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부의 취업유무에 따른 출산태도와 돌봄지원정책 요구도
A study of attitudes toward childbearing and the need to childcare support policies according to employment status 원문보기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v.20 no.3, 2016년, pp.67 - 93  

송혜림 (울산대학교 아동가정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ttitudes toward childbearing and the need for policies supporting childcare according to the mothers' employment status. Data from 6 employed and 6 unemployed housewives with 1 child were collected using in-depth interviews. The main results from the data analysis compri...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저출산 우려가 대두된 이유를 알기 위해 분석할 필요가 있는 것은? 거시적으로 볼 때 가족주의 국가인 한국 사회가 왜 저출산을 우려하는 사회가 되었는가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자녀 양육비와 교육비를 중심으로 한 경제적 비용은 물론 취업모의 경력단절, 돌봄과 직장생활을 병행함으로 인한 이중노동부담 및 일-생활 간의 갈등 등 다양한 원인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꼭 결혼하지 않고도 출산을 할 여지가 상대적으로 더 많은 서구 사회에 비해 우리나라의 경우 결혼을 통해 출산에 이르는 생애경로를 보편적으로 인식하는 가족주의 자체가 저출산율에 영향을 미친다는 분석도 있고1), 가치관의 변화나 경제적 상황으로 인한 만혼화 및 비혼화의 상승세가 출산율 저하에 영향을 미친다는 분석도 있다(이성용, 2006).
기혼취업여성집단의 일-가정 양립/일-생활 균형을 위한 제도와 정책이 중요한 이유는? 또한 경제적 부담(신윤정, 2008) 혹은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 증가(정혜은 진미정, 2008) 등 다양한 요소를 통해 우리나라의 저출산 현상을 분석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자녀출산과 돌봄은 특히 기혼취업여성의 이중노동부담을 의미하므로 이들의 경력단절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기혼취업여성집단의 일-가정 양립/일-생활 균형을 위한 제도와 정책이 중요하고, 이것이 곧 자녀출산계획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도 있다(김은정, 2013; 이완정, 2009).
둘째아 출산에 대한 아직 확실하게 결정하고 있지 않은 대상으로 면접인원을 축소하는 것의 효과는? 여기에서 출산 태도는 상술한 바와 같이 둘째 자녀 출산에 대한 계획, 가족가치, 자녀돌봄의 경험과 의미, 부모역할에 대한 인식, 부모역할을 수행하면서 변화되는 남편과의 관계, 원가족에 대한 인식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며, 따라서 현재 자녀를 하나 낳아 기르면서 둘째아 출산에 대한 아직 확실하게 결정하고 있지 않은 대상으로 한정하였다. 이러한 대상의 특성은 어떤 요인이 출산 계획에 영향을 미치는지, 어떤 조건이 개선되면 향후 출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인지 등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표는 출산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심층적으로 파악하고, 돌봄 관련 정책에 대한 요구도를 도출함으로써 향후 출산 관련 정책을 설계할 때 사용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권영인(2013). 출산장려정책 및 경제 상황 인식과 가족 가치관이 미혼 남녀의 미래 예상 출산 자녀수에 미치는 영향: 생태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8(1), 75-92. 

  2. 김경선. 오진환(2007). 여대생의 자녀출산에 대한 태도 연구-Q 방법. 주관성연구, 15, 149-161. 

  3. 김은정(2013). 미취학자녀를 둔 취업여성의 일 가정양립정책 인지도와 이용의향 : 시간지원정책과 서비스지원정책의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4(2), 617-642. 

  4. 김일옥. 왕희정. 정구철. 최소영(2011). 출산 장려정책과 근로시간이 기혼여성의 둘째아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구학, 34(3), 139-155. 

  5. 김정석(2007). 기혼여성의 출산아수별 추가출산계획. 한국인구학, 30(2), 97-116. 

  6. 마미정(2012). 맞벌이 부부의 둘째 자녀 출산의도와 출산기피 요인 탐색 연구. 부모교육연구, 5(1), 75-116. 

  7. 목진휴. 안미영. 김병준(2013). 아동 돌봄 정책의 기대와 만족에 관한 인식연구 -한국의 미취학 자녀를 둔 기혼 여성을 대상으로-. 한국정책학회보, 22(2), 207-231. 

  8. 박수미(2008). 둘째 출산 계획의 결정요인과 가족 내 성 형평성. 한국인구학, 31(1), 55-73. 

