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학역량에 대한 산업체의 요구분석
Industry Needs Assessment on Engineering Competency 원문보기

공학교육연구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v.22 no.3, 2019년, pp.3 - 10  

이정은 (신한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ducational needs of the industry for engineering education using the engineering competency scale. For needs assessment, t-test, Borich Needs Assessment and the Locus for Focus(LFF) were conducted using 400 employees' answers of industry. The results of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공학교육에 대한 산업체의 교육요구를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내용타당도를 갖춘 공학 역량척도를 요인분석하여 6개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총 43문항의 설문지를 연구에 활용하였다.
  • 본 연구는 공학역량척도를 활용하여 산업체의 교육요구를 분석함으로써 공학교육 전반에 걸쳐 공학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특히 공학역량의 6가지 하위 요인 중 산업체가 요구하는 최우선순위의 교육요구가 대인관계기술, 리더십, 전문가 태도와 능력의 세 가지 하위요인의 향상에 있음을 밝혀내었다.
  • 본 연구에서는 산업체의 공학교육에 대한 요구를 알아보기 위해 공학역량 척도를 활용하여 교육 요구분석을 진행하였다. 이에 공학역량과 교육 요구분석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산업체의 공학교육에 대한 요구를 알아보기 위해 공학역량 척도를 활용하여 교육 요구분석을 진행하였다. 이에 공학역량과 교육 요구분석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특정한 공학계열의 한 영역이 아닌 모든 공학계열을 아우르는 교육 요구분석을 진행하기 위해 학습성과를 포괄하는 공학역량척도를 활용하여 산업체가 갖고 있는 공학교육에 대한 요구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국내 산업체가 인식하고 있는 공학교육의 성과를 진단하고 공학역량강화를 위해 우선적으로 실시해야 하는 교육의 내용을 파악 할 수 있을 것이다.
  •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미국 고용주가 원하는 엔지니어의 기술로 나타난 대화능력, 대인관계, 윤리, 팀워크, 분석능력 등(주원종, 2017)과 일치하였다. 이와 같이 공학교육의 최우선 순위로도 출된 내용을 공학도에게 교육하기 위한 방안을 세 개의 하위요인 별로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학교육인증원이 제시하는 학습성과란 무엇인가? 공학교육인증원이 제시하는 학습성과는 고등교육 과정에서 공학계열 학생들이 달성해야 하는 지식, 기술, 태도를 말한다(한국공학교육인증원, 2015). 국내에서는 학습성과를 공학역량이라는 개념과 혼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전주현, 2013).
공학역량을 12가지 영역으로 나누는데 어떤 것들로 이루어져있는가? 한편, Chan, Zhao & Luk (2017)는 공학역량을 12가지 영역으로 구분했다. 이는 대인관계기술, 팀워크 기술, 의사소통기술, 문제해결기술, 비판적 사고, 자기관리, 전문적 효율성, 적응 기술, 정보활용능력, 리더십, 학습능력, 지역사회 관련 지식 등이다.
고급 인력을 양성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수요조사의 경향이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우리나라에서 수요조사는 1990년대 중반부터 본격적으로 대학교육정책에 반영되기 시작했다. 기존의 양적 인력수급의 추세에서 질적 수급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사회 분위기가 변화되면서 산업체가 필요로 하는 고급 인력을 양성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수요조사의 경향이 나타난 것이다(한경희, 2016). 이와 유사한 개념의 교육 요구분석은 교육 관련 문제에서 현재 수준과 바람직한 수준 사이의 차이를 분석하여 우선순위를 결정함으로써 교육적 해결책을 제시하는 과정이다(조대연,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권재기.정미경(2014). 공과대학생의 핵심역량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교육방법연구, 26(4), 687-716. 

  2. 김재엽.원종성(2017). 팀 기반 학습을 이용한 건축시공 교육의 학습효과 및 만족도 분석. 한국건축시공학회지, 17(1), 101-109. 

  3. 박기문.이규녀(2011). 공과대학생들의 학습성과(PO)에 대한 교육요구도 사례 연구. 공학교육연구, 14(3), 38-44. 

  4. 박재현.이수용(2014). 공학 기술자들에게 요구되는 리더십 특성 - 공학분야 대기업 인사담당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공학교육연구, 17(1), 12-19. 

  5. 우종필(2012). 구조방적식모델 개념과 이해. 한나래출판사. 

