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육 및 식육가공품 섭취에 따른 안전성 및 식중독 위험성 인식
Perception of Food Safety and Risk of Foodborne Illness with Consumption of Meat and Processed Meat Products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32 no.4, 2016년, pp.476 - 491  

최소정 (경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진화 (경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한솔 (경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조준일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식품미생물과) ,  주인선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식품미생물과) ,  곽효선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식품미생물과) ,  허진재 (한국갤럽) ,  윤기선 (경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consumers' perception of food safety and risk from foodborne illness and consumption pattern of meat and processed meat products in Korea. Methods: A quantitative survey was performed by trained interviewers, surveying 1,500 adults who were randomly selected from six...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 외국산 축산물의 국내 유입과 국민 소득이 증가하며 식생활의 서구화로 인하여 식육 소비량이 높아짐에 따라 국내에 유통되고 있는 식육 및 그 가공품에 대한 미생물학적 안전성에 대한 관심이 사회 전반적으로 크게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한민국 성인1,500명을 대상으로 식육 및 식육가공품에 대한 소비자의 식중독 위험성과 안전에 대한 인식, 식중독 관련 경험, 소비자의 최근 식육 및 식육가공품의 구매 및 외식 패턴 등을 파악하여 식육 및 그 가공품에 대한 위해평가/관리 및 소비자 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되었으며 중요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다수의 조사대상자는 육회 및 육회가 포함된 음식에 대해 식중독 위험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가열된 음식에 대해서는 식중독 위험을 인식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특정 식품에 대한 위험 인식 여부가 식품 섭취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식육 및 식육가공품 섭취에 대한 소비자의 식중독 위험성과 안전에 대한 인식, 식중독 관련 경험, 소비자의 최근 식육 및 식육가공품의 구매 및 외식 패턴 등을 조사하여 식육 및 식육가공품의 안전한 섭취에 대한 소비자 교육 및 위해 평가 및 관리 방안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비자가 갖는 식품 안전에 대한 지식이나 정보는 어떤 결과로 이어질 수 있는가? Kim HC & Kim MR(2009)은 식품안전에 대한 정보가 소비자의 식생활에 대체로 큰 영향을 미치며 Pak JY 등(2009)은 식품안전 인지도가 정확한 소비자 집단은 비교적 안전 행동을 적절하게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난다고 보고하였다. 소비자가 갖는 식품 안전에 대한 지식이나 정보는 인식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식품안전에 대한 태도를 형성하는데 영향을 끼치며 결과적으로 충분한 내면화를 거친 태도의 변화는 식품안전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다(Yoo HJ 2012). 따라서 식중독 예방을 위해서는 최종 소비자의 식품 안전에 대한 정확 한 지식을 인지하고 있는지에 대한 파악이 필요하다.
조사대상자의 식육 및 식육가공품의 식중독 위험성 및 섭취 안전성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중, 육회 및 육회가 포함된 음식에 대한 결과는 어떠한가? 조사대상자의 식육 및 식육가공품의 식중독 위험성 및 섭취 안전성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생간, 육사시미 등의 육회 및 육회가 포함된 음식에 대해 조사대상자의 86.1%가 해당 음식의 ‘식중독 위험을 인식’하였으며 이 중 29.4%가 ‘비가열 식육 섭취에 따른 식중독 위험성을 강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이 남성보다 더 높은 비율로 ‘식중독 위험을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나 성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대다수의 조사대상자가 육회 및 육회가 포함된 음식에 대해 식중독 위험을 인식하고 있다는 결과는 육회와 같이 날것으로 먹거나 조개류, 생굴, 회 등과 같이 상대적으로 가열처리가 적은 식품에 대해 소비자의 식중독 위험 인식도가 상위권을 차지한다는 선행연구(Park HJ 등 2013)와 일치했다. 반면 탕, 국, 찌개 등 가열된 음식에 대해 ‘식중독 위험이 없다’(57.
식중독 예방을 위해 필요한 것은? 소비자가 갖는 식품 안전에 대한 지식이나 정보는 인식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식품안전에 대한 태도를 형성하는데 영향을 끼치며 결과적으로 충분한 내면화를 거친 태도의 변화는 식품안전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다(Yoo HJ 2012). 따라서 식중독 예방을 위해서는 최종 소비자의 식품 안전에 대한 정확 한 지식을 인지하고 있는지에 대한 파악이 필요하다. 또한 효과적인 소비자 식생활 안전 교육을 위해서 소비자의 구매 및 소비실태, 외식현황 등의 식생활 패턴에 대한 파악도 요구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ahk GJ, Chun SJ, Park KH, Hong CH, Kim JW. 2003. Survey on the foodborne illness experience and awareness of food safety practice among Korean consumers. J Food Hyg Saf 18(3):139-145. 

