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취학자녀를 둔 맞벌이 집단의 근무일과 비근무일 생활시간배분
Time allocation of a dual-earner working group with preschool children on working and nonworking days 원문보기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v.20 no.3, 2016년, pp.25 - 43  

김외숙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가정학과) ,  송혜림 (울산대학교 아동가정복지학과) ,  조희금 (대구대학교 가정복지학과) ,  김주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가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focused on the time use of a dual-earner working group with preschool children on working and nonworking days using 2014 time-use survey data provided by Statistics Korea(KOSTAT). We collected the time-use data recorded in a 2,158 time diary. We divided the time use into 4 parts ; paid w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심층 면접을 통해 육아기 맞벌이 남성의 일 가정 양립 경험을 분석한 채화영과 이기영(2013)의 연구에 따르면, 육아기 맞벌이 여성의 경우 가정과 직장 에서 오는 역할부담이 일 가정 양립의 가장 큰 어려움으로 나타났으며 남성의 경우에는 자신이 학습한 가부장적 남편과 아버지 역할이 현재 자신의 역할에 적합하지 않고 가정에서 주도적 참여를 할 수 없는 점이 이들 집단의 일 가정 양립의 가장 큰 어려움으로 나타났다고 제시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가장 최근의 생활시간조사자료를 통해 맞벌이를 하는 남성과 여성의 생활시간배분에 있어 성별 차이가 여전히 존재하는지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맞벌이 집단의 일 생활 균형 상태를 파악해볼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맞벌이 가정의 보편화 현상에 주목, 맞벌이 가정의 일상생활을 시간배분을 통해 분석하고자 한다. 통계청이 5년마다 제공하는 생활시간조사 결과는 하루 24시간의 생활이 시간적으로 어떻게 배분되는가를 나타내는 유용한 자료이다.
  • 본 연구는 통계청의 2014 생활시간조사자료를 사용하여 미취학 자녀를 둔 맞벌이 집단의 근무일과 비근무일 생활시간배분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미취학자녀를 둔 맞벌이 집단에서 여성의 경우 남성보다 총노동시간이 근무일 하루 평균 40분 가량 더 많다.
  • 본 연구에서는 네 가지 생활영역, 즉 유급노동-가사노동(돌봄 포함)-여가-생활필수에 배분된 시간량을 분석하고자 하는 바, 2014년 생활시간조사의 소분류를 재조정하여 아래와 같이 구성하였다. 유급노동에는 고용된 일 및 자영업, 구직활동, 학교활동, 학교활동외 학습, 출•퇴근 기타 일 관련이동, 학습관련이동을 포함하였으며, 가사노동에는 음식준비, 가정용 섬유 및 신발관리, 청소 및 정리, 주거 및 가정용품 관리, 차량관리, 애완 동식물 돌보기, 상품 및 서비스 구입, 기타 가정 관리, 함께 사는 만 10세미만 아이 돌보기, 함께 사는 만 10세이상 초중고생 돌보기, 함께 사는 배우자 돌보기, 함께 사는 부모 및 조부모 돌보기, 함께 사는 그 외 가구원 돌보기, 함께 살지 않은 그 외 가족 돌보기, 가정관리 관련 이동, 가족 및 가구원 돌보기 관련 이동을 포함하였다.
  •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는 미취학기 자녀를 둔 맞벌이 집단의 생활시간이 어떻게 배분되는가를 분석하고자 한다. 통계청의 2014년 생활시간조사 원자료를 사용하여, 직업노동-가사노동(가족원 돌봄 포함)-여가-생활필수 등 네 가지 생활영역에 배분된 시간량을 분석하고자 하는데, 특히 근무일과 비근무일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이에 영향 미치는 변수를 파악하고자 한다.
  •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는 미취학기 자녀를 둔 맞벌이 집단의 생활시간이 어떻게 배분되는가를 분석하고자 한다. 통계청의 2014년 생활시간조사 원자료를 사용하여, 직업노동-가사노동(가족원 돌봄 포함)-여가-생활필수 등 네 가지 생활영역에 배분된 시간량을 분석하고자 하는데, 특히 근무일과 비근무일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이에 영향 미치는 변수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앞으로 더 증가할 맞벌이 집단의 생활실태, 특히 시간빈곤, 시간부족 등의 현상을 더욱 심층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통계청이 5년마다 제공하는 생활시간조사 결과는 어떤 자료인가? 본 연구는 맞벌이 가정의 보편화 현상에 주목, 맞벌이 가정의 일상생활을 시간배분을 통해 분석 하고자 한다. 통계청이 5년마다 제공하는 생활시간조사 결과는 하루 24시간의 생활이 시간적으로 어떻게 배분되는가를 나타내는 유용한 자료이다. 생활시간조사는 사회구성원의 삶의 질을 연구하고 국가의 복지정책 수립의 중요한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으며(손애리, 2000), 하루 주어진 24시간이 어떤 활동에 얼마큼 배분되는가는 생활양식, 일과 생활의 균형 등을 나타내주는 지표가 될 수 있다.
맞벌이 가정이 직면하는 문제와 원인은? 본 연구가 주목하는 맞벌이 가정은 직장노동과 돌봄이라는 두 가지 역할을 동시에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일상적으로 시간빈곤, 시간부족과 같은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앞으로 맞벌이 가정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는 바, 이들 집단의 생활시간배분에 대한 연구는 맞벌이 가정의 일상생활을 세밀하게 보여줌으로써 이들이 겪는 일-생활의 불균형이나 시간갈등 등의 현상을 포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간배분론과 젠더효과이론은 각각 무엇을 강조하나? 맞벌이 집단의 생활시간배분에 대한 이론적 고찰에서는 두 가지의 핵심적인 관점을 강조하는데, 시간배분론과 젠더효과이론이 그것이다. 시간배분 론은 가계 단위의 효용성을 강조하고, 젠더효과이론은 사회의 기대에 따른 개인의 선택을 강조하고 있다(김주희 이기영, 2015). 김진욱 최영준 (2012)은 생활시간조사자료를 활용, 가구 내에서 배분되는 일-가족 시간에 대한 실증분석을 하였 는데 그 결과 지난 10년간 이중노동부담의 비중은 감소하고 협조적 적응 유형이 증가하였으나 여전히 전통적인 성분업에 고착된 구조를 보여주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권기현 .전명진(2014). 생활시간 데이터를 활용한 수도권 맞벌이 가구의 성별 생활시간 및 이동수단 차이 분석. 지역연구, 30(3), 109-129. 