  6. 윤준선.정태현.하한기(2011). 건축공학교육의 산업체 수요분석. 대한건축학회, 55(6), 35-38. 

  7. 이근수(2014). PBL을 적용한 창의공학설계 교수설계 방안 연구. 한국산한기술학회논문지, 15(7), 4573-4579. 

  8. 이재숭(2008). 공학윤리교육의 필요성 및 교육내용과 방법. 윤리교육연구, 16, 229-244. 

  9. 이정은.양승희(2018). 간호학 분야 학습자 중심 수업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아시아교육연구, 19(4), 1049-1077. 

  10. 임경화.안정현(2016). 공학생의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질문 생성 전략 활용 플립러닝 수업 설계.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8(2), 75-81. 

  11. 전주현(2013). 공학교육인증제도 참여 대학생의 공학핵심역량이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2. 조대연(2009). 설문조사를 통한 요구분석에서 우선순위결정 방안 탐색. 교육문제연구, 35, 165-187. 

  13. 조동헌(2016). 공학계열 대학생의 핵심역량 도출과 평가지표 개발.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조명희(2015). 미경험학습자의 교육요구분석을 위한 수정모델에 대한 연구 -스마트교육 교원 역량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5. 주원종(2017). 신산업 융합인재 양성을 위한 공학교육혁신 우수 사례. 2017 신산업 융합인재 포럼 발표자료. 

  16. 진성희(2017). 융합기술교육에 대한 산업체 수요조사: 나노, 바이오, 로봇, 디자인 분야를 중심으로. 공학교육연구, 20(1), 18-27. 

  17. 한경희(2016). 누가 '산업체 수요 조사'를 수요하는가? : 추격형 수요기반 공학교육의 역설. 공학교육연구, 19(4): 72-82. 

  18. 한국공학교육인증원(2015). 공학교육인증기준 2015. 서울: 공학교육인증원. 

  19. 한국산업기술진흥원(2018). 공학교육혁신지원사업 연차평가 설명회 자료집. 

  20. 함승연(2009). 공대 졸업생들의 공학기초능력 수준과 교육 요구 분석.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4(1), 196-209. 

  21. 허준영.한수민(2016). 공학전공기초실습에 플립러닝 적용사례.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8(2), 83-89. 

  22. 황성호.이상은(2012). 기계공학 전공심화 교과목의 PBL 수업 적용. 대학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2012(6), 160-162. 

  23. Bert, R.(2017). Engineering ethics: Real world case studies. Civil Engineering, 87(7), 83. 

  24. Borich, G.(1980). A needs assessment model for conducting follow-up studies.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1(3), 39-42. 

  25. Chan, C. K. Y., Zhao, Y. & Luk, L. Y. Y.(2017). A validated and reliable instrument investigating engineering students' perceptions of competency in generic skills.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106(2), 299-325. 

  26. EbrahimiNejad, H.(2017). A systematized literature review: Defining and developing Engineering Competencies. 2017 ASEE Annual Conference & Exposition, columbus, Ohio. 

  27. Jonassen, D. H. & Cho, Y. H.(2011). Fostering argumentation while solving engineering ethics problems.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100(4), 680-702. 

  28. Kaufman, R. & Valentine, G.(1989). Relating needs assessment and needs analysis. Performance and Instruction, 28(10), 10-14. 

  29. Male, S. A., Bush, M. B. & Chapman, E. S.(2011). An Australian study of generic competencies required by engineers. European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36(2), 151-163. 

  30. Mink, O. G., Shultz, J. M. & Mink, B. P.(1991). Developing & managing open organizations: A model and method for maximizing organizational potential. Austin:Somerstet Consulting Group, Inc. 

  31. Voorhees, R. A.(2001). Competency-based learning models: A necessary future. New Directions for Institutional Research, 2001(110), 5-9. 

  32. Witkin, B. R. & Altschuld, J. W.(1995). Planning and Conducting Needs Assessments: A Practical Guide. Sage Publications: Thousand Oaks, CA. 

  33. World Economic Forum(2017). Closing the skills gap -Business commitment framework. http://www3.weforum.org/docs/WEF_EGW_Closing_Skills_Gap_Initiative_Commitment_Framework 

  34. Zarafshani, K. & Baygi, A. H. A.(2008). What can a Borich needs assessment model tell us about in-service training needs of faculty in a college of agriculture? The case of Iran.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Extension, 14(4), 347-35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