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취학 자녀를 둔 맞벌이 가정의 시간빈곤 수준과 삶의 질: 개인유지시간을 기준으로 한 시간빈곤 여부에 따른 집단 간 비교
Time Poverty and Quality of Life in Dual-Earner Families with Preschool Children: A Comparison between Time-Poor and Non-Time-Poor Groups 원문보기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 fer, v.55 no.1, 2017년, pp.45 - 55  

김미영 (숙명여자대학교 가족자원경영학과) ,  박미려 (충남대학교 소비자생활정보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s diverse factors in time poverty and quality of life in dual-earner families with preschool children that pertain to the individual, family, and occupation. Data were taken from the 17th edition of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developed by the Korea Labor Institute in 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화시키기도 하는 등 가정생활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2].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시간빈곤을 이해하기 위한 생활시간 영역에서 개인유지시간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그 가치를 확대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는 계기를 제공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가정생활에서의 시간빈곤과 삶의 질 관계에  대한 논의가 확대되고 있는 시점에서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것처  럼[19, 23, 26] 시간빈곤을 경험할 가능성이 가장 큰 미취학 자녀가 있는 맞벌이 가정의 시간빈곤 수준과 삶의 질 관계에 대해 주목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삶의 질은 미취학 자녀가 있는 맞벌이 가정 남녀의 가정생활 전반에 대한 주관적 평가로 정의하고자 하며, 시간빈곤을 경험하는지 여부에 따라 구분된 가정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각각 탐색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가정생활에서의 시간빈곤과 삶의 질 관계에  대한 논의가 확대되고 있는 시점에서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것처  럼[19, 23, 26] 시간빈곤을 경험할 가능성이 가장 큰 미취학 자녀가 있는 맞벌이 가정의 시간빈곤 수준과 삶의 질 관계에 대해 주목하였다. 미취학 자녀가 있는 맞벌이 가정은 시간 연구에 있어 오래전부터 중요한 대상으로 다루어지기는 했지만, 본 연구는 그들을 시간 빈곤 집단과 비빈곤 집단으로 구분하여 대상의 속성을 보다 세분화하여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미취학 자녀가 있는 맞벌이 가정의 시간빈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뿐 아니라 각 집단의 삶의 질 수준을 비교하고 그것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다양한 맥락에서 살펴봄으로써 이들을 위한 실천과제 제안의 다양화를 모색하였다.
  • 본 연구는 미취학 자녀가 있는 맞벌이 가정의 시간빈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개인, 가족 및 직업 특성 등으로 세분화하여 살펴보았고, 특히 시간빈곤 여부에 따라 집단을 구분한 후 그들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한국노동패널 17차(2014년도) 자료를 활용하였고, 연구 조사 대상 가구는 826가구였으며, 기술통계,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 등을 이용하여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 그러나 가정생활 전반에 대한 주관적인 평가로 정의될 수 있는 삶의 질과 시간빈곤의 직접적인 관계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삶의 질 개념은 소득 수준과 같은 객관적인 지표로 접근되다가 점차 주관적 측면이 강조되면서 주관적 행복감, 생활만족도, 심리적 복지감 등의 용어로 사용되고 있는데[7], 본 연구에서는 삶의 질의 주관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시간빈곤과의 관계를 보다 포괄적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 미취학 자녀가 있는 맞벌이 가정은 시간 연구에 있어 오래전부터 중요한 대상으로 다루어지기는 했지만, 본 연구는 그들을 시간 빈곤 집단과 비빈곤 집단으로 구분하여 대상의 속성을 보다 세분화하여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미취학 자녀가 있는 맞벌이 가정의 시간빈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뿐 아니라 각 집단의 삶의 질 수준을 비교하고 그것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다양한 맥락에서 살펴봄으로써 이들을 위한 실천과제 제안의 다양화를 모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가정생활의 시간관리 및 시간빈곤을 경험하는 가구를 지원할 프로그램 개발이나 확대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소득 중심의 빈곤 정책이나 저출산정책 등에 다른 관점의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지금까지 미취학 자녀가 있는 맞벌이 가정의 시간빈곤과 삶의 질에 대한 영향요인을 살펴보았고, 이를 통해 시간빈곤 가정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 방안의 근거를 다양한 측면에서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본 연구는 개인유지시간이라는 생활시간영역을 시간빈곤 측정 기준으로 선정하여 양적으로 접근하였는데, 시간빈곤의 정의나 측정방법은 아직까지 명확한 합의가 이론적으로 정립되었기보다 연구자의 임의적 선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는 한계가 있다[28].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가정 균형과 삶의 질 관계에서 만족도가 높은 건 무엇인가? 그리고 가족구성원들의 상호작용으로 운영되는 가구 단위의 시간 사용과 관리는 가구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면서도 개인의 시간 사용 및 관리와는 다른 요구와 상황을 만들어낸다. 시간균형, 개입균형 및 만족균형으로 구성되는 일·가정 균형과 삶의 질 관계를 살펴본 Greenhaus 등[15]의 연구에 의하면 일보다 가정생활에 시간을 더 보내는 사람이 일·가정 시간이 같거나 일에 시간을 더 보내는 사람보다 삶의 만족도가 높다고 하였다. 이와 같이 가족의 시간은 가족구성원들의 결속력이나 관계, 더 나아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가족구성원들이 공유 시간을 갖는 과정에는 많은 제약요인이 작용하고 있다[14].
가정생활에서 시간은 무엇인가? 가정생활에서 시간은 가정체계 형성과 함께 시작되는 생애주기 자체를 의미하며, 노동, 여가, 개인관리 등의 다양한 생활영역도 시간 속에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생애주기 전반과 세부 영역들에 대한 시간배분 및 관리는 가정의 삶의 질과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시간은 가정뿐 아니라 국가적으로도 중요한 자원으로 인식되고 있다.
가족이 공유 시간을 가지는데 제약요인은 무엇인가? 이와 같이 가족의 시간은 가족구성원들의 결속력이나 관계, 더 나아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가족구성원들이 공유 시간을 갖는 과정에는 많은 제약요인이 작용하고 있다[14]. 예를 들어 맞벌이 부부의 경우 그렇지 않은 부부와 비교하면 노동시간으로 인해 다른 생활시간에 제약을 경험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가사노동, 자녀양육, 여가생활 등 다양한 생활 영역에서 어려움을 경험한다[29, 32, 37]. 그리고 수입노동시간에는 부적이고 가사노동시간에는 정적인 영향력을 갖는 변수인 미취학 자녀가 있는 가정일 경우 시간부족을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9, 26]. 이러한 가정의 조건에 가족구성원 각자가 가지고 있는 특징인 성별, 연령, 교육 수준 등까지 교차되면 한 가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시간과 관련된 욕구나 문제는 더욱 다양해진다[18, 37, 4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Bardasi, E., & Wodon, Q. (2006). Measuring time poverty and analyzing its determinants: Concepts and application to Guinea. In C. M. Blackden & Q. Wodon (Eds.), Gender, Time Use, and Poverty in Sub-Saharan Africa: Vol. 73. World Bank working paper (pp. 75-95). Washington, DC: World Bank Publications. 