  2. 김동식. 김영택. 정진주. 최인선(2013). 맞벌이 여성의 일 가정 양립 갈등과 건강영향 연구: 근로시간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3. 김복수(2011). 한국인의 여가활동과 대중매체 이용시간의 변화: 2004년 생활시간조사 를 중심으로. 정신문화연구, 34(2), 185-218. 

  4. 김소영 .진미정(2015). 미취학 자녀를 둔 기혼 취업 남성의 주말 시간사용 유형화와 유형별 시간사용만족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3(2), 71-88 . 

  5. 김외숙. 조희금. 송혜림(2015). 기혼취업자의 일생활 균형. 통계청 "2015 생활시간조사 국제워크숍 : 생활시간조사 결과의 정책적 의의" 자료집. 

  6. 김주희. 이기영(2015). 맞벌이 부부의 시간배분을 통해 본 일-생활 유형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9(2). 101-125. 

  7. 김진욱. 고은주(2014). 맞벌이 부부의 가정 내무급노동시간 영향요인 국가비교: 노르웨이, 독일, 영국, 프랑스, 한국. 사회복지정책, 41(2), 185-212. 

  8. 김진욱 .최영준(2012). 일-가족 시간배분에 따른 가구유형과 변화-퍼지센 이상형 분석의 적용. 한국사회복지학회지, 64(2), 31-54. 

  9. 남수정. 유현정(2006). 취업주부의 시장소득에 따른 생활시간 분석. 한국생활과학회 2006 하계학술발표논문집. 

  10. 문숙재 .윤소영(2003). 맞벌이 주말부부의 생활시간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2), 213-220. 

  11. 박은정. 이성림(2013). 미취학자녀를 둔 맞벌이부부의 자녀양육시간 유형에 따른 시간부족감 및 시간사용만족도의 차이.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1(4), 97-111. 

  12. (사)가정을건강하게하는시민의모임(2014). 제22차 가족정책포럼 "일가정 양립을 위한 일하는 방식과 문화의 개선" 자료집. 

  13. 서미숙(2016). 성별에 따른 통근시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시간조사(Korean Time use Survey)를 중심으로. 여성연구논총, 18, 5-36. 

  14. 손문금(2005). 맞벌이 부부의 무급노동분담에 대한 실증적 연구: '생활시간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페미니즘 연구, 5, 239-287. 

  15. 손애리(2000). 시간연구의 특성과 생활시간조사 개발 과정. 조사연구, 1(1), 135-148. 

  16. 송혜림(2012). 남성의 일-가정 양립 실태와 요구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2), 1-18. 

  17. 송혜림(2014). 기혼취업여성의 일-가정 균형실태: 초등학교 저학년생 자녀를 둔 가정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8(3), 41-59. 

