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누가 '산업체 수요 조사'를 수요하는가? : 추격형 수요기반 공학교육의 역설
Who demands the Survey of Industry Demand?: Paradox of Demand-Based Engineering Education Under Catch-up Paradigm 원문보기

공학교육연구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v.19 no.4, 2016년, pp.72 - 82  

한경희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Korea, engineering education based on industry demand is highly emphasized; the survey of industry demand or company satisfaction is frequently conducted. Although engineering schools have often attempted and implemented the reform of engineering education, it was found that company satisfaction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술인력 수급에 관심이 본격화 된것은 언제부터인가? 먼저 기술인력 수급과 관련한 조사활동의 등장과정을 살펴보자. 우리나라에서 기술인력 수급에 대한 관심이 본격화된 것은 1962년에 경제기획원이 기술인력 분류체계를 도입하면서부터이다(한경희・다우니, 2016). 당시에는 산업화의 기틀을 마련하려는 취지에서 전국적으로 얼마나 많은 기술 인력이 존재하고 분포되어있는지를 파악할 필요가 있었다.
산업체 수요와 대학교육 간의 양적,질적 불일치의 내용은 무엇이 있는가?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양적인 면에서는 대학이 많은 졸업생을 배출하고 있지만 산업체가 요구하는 전공 영역의 졸업생을 배출하고 있지 못하다. 둘째, 산업체에서 필요로 하는 졸업생들의 현장적용능력, 실무능력이 취약해 실제 업무에 곧바로 투입하기 어렵다. 셋째, 과거에 비해 오히려 전공교육이 약화되어 이것이 기초실력 부족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것이다(김기완, 2004; 채창균・옥준필, 2006; 류지성, 2007).
인력양성정책은 어떤 역할을 할수 있는가? 당시에는 산업화의 기틀을 마련하려는 취지에서 전국적으로 얼마나 많은 기술 인력이 존재하고 분포되어있는지를 파악할 필요가 있었다. 이 과정에서 기술자, 기술공, 기능공 등의 범주가 만들어졌고 국가 산업정책에 맞추어 필요 인력을 양성하고 공급할 수 있는 인력양성정책이 추진되었다. 1973년에는 국가기술자격법이 제정되어 국가 차원에서 기술 인력의 양성과 공급 상황을 전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강경종.윤여인.정호(2013). 수요 지향적 융합.실무형 공학인재 육성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 강성원.장원섭.김형만(2000). 기업의 대학교육 만족도 조사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3. 고상원.장진규(1995). 과학기술인력 장기수급전망 및 대응방향. 한국과학기술정책연구원. 

  4. 교육부(2015). 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PRIME) 사업 기본계획. 교육부 지역대학육성과. 

  5. 구자경(1994). 공학 기술인의 위상과 과제. 공학교육: 37-39. 

  6. 김기완(2004). 수요지향적인 과학기술인력 양성을 위한 정책방향. 한국과학기술평가원. 

  7. 김선우(2013). 학생 및 교원 창업 활성화를 위한 대학의 창업친화적 제도 설계 방안. 과학기술정책, 23(2): 34-41. 

  8. 김왕동(2013). 추격형 과학기술인재 양성 체제의 진단. 추격형혁신시스템을 진단한다. 한울. 

  9. 김종영(2015). 지배받는 지배자: 미국 유학과 한국 엘리트. 돌베개. 

  10. 김철(2006). 대학의 이념과 21세기의 대학교육. 교육의 이론과 실천, 11(1): 19-36. 

  11. 대한상공회의소(2006). 중소기업 인력난 원인과 고용증대방안. 

  12. 류지성(2007). 선진사례로 본 한국 공학교육의 방향. 공학교육, 14(1): 16-17. 

  13. 박가열(2009). 대학생 진로개발 역량을 위한 교육요구 분석. 진로교육연구, 22(2): 181-198. 

