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학계열 대학생들의 교과목 성적과 K-CESA 핵심역량의 관계 분석
The Relationship between Course Grades and the K-CESA Core Competencies for Engineering Students 원문보기

공학교육연구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v.19 no.4, 2016년, pp.35 - 46  

황지원 (서울시립대학교 교육혁신본부) ,  김학진 (서울시립대학교 교육혁신본부) ,  송오성 (서울시립대학교 신소재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the emphasis on core competencies, the University of Seoul has exerted efforts to reflect the importance of core competencies in university curricula. The main assessment tool used in Korea is the Korea Collegiate Essential Skills Assessment (K-CESA), developed by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교과목 성적과 핵심역량 간의 관계를 고찰하고자 서울시립대학교 공학계열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K-CESA 결과와 참여한 학생들의 교과목 성적을 매칭 하여 둘 사이의 관계를 여러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 이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학습성과를 대리할 수 있는 변수로 주요 교과영역 성적을 설정하고 핵심역량과의 관계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 특히 핵심역량의 특성상 개별 영역에 따른 편차가 존재함을 전제하고, 주요 영역에 대한 K-CESA 결과와 특정 교과목의 성적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학에서의 학습 성취도에 대한 측정개념으로서 핵심역량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이유는 대학 생의 핵심역량에 대한 관심이 아직 시범 단계에 머물러 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최정윤, 2009).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점을 인식하고 탐색적인 차원에서 교과목 성적과 핵심역량의 관계를 분석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 특히 핵심역량의 특성상 개별 영역에 따른 편차가 존재함을 전제하고, 주요 영역에 대한 K-CESA 결과와 특정 교과목의 성적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것을 측정학적인 용어로 기술하면, 검사-준거 관련성에 입각한 공인타당도를 확인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이 연구 에서는 K-CESA 핵심역량 점수와 주요 교과영역 성적 간의 상관을 검토하여 K-CESA 핵심역량 점수의 학습 성취도 개념으로서의 사용 가능성에 대해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역량에는 다양한 조건들이 많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학생에 따른 편향을 제거하기 위하여 서울시립대학교 공학계열 학생들로 대상자를 한정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 이러한 질문에 답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각영역별 교과목 점수와 핵심역량의 각 세부영역별 점수의 관계를 다각도로 분석해 보았다. 특정한 교과목을 이수하는 것이 특정한 핵심역량을 향상시키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는지를 검토하여, 대학에서의 핵심역량 향상을 위한 구체적인 제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 이번에는 학생들의 핵심역량 점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회귀분석을 통해 종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학생들의 개인 배경 변수를 통제한 이후에도 특정 교과목의 성적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토하기 위한 것이다.
  • 이러한 질문에 답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각영역별 교과목 점수와 핵심역량의 각 세부영역별 점수의 관계를 다각도로 분석해 보았다. 특정한 교과목을 이수하는 것이 특정한 핵심역량을 향상시키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는지를 검토하여, 대학에서의 핵심역량 향상을 위한 구체적인 제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 이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학습성과를 대리할 수 있는 변수로 주요 교과영역 성적을 설정하고 핵심역량과의 관계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 특히 핵심역량의 특성상 개별 영역에 따른 편차가 존재함을 전제하고, 주요 영역에 대한 K-CESA 결과와 특정 교과목의 성적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것을 측정학적인 용어로 기술하면, 검사-준거 관련성에 입각한 공인타당도를 확인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이 연구 에서는 K-CESA 핵심역량 점수와 주요 교과영역 성적 간의 상관을 검토하여 K-CESA 핵심역량 점수의 학습 성취도 개념으로서의 사용 가능성에 대해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 이번에는 학생들의 핵심역량 점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회귀분석을 통해 종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학생들의 개인 배경 변수를 통제한 이후에도 특정 교과목의 성적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토하기 위한 것이다. 종속변수로는 각 핵심역량을 투입하였고, 예측변수로는 성별(남 1/여 0), 지역(수도권 1/비수도권 0), 학적(졸업생 1/미졸업생 0), 인증(인증프로그램 1/ 비인증프로그램 0), 기초설계 평점, 요소설계 평점, 종합설계 평점, MSC 평점, 전문교양 평점 등의 변수를 투입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공학교육인증제는 어떻게 시작되었는가? 우리나라 공학교육인증제는 미국의 ABET (Accreditation Board for Engineering and Technology)를 모델로 하여 공학교육의 발전을 촉진하고 산업과 사회가 필요로 하는 실력을 갖춘 공학기술 인력을 배출하는 목적으로 2000년 한국공학교 육인증원(Accreditation Board for Engineering of Korea)을설립하면서 시작되었다. 공학교육인증의 취지는 수요지향 교육및 성과중심 교육 체계라고 할 수 있으며, 최근 많은 기업들이 신입직원 채용과정을 ‘스펙’ 중심에서 ‘직무능력’ 중심으로 점차 전환하면서 공학교육인증제도의 중요성이 대학 내에서 더욱 높아지고 있다.
K-CESA에서 핵심역량 요소를 어떤 영역으로 나누어 진단하는가? 특히 대학들로 하여금 핵심역량 중심으로의 교육과정 개편을 주문하기 시작하면서부터 고등교육 환경에서의 핵심역량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대표적으로 활용되는 핵심역량 진단검사가 바로 K-CESA이다. 이 검사에서는 핵심역량 요소를 의사소통역량, 글로벌역량, 자원정보기술의 활용역량, 종합적사고력, 대인관계 역량, 자기 관리역량의 6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대학생들의 핵심역량을 진단한다. 6개 영역의 정의와 각각의 검사 구성 내용은 다음의 [Table 1]에 자세히 제시되어 있다.
핵심역량이란? 일반적으로 핵심역량이란 특정 영역에서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의미하기 보다는 다양한 상황에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지식, 기술, 태도를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다(진미석 외, 2011). 특히 최근에는 평생학습시대를 살아가는데 있어서 누구에게라도 토대가 되는 공통적이고 기본적인 삶의 능력을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되며, 여전히 개념이 진화하는 중에 있다(임언 외,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진미석, 손유미, 주휘정 (2011).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체제 구축방안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29(4), pp. 461-486. 