  9. 박은정. 이성림(2013). 미취학자녀를 둔 맞벌이 부부의 자녀양육시간유형에 따른 시간부족감 및 시간사용만족도의 차이.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1(4), 97-111. 

  10. 박찬화(2012). 10개월 이하 영아를 둔 취업모의 양육지원체계, 자녀가치관 및 심리적 안녕감이 둘째아 출산계획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50(1), 95-111. 

  11. 방은령(2014). 출산장려정책방안을 위한 탐색적 연구 -셋 이상 자녀를 둔 부모를 중심으로. 놀이치료연구, 17(1), 53-74. 

  12. 배광일. 김경신(2012). 가족가치관 및 출산정책이 희망자녀수 출산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연구, 43(3), 239-266. 

  13. 보건복지부 홈페이지 www.mohw.go.kr 

  14. 송헌재. 김지영(2013). 출산장려금이 기혼여성의 출산의향에 미치는 영향. 재정정책논집, 15(1), 3-27. 

  15. 송혜림(2012). 남성의 일-가정 양립 실태와 요구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2), 1-18. 

  16. 송혜림. 권혜진. 진미정. 이현아(2012). 현 정부의 가족정책 평가 및 차기 정부의 가족정책과제. 가정학실천위원회 단기정책연구과제 자료집. 

  17. 송혜림. 박정윤. 이완정. 성미애. 서지원. 진미정(2009). 부모역할 지원정책의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7(6), 91-108. 

  18. 송혜림. 유아랑(2013). 돌봄노동의 사회적 지원 정책을 통해 본 일-가정 양립 실태에 대한 연구 : 학령전기 자녀를 둔 기혼취업여성의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4), 101-125. 

  19. 신윤정(2008). 보육. 교육비 부담이 출산 의향에 미치는 영향분석. 보건사회연구, 28(2), 103-134. 

  20. 은기수. 김외숙. 조희금. 송혜림. 서지원. 송유진. 김은지. 차승은(2015). 2014년 생활시간조사 결과를 활용한 한국인의 삶 심층분석. 통계청 위탁 연구 자료집. 

  21. 이명호(2013). 출산장려정책으로 인한 여성의 출산의식 변화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4), 127-144. 

  22. 이민아(2013). 계획적 무자녀가족-한국 사회에서 아이 갖기의 의미와 가족주의의 역설. 한국사회학, 47(2), 143-176. 

  23. 이선형(2009). 자녀교육비 및 노부모에 대한 생활비 지원이 둘째자녀 출산의도와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20-45세 기혼여성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3(2), 42-63. 

  24. 이성림(2010). 자녀양육비와 둘째 자녀 출산의도. 대한가정학회지, 48(10), 105-119. 

  25. 이성용(2006). 경제위기와 저출산. 한국인구학, 29(3), 111-138. 

  26. 이소영(2008). 기혼여성의 출산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2(2), 15-30. 

  27. 이연주. 김재일(2009). 출산장려정책의 인지도와 직종에 따른 효과적 출산장려정책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 35(1), 61-90. 

  28. 이완정(2009). 취업모의 일-자녀양육 양립 부담감과 영유아기 자녀를 위한 시간연장 보육서비스 요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7(4), 117-126. 

  29. 이진숙. 최원석(2012). 기혼 직장여성의 출산계획 경로에 관한 연구-성역할태도, 일가족양립갈등, 결혼행복감과 출산계획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 사회복지연구, 43(4), 5-30. 

  30. 임성옥(2012). 기혼남녀의 재출산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1. 정은희. 최유석(2013). 기혼여성의 둘째자녀출산계획 및 출산과 관련된 요인. 보건사회연구, 33(1), 5-34. 

  32. 정혜은. 진미정(2008). 취업여부에 따른 기혼여성의 둘째자녀 출산의도. 한국인구학, 31(1), 151-168. 

  33. 차승은(2008). 부모역할의 보상/비용과 둘째자녀 출산계획 :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33, 111-134. 

  34. 천혜정(2005). 둘째자녀 출산 희망에 대한 배우자간 차이와 이에 따른 집단간 특성 분석.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3), 25-22. 

  35. 통계청(2016). 2015년 출생 사망 통계. 

  36. 한국경제(2016.4.26). 첫째도 이리 힘든데 둘째가 웬 말?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6042511861. 

  37. 한은주. 박정윤(2006). 한 자녀를 둔 기혼여성의 둘째자녀 출산선호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4(11), 1-12. 

  38. 홍승아(2013). 가정내 육아지원정책 현황과 개선방안: 양육수당과 아이돌봄서비스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정책세미나 자료집.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