  2. Bianchi, S. M., Robinson, J. P., & Milkie, M. A. (2007). Changing rhythms of American family life. New York, NY: Russell Sage Foundation. 

  3. Cha, S. (2006). A study on mother's time deficit and tiredness cognition in preschool children stage. Natural Science (Daejeon University), 16(1), 145-159. 

  4. Cha, S. E. (2010). Who is the busiest in Korea? A study on gender difference in time pressure.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33(1), 27-49. 

  5. Cha, S. E. (2015). Differential in married women's perceived time pressure by employment: Testing the effects of couple time use and housework outsourcing.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33(5), 37-53. https://doi.org/10.7466/jkhma.2015.33.5.37 

  6. Cha, S. E., Eun, K. S., Jun, J., & Fisher, K. (2015). Time allocation and work-life balance among Korean married women: Comparison with 7 nations in MTUS (Multinational Time Use Studies) data. Journal of Korean Official Statistics, 20(1), 24-48. 

  7. Choi, A. R., & Jung, H. (2013). A comparative study on determination factor of quality of life for senior between Korea and Japan. Health and Social Science, (33), 29-57. 

  8. Choi, H. J. (2007, April). The effects of traditional value on gender division to perceived time deficit crisis. Paper presented at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he Korean Academy of Social Welfare, Seoul, Korea. 

  9. Chung, Y., Auh, E. Y., & Im, Y. (2012). Influential factors for job satisfaction: A comparison of part-time and full-time female employees with children. Korea Social Policy Review, 19(3), 215-245. https://doi.org/10.17000/kspr.19.3.201209.215 

  10. Dahm, P. C., Glomb, T. M., Manchester, C. F., & Leroy, S. (2015). Work-family conflict and self-discrepant time allocation at work.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100(3), 767-792. https://doi.org/10.1037/a0038542 

  11. Eun, K. S., Kim, O., Cho, H., Song, H. R., Seo, J. W., Song, Y. J., et al. (2015). A study on time structure of daily lives of Korean: Based on 2014 Korean time use survey data. Daejeon: Statistics Korea. 

  12. Flood, S. M., & Genadek, K. R. (2016). Time for each other: Work and family constraints among couple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78(1), 142-164. https://doi.org/10.1111/jomf.12255 

  13. Gimenez-Nadal, J. I., & Molina, J. A. (2015). Health status and the allocation of time: Cross-country evidence from Europe. Economic Modelling, 46(2015), 188-203. https://doi.org/10.1016/j.econmod.2014.12.034 

  14. Gracia, P., & Kalmijn, M. (2016). Parents' family time and work schedules: The split-shift schedule in Spain.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78(2), 401-415. https://doi.org/10.1111/jomf.12270 

  15. Greenhaus, J. H., Collins, K. M., & Shaw, J. D. (2003). The relation between work-family balance and quality of lif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3(3), 510-531. https://doi.org/10.1016/s0001-8791(02)00042-8 

  16. Kang, E. J., & Kim, M. J. (2016, May). A comparative analysis on personal care time of people who are employed and married: Analysis of Korea time use survey in 2014. Poster session presented at the Spring Joint Conference of the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Seoul, Korea. 