  18. 송혜림(2015). 일-가정 균형감과 행복도: 영유아기 자녀를 둔 기혼취업여성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9(3), 81-99. 

  19. 송혜림. 유아랑(2013). 돌봄노동의 사회적 지원 정책을 통해 본 일-가정 양립 실태에 대한연구: 학령전기 자녀를 둔 기혼취업여성의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4), 101-125. 

  20. 송혜림. 김외숙. 조희금(2015). 기혼취업남녀의 일-생활 균형. 통계청 2015 생활시간조사국제워크숍 '생활시간조사 결과의 정책적 의의' 자료집. 

  21. 유성용(2008). 가구적 관점에서 본 한국의 노동시간-1999/2004년 생활시간조사 자료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42(3), 28-62. 

  22. 이동훈. 이호진. 정민근(2011). 일상생활활동에 대한 생활시간 분석: 서울에 거주하는 한국 성인을 대상으로. 대한산업공학회지, 37(2), 105-117. 

  23. 이승미. 이현아(2011). 맞벌이 임금근로자 남녀의 생활시간구조분석. 대한가정학회지, 49(5), 81-96. 

  24. 이영환. 이수재(2007). 미취학 자녀를 둔 취업주부와 전업주부의 생활시간에 관한 연구-2004년 통계청에서 발표한 생활시간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과학회지, 10(1), 19- 25. 

  25. 이재림. 손서희(2013). 미취학 자녀를 둔 맞벌이 여성의 일-가족 갈등: 직장 및 자녀양육 관련 자원과 지각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8(1), 93-114. 

  26. 이창순(2014). 맞벌이 부부의 가사노동시간에 대한 연구.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사회과학연구,40(2), 29-54. 

  27. 장원봉(2002). 생활시간조사를 통한 실업자의 일상생활에 관한 연구 -실업자의 교체활동을 중심으로-. 도시와 빈곤, 59, 106-132. 

  28. 정경희(2001). 노인의 생활시간 배분실태. 보건복지포럼, 61, 56-70. 

  29. 정재기(2011).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청소년의 인터넷 이용형태-생활시간조사의 활용. 한국사회학, 45(5), 197-225. 

  30. 조미라(2016). 여가시간 불평등 연구: 1999-2009년 성별 여가시간양의 변화 및 불평등 요인분석. 한국인구학, 39(1), 29-57. 

  31. 조미라. 윤수경(2014). 한국 기혼남성의 가사노동시간 변화 연구 -교육수준에 따른 격차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44, 5-30. 

  32. 조보성(2006). 생활시간조사를 이용한 직장인들의 5년간 여가스포츠 활동과 참가시간의 변화 분석.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0(1), 125-135. 

  33. 조성호(2016). 부부의 시간배분 결정요인: 맞벌이 부부를 중심으로. 노동경제논집, 39(1), 57-79. 

  34. 주은선(2014). 노동인가, 돌봄인가, 여가인가? -전일제 임노동자 맞벌이 부모의 시간배분에 대한 젠더 영향과 학력의 조절효과. 사회복지연구, 45(3), 5-34. 

  35. 주익현(2015a). 계층별 맞벌이 여성의 시간부족감에 영향을 미치는 성역할태도의 조절효과. 연세대학교 사회과학논집, 46(1), 111-135. 

  36. 주익현(2015b). 맞벌이 여성의 소득기여도가 가사 시간량에 미치는 효과: 2004년, 2009년, 2014년 시계열적 변화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사회과학논집, 46(2), 49-68. 

  37. 지현진(2012). 2009년 생활시간조사자료를 근거로 노년층의 여가프로파일. 한국노년학, 32(3), 675-687. 

  38. 차승은(2011). 노동시간에 따른 시간압박과 여가제약-건강행동의 선택 혹은 희생?. 한국인구학, 34(2), 65-90. 

  39. 채화영. 이기영(2013). 육아기 맞벌이 남성의 일, 가정 양립 경험. 대한가정학회지, 51(5), 497-511. 

  40. 최균호(2005). 독일기업의 근로시간 단축과 가족 및 여가 생활의 변화-독일 폴크그바겐사의 '주 28.8시간 근무제'를 보기로. 독일어문학, 30, 387-407. 

  41. 최종후. 이동희. 소선하(2006). 생활시간소비 소비형태에 따른 피로도에 대한 연관성 분석. 한국조사연구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42. 통계청(2015). 2014년 생활시간자료. 

  43. 한영선. 윤소영(2009). 미취학 자녀를 둔 도시 맞벌이 부부의 여가시간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7(2), 81-95. 

  44. OECD(2015). How's Life?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