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Lactobacillus plantarum K-1 BR 유래 박테리오신의 여드름균에 의한 염증성 사이토카인 억제 효과
The Suppression of Inflammatory Cytokines Induced by Propionibacterium acnes Using Bacteriocin Isolated from Lactobacillus plantarum K-1 BR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6 no.8 = no.196, 2016년, pp.970 - 975  

정진웅 ((주)바이오리듬 생명공학연구소) ,  정용현 ((주)바이오리듬 생명공학연구소) ,  이종성 (충북테크노파크 바이오센터) ,  윤승원 (충북테크노파크 바이오센터) ,  이승연 (충북테크노파크 바이오센터) ,  이홍찬 (중원대학교 신재생에너지공학과) ,  윤영걸 (중원대학교 의생명과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실험은 유산균 유래의 박테리오신이 여드름균에 의한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억제하는 효능을 가지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실험을 위해 인간의 각질형성세포인 HaCaT 세포에 열처리한 여드름균인 P. acnes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 IFN-γ, IL-8의 발현을 유도하였고, 여드름균과 박테리오신을 HaCaT 세포에 함께 처리하여 여드름균에 의해 증가된 사이토카인의 양이 박테리오신에 의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확인하였다. P. acnes 균을 1×105, 1×106 그리고 1×107 CFU/ml와 같이 농도별로 처리한 결과, 사이토카인의 발현량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는데 TNF-α와 IFN-γ의 발현량은 여드름균을 1×107 CFU/ml로 처리했을 때 두 배 이상 증가하였고 IL-8의 발현량은 네 배 이상 증가하였다. 그러나 여드름균에 의해 증가되었던 TNF-α, IFN-γ 그리고 IL-8의 발현량은 박테리오신을 처리하였을 때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김치유산균인 L. plantarum K-1 BR 균주에서 분리한 박테리오신은 여드름균에 의한 염증유발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cne vulgaris is a common chronic skin disorder that affects millions of people. The pathogenesis of acne has been known to be closely associated with the bacterium Propionibacterium acnes. Here we investigated the anti-acne activity of Lactobacillus plantarum K-1 BR by observing the expressions o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acnes)에 대한 억제성 효과는 아직 연구된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인체 각질형성세포(keratino- cytes)인 HaCaT 세포에 P. acnes를 처리하여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유도하고 유도된 사이토카인이 우리가 발효된 김치에서 새로이 분리한 L. plantarum K-1 BR 균주에서 생성되는 박테리오신에 의해서 억제되는 지를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hn, S. C., Kim, T. K., Lee, H. J., Oh, Y. J., Lee, J. S., Kang, D. U., Oh, W. K., Mheen, T. I. and Ahn, J. S. 2001. Fermentation patterns of leek kimchi and chinese cabbage kimchi. Kor. J. Microbiol. 37, 234-238. 

  2. Savadogo, A., Ouattara, C. A. T., Bassole, I. H. N. and Traore, A. S. 2004. Antimicrobial activities of lactic acid bacteria strains isolated from burkina faso fermentated milk. Pakistan J. Nutri. 3, 174-179 

  3. Bae, S. S. and Ahn, C. 1997. Antibiosis and bacteriocin production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J. Food Sci. Nutr. 2, 109-120. 

  4. Baek, Y. J. and Bae, H. S. 1988. Growth inhibition of enteropathogenic Escherichia coli A2 and Escherichia coli G7 by the organic acid producing bacteria. Kor. J. Appl. Microbiol. Bioeng. 16, 111-118. 

  5. Banno, T., Adachi, M., Mukkamala, L. and Blumenberg, M. 2003. Unique keratinocyte-specific effects of interferon-gamma that protect skin from viruses, identified using transcriptional profiling. Antivir. Ther. 8, 541-554. 

  6. Beissert, S., Cavazzana, I., Mascia, F., Meroni, P., Pastore, S., Tessari, G. and Girolomoni, G. 2006. Mechanisms of immune-mediated skin diseases: an overview. Clin. Exp. Rheumatol. 24, S1-S6. 