  14. 박남기.임수진(2015). 5.31 대학교육 개혁의 영향과 과제: 대학설립 준칙주의와 정원 자율화 정책을 중심으로. 교육정치학 연구, 22(4): 1-28. 

  15. 박동.이의규(2015). 사회수요에 맞는 고등교육개혁 추진전략과 정책제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6. 박의수(2006). 한국 대학교육의 본질적 문제와 개혁의 방향. 교육철학, 35: 31-47. 

  17. 서울대학교 공과대학(2015). 축적의 시간. 지식노마드. 

  18. 송성수(2004). 한국 과학기술활동의 성장과 과학기술자사회의 특징: 시론적 고찰. 과학기술정책, 14(1): 80-96. 

  19. 송위진(2010). 창조와 통합을 지향하는 과학기술혁신정책. 한울. 

  20. 송위진.이은경.송성수.김병윤(2004). 한국 과학기술자 사회의 특성 분석. 한국과학기술정책연구원. 

  21. 연세대학교(2015). 산업체 인터뷰 분석자료.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내부문서. 

  22. 윤명희.신현순.서희정(2010). 대학생의 직업세계 인식에 관한 연구. 직업교육연구, 29(4): 305-327. 

  23. 이덕환.김종영.박승찬.박승철(2016). 정부의 취업 중심 대학구조조정, 믿을만한 길일까?. 교수신문 4월 26일. 

  24. 이상천.배성문.박종훈(2015). 가족회사의 산학협력 프로그램 만족도 평가를 통한 성과지향적 융복합 산학협력지원 프로그램 모형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3(5): 9-19. 

  25. 장창원(2005). 인력수급 전망에 대한 새로운 접근방법의 모색. HRD Review, 8(2): 110-119. 

  26. 전국경제인연합회(2002). 기업에서 본 한국 교육의 문제점과 과제. 

  27. 정재용.황혜란(2013). 추격형 혁신시스템을 진단한다. 한울. 

  28. 조영임.정형철(2010). 공학교육정책: 공학교육에서 산학협력 애로요인 및 활성화 방안 연구. 공학교육연구, 13(4): 36-42. 

  29. 채창균.옥준필(2006). 기업의 대학교육 만족도와 신입사원 교육 훈련. 한국직업능력개발원. 

  30. 최창택.김상일.최문정.손석호.안상진.이승규.김보라(2015). 2015년 KISTEP 10대 미래유망기술 선정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31. 한경희(2006). 이공계 대학특성화의 기회와 제약: 획일화된 다양성. 한국사회학 40(1): 157-182. 

  32. 한경희.게리 다우니(2016). 엔지니어들의 한국사. 휴머니스트. 

  33. 한경희.윤일구.이강택.김태연(2014). 실패에 관한 다양한 관 점과 공학교육에서의 함의. 공학교육연구, 17(6): 12-19. 

  34. 한국공학한림원 차세대공학교육위원회(2015). 차세대 공학교육혁신 방안 연구. 한국공학한림원. 

  35. 한국대학교육협의회(2012). 산업체 관점 대학평가. 교육부. 

  36. 한지영(2015). 우리나라 기업생태계, 대기업.중소기업 비중 분석. 전국경제인연합회. 

  37. 황혜란(2013). 공공연구부문의 탈추격형 혁신활동과 시스템 전환의 한계. 추격형 혁신시스템을 진단한다. 한울. 

  38. Jasanoff, Sheila and Kim, Sang-hyun(2013). "Sociotechnical Imaginaries and National Energy Policies", Science as Culture 22 (2): 189-196. 

  39. National Academy of Engineering(2005). Educating the Engineer of 2020.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40. National Academy of Engineering(2008). Grand Challenges for Engineering.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41. TIMSS(2007). Trends in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42. Trilling, Bernie and Fadel, Charles(2012). 21st Century Skills: Learning for Life in Our Times. Jone Wiley & Sons, Inc.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