  17. Kim, D. S., Kim, Y. T., & Chung, J. J. (2013). Work-family conflict and health impact among Korean women in dual-earner families: Focused on working hours. Seoul: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18. Kim, J. K. (2016, May). The effects of time poverty on the working elderly people's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On basis of the working elderly people in Seoul. Paper presented at the 16th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Seoul, Korea. 

  19. Kim, K. S., & Noh, H. J. (2011). Poverty in Korea: Multidimensional approaches and reproductive mechanism. Seoul: Press of Sharing House. 

  20. Kim, O. (2015, November). Time use research and time poverty in family resource management. Paper presented at the Autumn Conference of the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Seoul, Korea. 

  21. Kim, O., Lee, K., Lee, Y., Cho, H., Han, Y., Kim, H., et al. (2010). Meals, household work, leisure analysis with a focus on family shared time: Korean National Statistics Office final research report for 2010. Daejeon: Statistics Korea. 

  22. Kim, Y. R. (2016, May 25). Amazing 5 effects of nap. Maeil Business Newspaper. Retrieved September 23, 2016, from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6&no376327 

  23. Kwon, T., Zacharias, A., Masterson, T., Kim, K., & Antonopoulos, R. (2013). Public employment policies for the poor: The measurement of time and income poverty in Korea. Seoul: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24. Lawson, D. (2007). A gendered analysis of 'time poverty': The importance of infrastructure (GPRG-WPS-078). Oxford: Global Poverty Research Group. 

  25. Lee, K. Y., Lee, H. A., Kim, O. S., Lee, Y. S., Cho, H. K., Lee, S. M., et al. (2011). Time use of family housework and influencing factors on it. Journal of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15(2), 103-128. 

  26. Lee, S., & Lee, H. (2011). Analysis of time use of double income paid worker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9(5), 81-96. https://doi.org/10.6115/khea.2011.49.5.081 

  27. Merz, J., & Rathjen, T. (2014). Time and income poverty: An interdependent multidimensional poverty approach with German time use diary data. Review of Income and Wealth, 60(3), 450-479. https://doi.org/10.1111/roiw.12117 

  28. Noh, H. J., & Kim, K. S. (2010). Double poverty of time and income. Korea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41(2), 159-188. https://doi.org/10.16999/kasws.2010.41.2.159 

  29. Oh, S. S., Kim, J. S., & Kim, H. S. (2016). A study on the relative impact of working couples' leisure behavior and work-life balance on their life satisfaction. The Korean Society of Sports Science, 25(3), 243-254. 

  30.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009). Society at a glance 2009: OECD social indicators. Paris: OECD. 

  31.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013). How's life? 2013: Measuring well-being. Paris: OECD. 

  32. Park, E. J., & Lee, S. L. (2013). Differences in time deficit and tim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types of child care time of dualearner couples with preschool children.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31(4), 97-111. https://doi.org/10.7466/jkhma.2013.31.4.097 

  33. Park, K. N. (2009).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ime conflict of married women workers between work and family: Focusing on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groups and gender role attitudes. Journal of Korean Women's Studies, 25(2), 37-71. 

  34. Park, Y. E., Yoon, M., Lee, Y., Lee, H., & Chung, I. J. (2016). The effect of time poverty on work-family reconciliation satisfaction: Focusing on married working women with preschool children. Social Science Research Review, 32(2), 35-56. https://doi.org/10.18859/ssrr.2016.05.32.2.35 

  35. Rie, J. I., & Ryu, K. (2008). Generation differences and impacts on happiness of work-family conflicts in Korean working women.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Organizational Psychology, 23(3), 471-501. 

  36. Roxburgh, S. (2012). Parental time pressures and depression among married dual-earner parents. Journal of Family Issues, 33(8), 1027-1053. https://doi.org/10.1177/0192513x11425324 

  37. Rye, S. R. (2008). Working time in Korea from the household perspective: Analyzing the data from Lifetime Use Survey in 1999-2004. Korean Journal of Sociology, 42(3), 28-62. 

  38. Seo, J. W. (2015, November). Time use and time poverty on dual-earner families. Paper presented at the Autumn Conference of the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Seoul, Korea. 

  39. Statistics Korea. (2016). Change of Korean life time (1999-2014). Daejeon: Statistics Korea. 

  40. Sung, J. (2006). Time allocation of married working women. Quarterly Journal of Labor Policy, 6(4), 1-29. 

  41. Yoo, J. K. (2016). Prediction of time usage according to change of age structure. Future Horizon, (27), 9-13. 

  42. Zheng, C., Kashi, K., Fan, D., Molineux, J., & Ee, M. S. (2016). Impact of individual coping strategies and organisational work: Life balance programmes on Australian employee well-being.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27(5), 501-526. https://doi.org/10.1080/09585192.2015.102044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