  2.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2014.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of infectious diseases in Korea annual report 2008-2014. Available from: http://www.cdc.go.kr/CDC/info/CdcKrInfo0520.jsp?menuIdsHOME001-MNU1132-MNU0072-MNU0074. Accessed February 18, 2016. 

  3. Choi MH, Youn SJ, Ahn YS, Seo KJ, Park KH, Kim GH. 2010. A survey on the consumer's recognition of food labeling in Seoul a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10):1555-1564. 

  4. Fein SB, Lando AM, Levy AS, Teisl MF, Noblet C. 2011. Trends in US consumers' safe handling and consumption of food and their risk perceptions, 1988 through 2010. J Food Prot 74(9):1513-1523. 

  5. Gould LH, Walsh KA, Vieira AR, Herman K, Williams IT, Hall AJ, Cole D. 2013. Surveillance for foodborne disease outbreaks-United States, 1998-2008. MMWR 62(2):1-34. 

  6. Hoffmann S, Batz MB, Morris Jr JG. 2012. Annual cost of illness and quality-adjusted life year losses in the United States due to 14 foodborne pathogens. J Food Prot 75(7):1292-1302. 

  7. Kim CW. 2014. A comparing study on the levels of food safety control behaviors according to the types of information gathering: Focused on foodservice major college students. J Bus Econ 30(3):103-120. 

  8. Kim HC, Kim MR. 2003. Consumers' awareness and informationseeking behaviors towards food hygiene (2): Focused on foodborne illness. Fam Environ Res 41(10):117-128. 

  9. Kim HC, Kim MR. 2009. Consumers' awareness of the risk elements associated with foods and information search behavior regarding food safety.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9(1):116-129. 

  10.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Report of the census on establishments. Available from: http://kosis.kr/ups/ups_01List.jsp. Accessed March 10, 2016. 

  11. Macromill embrain. 2015. 2015 Perception towards meat and foot-and-mouth disease. Available from: http://www.trendmonitor.co.kr. Accessed March 4, 2016. 

  12. McCabe-Sellers BJ, Beattie SE. 2004. Food safety: Emerging trends in foodborne illness surveillance and prevention. J Am Diet Assoc 104(11):1708-1717. 

  13.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015.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statistics yearbook. Available from:http://lib.mafra.go.kr. Accessed February 18, 2016. 

  14.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6. Food poisoning statistics. Available from: http://www.foodsafetykorea.go.kr/portal/healthyfoodlife/foodPoisoningStat.do. Accessed February 18, 2016. 

  15. Pak JY, Choi EH, Choi JH, Shim SK, Park HS, Park KH, Moon HK, Ryu K. 2009. Assessment of consumer's food safety perceptions and practices. J Food Hyg Saf 24(1):1-11. 

  16. Park HJ, Min KJ, Park NY, Cho JI, Lee SH, Hwang IG, Heo JJ, Yoon KS. 2013. Estimation on the consumption patterns of potentially hazardous foods with high consumer risk percep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45(1):59-69. 

  17. Redmond EC, Griffith CJ. 2003. Consumer food handling in the home: A review of food safety studies. J Food Prot 66(1):130-161. 

  18. Scallan E, Hoekstra RM, Angulo FJ, Tauxe RV, Widdowson M, Roy SL, Jones JL, Griffin PM. 2011. Foodborne illness acquired in the United States-Major pathogens. Emerg Infect Dis 17(1):7-15. 

  19. Yoo HJ. 2012. A development of Korean and US university consumers' food safety attitude-behavior model. J Saf Crisis Manag 8(6):149-169. 

  20. Yoo HJ, Joo SH. 2014. Comparisons of food safety perception and competency between Korean, Chinese, and American consumers. J Saf Crisis Manag 10(10):19-43. 

  21. Yoon KS, Yoon HJ, Koo SJ. 2005. Study on handling practices and consumption of potentially risky foods in family home. J Food Hyg Saf 20(3):147-15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