  2. 임언, 최동선, 박민정 (2008). 미래 사회의 직업세계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 연구.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 총서 08-31-02. 연구보고 RRC 2008-7-2. 

  3. 손유미, 송창용, 이현정 (2015). 대학생 핵심역량 지원 방안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4. 최정윤(2009). OECD 고등교육 학습성과 평가사업 연구(I). OECD AHELO사업 참여를 위한 실천전략 탐색. 한국교육개발원. 

  5. Spencer, L. M. & Spencer, S. M. (1993). Competence at Work: Models for superior Performance.(민병모 외 역, 핵심역량모델의 개발과 활용, PSI 컨설팅. 1998.) 

  6. Norton, Robert E. (1999). Systematic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Development(SCID) Workshop. Center on Education and Training for Employment. The Ohio State University. 

  7. 황준욱, 안주엽, 김승택, 이상민, 전병유, 강신길, 유승호, 김민규, 박성재, 강승복, 김복순, 최영아(2004). 문화콘텐츠산업 인력구조 및 직무분석-애니메이션 산업을 중심으로-. 한국노동연구원. 

  8. Secretary's Commission on Achieving Necessary Skills (1991). What Work Requires of Schools: A SCANS Report for America 2000. Washington D.C.: The US Department of Labor. 

  9. 유현숙, 김남희, 김안나, 김태준, 이만희, 장수명 (2002). 국가수준의 생애능력 표준 설정 및 학습체제 질 관리 연구(I).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 2002-19. 

  10. 오윤나 (2006). 성인학습자의 핵심역량 개발에 대한 인식 및 요구조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Klieme., E., Avenarius. H., Blum, W., DoBrich, P., Gruber, H., Prenzel, M., Beiss, K., Riquarts, K., Rost, J., Tenorth, H., & Vollmer, H. (Eds.) (2004). The developmnet of national educational standards. Berlin; BMBF. 

  12. 박민정(2008). 대학교육의 기능과 역할 변화에 따른 대안적 교육과정 담론: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교육적 함의. 교육과정연구. 26(4), pp.173-197. 

  13. 김학진, 송오성 (2015). 공학교육 인증프로그램 재학생과 비인증프로그램 재학생의 OECD 고등교육학습성과평가 결과 비교분석. 공학교육연구, 18(5), pp.51-58. 

  14. 이장익 (2012). 대학입학 전형제도 유형과 대학생 핵심역량에 대한 연구.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4(2), pp. 73-96. 

  15. 진미석 (2013). 수도권 및 지방대학생 핵심역량의 격차에 관한 탐색적 연구, 교육사회학연구, 23(1), pp. 105-127. 

  16.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999). 직업교육훈련 대사전.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7. 진미석, 손유미, 송창용, 주휘정(2011). 대학생핵심역량진단시스템 구축.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8. K-CESA 홈페이지(한국직업능력개발원), http://www.kcesa.re.kr/index.do 

  19. 한국공학교육인증원 홈페이지, http://www.abeek.or.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