS changes caused by rose flower extracts. Korean J. Microbiol. 45: 318-323 (2009) 

  5.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Korean Food Standards Codex. Available from: http://www.foodsafetykorea.go.kr/foodcode/menu_01_01.jsp#. Accessed Dec. 23, 2015. 

  6. Rustia AS, Azanza PV. Heat resistance characteristics of Salmonella enteritidis in liquid quail egg. Food Sci. Technol. Res. 11: 151-156 (2005) 

  7. Jeong EJ, Park LY, Park HJ, Lee SH. Antibacterial effect of chitosan and grape seeds extracts Staphylococcus aureus and Escherichia coli. J. Chitin Chitosan 16: 27-32 (2011) 

  8. Jung KH. Research directions for food additives safety. J. Fd. Hyg. Safety 24: 398-407 (2009) 

  9. Hamilton-Miller JMT. Antimicrobial properties of tea (Camellia sinensis L.). Antimicrob. Agents Ch. 39: 2375-2377 (1995) 

  10. Perumalla AVS, Hettiarachchy NS. Green tea and grape seed extracts-Potential applications in food safety and quality. Food Res. Int. 44: 827-839 (2011) 

  11. Kim DW, Kim JH, Kang GH, Kang HK, Park SB, Park JH, Bang HT, Kim MJ, Na JC, Chae HS, Choi HC, Suh OS, Kim SH, Kang CW. Studies for antibiotic free chicken production using water extracts from Artemisia capillaris and Camellia sinensis. Korean J. Food Sci. An. 30: 975-988 (2010) 

  12. EPA. Ultraviolet disinfection guidance manual for the final long term 2 enhanced surface water treatment rule.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Washington D.C., USA (2006) 

  13. Schraft H, Watterworth LA. Enumeration of heterotrophs, fecal coliforms and Escherichia coli in water: Comparison of $3M^{TM}$ PetrifilmTM plates with standard plating procedures. J. Microbiol. Meth. 60: 335-342 (2005) 

  14. Kim S, Ruengwilysup C, Fung DYC. Antibacterial effect of water-soluble tea extracts on foodborne pathogens in laboratory medium and in a food model. J. Food Protect. 11: 2608-2612 (2004) 

  15. Ulrih NP, Ota A, Sentjurc M, Kure S, Abram V. Flavonoids and cell membrane fluidity. Food Chem. 121: 78-84 (2010) 

  16. Choi HK, Oh KH. Cellular responses of Salmonella typhimurium exposed to green tea polyphenols. Korean J. Microbiol. 48: 87-92 (2012) 

  17. Galvez A, Abriouel H, Lpez RL, Omar NB. Bacteriocin-based strategies for food biopreservation. Int. J. Food Microbiol. 120: 51-70 (2007) 

  18. Leistner L. Basic aspects of food preservation by hurdle technology. Int. J. Food Microbiol. 55: 181-186 (2000) 

  19. Brown MR, Collier PJ, Gilbert P. Influence of growth rate on susceptibility to antimicrobial agents: Modification of the cell envelope and batch and continuous culture studies. Antimicrob. Agents Ch. 34: 1623-1628 (1990) 

  20. Gibson AM, Bratchell N, Roberts TA. Predicting microbial growth: Growth responses of salmonellae in a laboratory medium as affected by pH, sodium chloride and storage temperature. Int. J. Food Microbiol. 6: 155-178 (1988) 

  21. Shelef LA. Antimicrobial effects of spices. J. Food Safety 6: 29-44 (1983) 

  22. Kim YD, Kim KM, Hur CK, Kim ES, Cho IK, Kim KJ. Antimicrobial activity of garlic extracts according to diferent cooking methods. Korean J. Food Pres. 11: 400-404 (2004) 

  23. Theivendran S, Hettiarachchy SH, Johnson MG. Inhibition of Listeria monocytogenes by nisin combined with grape seed extract or green tea extract in soy protein film coated on turkey frankfurters. J. Food Sci. 71: M39-M44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