  7. Burkhart, C. G., Burkhart, C. N. and Lehmann, P. F. 1999. Acne: a review of immunologic and microbiologic factors. Postgrad. Med. J. 75, 328-331. 

  8. Cho, J. S., Jung, S. J., Kim, Y. M. and Chun, U. H. 1994. Detection of the bacteriocin from lactic acid bacteria involved in Kimchi fermentation.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2, 700-706. 

  9. Grange, P. A., Weill, B., Dupin, N. and Batteux, F. 2010. Does inflammatory acne result from imbalance in the keratinocyte innate immune response? Microbes Infect. 12, 1085-1090. 

  10. Jang, S. E., Han, M. J., Trinh, H. T., Chung, Y. H. and Kim, D. H. 2011. Inhibitory Effect of Lactobacillus plantarum K-1 on passive cutaneous anaphylaxis reaction and scratching behavior in mice. Arch. Pharm. Res. 34, 2117-2123. 

  11. Johansson, M. L., Molin, G., Jeppsson, B., Nobaek, S., Ahrne, S. and Bengmark, S. 1993. Administration of different Lactobacillus strains in fermented oatmeal soup: in vivo colonization of human intestinal mucosa and effect on the indigenous flora. Appl. Environ. Microbiol. 59, 15-20. 

  12. Johnson, M. L., Johnson, K. G. and Engel, A. 1984. Prevalence, morbidity, and cost of dermatological diseases. J. Am. Acad. Dermatol. 11, 930-936. 

  13. Kim, J. Y., Lee, W. R., Kim, K. H., An, H. J., Chang, Y. C., Han, S. M., Park, Y. Y., Pak, S. C., and Park, K. K. 2015. Effects of bee venom against Propionibacterium acnes-induced inflammation in human keratinocytes and monocytes. Int. J. Mol. Med. 35, 1651-1656. 

  14. Konur, A., Schulz, U., Eissner, G., Andreesen, R. and Holler, E. 2005. Interferon (IFN)-γ is a main mediator of keratinocyte (HaCaT) apoptosis and contributes to autocrine IFN-γ and tumour necrosis factor-α production. Br. J. Dermatol. 152, 1134-1142. 

  15. Lee, C. W., Ko, C. Y. and Ha, D. M. 1992. Microfloral changes of the lactic acid bacteria during Kimchi ferment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isolates.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0, 102-109. 

  16. Lee, Y. J., Choi, H. J., Kang, T. W., Kim, H. O., Chung, M. J. and Park, Y. M. 2008. CBT-SL5, a bacteriocin from Enterococcus faecalis, suppresses the expression of interleukin-8 induced by Propionibacterium acnes in cultured human keratinocytes. J. Microbiol. Biotechnol. 18, 1308-1316. 

  17. Leeming, J. P., Holland, K. T. and Cunliffe, W. J. 1985. The pathological and ecological significance of microorganisms colonizing acne vulgaris comedones. J. Med. Microbiol. 20, 11-16. 

  18. Lyte, P., Sur, R., Nigam, A. and Southall, M. D. 2009. Heat-killed Propionibacterium acnes is capable of inducing inflammatory responses in skin. Exp. Dermatol. 18, 1070-1072. 

  19. Marta Guarna, M., Coulson, R. and Rubinchik, E. 2006.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cationic peptides: application to the treatment of acne vulgaris. FEMS Microbiol. Lett. 257, 1-6. 

  20. Suh, D. H. 2010. Pharmacologic treatment of acne. J. Kor. Med. Assoc. 53, 623-629. 

  21. Webster, G. F., Leyden, J. J., Tsai, C. C., Baehni, P. and McArthur, W. P. 1980. Polymorphonuclear leukocyte lysosomal release in response to Propionibacterium acnes in vitro and its enhancement by sera from inflammatory acne patients. J. Invest. Dermatol. 74, 398-40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