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산지 습원의 보전과 현명한 이용을 위한 관리 방향 제시를 목적으로 정족산 무제치늪의 방문객 데이터를 이용하여 습지를 방문하는 방문객 추이를 분석하였다. 2007년, 2011년, 2015년의 방문일지 기록 중 방문 일자, 나이, 주소(시 단위), 방문목적, 방문시간, 방문 수단을 추출하여 분석한 결과, 방문객 연령 분포에서는 장년층인 50대 36.8%(491명/1332명, 3년 전체 방문객 수)와 40대(30.4%)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거주지는 울산이 880명(67%/1332명, 3년 전체 방문객 수)으로 가장 많았고 부산(16.6%)과 양산(10.8%)에 거주하는 방문객이 많았다. 반면, 경상권 이외 지역의 방문객은 낮은 비율(1.8%)로 나타났다. 방문객들은 등산(39.0% ~ 64.4%)과 습지 탐방(18.7% ~ 51.8%)등 여가활동 목적으로 대부분 무제치늪을 방문하였고 그에 따라 방문시기는 주중에 비해 주말에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F=6.19, p<0.002). 뿐만 아니라 월별, 계절별 방문객 차이도 뚜렷하게 나타났는데 무제치늪의 경우에는 5월의 방문객 비율이 $15.6{\pm}2.8%$($mean{\pm}S.D.$)으로 다른 달들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 계절적으로는 봄과 가을의 방문객이 다른 계절에 비해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F=5.55, p<0.001). 이는 정족산 일대 넓게 분포하는 진달래와 철쭉 류의 개화시기에 맞춰 방문객들이 증가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무제치늪과 같은 산지 습원의 경우에는 등산객과 방문객들로 인해 야기되는 토사 유입과 답압 등으로 습지생태계의 평형이 크게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현재 습지 주변 통행로에 대하여 휴식년제 혹은 계절적 출입제한을 통해 습지에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교란을 줄이고 습지 탐방을 목적으로 한 방문의 경우 감시원의 지도하에 제한적으로 출입을 허용하는 등의 관리 방향 제시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 demographics for visitors to Mujechi bog on Mt. Jungjok, with the purpose of developing a management strategy for the conservation and wise use of the montane wetland. Using daily visitor data from 2007, 2011, and 2015 we extracted and analyzed; visitation date, a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대표적인 산지습원인 무제치늪의 이용 현황을 파악하여 산지습원의 관리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습지보호지역 출입자 기록을 자료화하여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무제치늪은 어디에 위치한 어느정도 규모의 산지습원입니까? 무제치늪은 울산광역시 울주군 삼동면 조일리 정족산의 정상 바로 아래의 완만한 능선(평균 고도 748m)에 위치한 18만 4000m2 규모의 산지습원이다. 연평균기온 14.
산지습원이 타 습지와 다른점은 무엇입니까? 산지습원(montane wetland)은 저지대의 습지들과 비교하여 육상 공간의 영향이 크며 생성 과정의 특이성으로 인해 생물다양성이 풍부하고 생물 상 역시 다른 종류의 습지와 구분된다(Décamps and Naiman, 1990). 특히 고산지대의 특수한 환경과 그에 적응한 독특한 생물상이 잘 유지되고 있어 생물 자원 보전 차원에서도 매우 중요하다(Yoon and Ahn, 2001).
산지습원을 생태관광을 비롯한 생태탐방지 등으로 이용할 때는 더욱 각별히 신경을 써야하는데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하지만 산지습원을 생태관광을 비롯한 생태탐방지 등으로 이용할 때는 다른 습지형태보다 신중한 계획이 필요하다. 산지습원은 범람에 의해 유지되는 저지대의 습지들에 비해 쇠퇴 과정에 있는 습지로서 비록 습지의 환경이 안정적으로 보인다 할지라도 작은 외부 환경변화 또는 교란에 쉽게 변형될 수 있다(Kang et al., 2010). 특히 무제치늪과 같은 산지습원의 경우는 등산객 출입에 의한 답압(踏壓)과 접하고 있는 산림지 또는 도로로부터의 토사 유입, 벌목 등이 습원의 쇠퇴를 가속화 시킬 수 있다(Do et al., 2012; Sklodowski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Decamps, H and Robert, JN (1990). The Ecology and Management of Aquatic-Terrestrial Ecotones, CRC Press, Florida, United States. 

  2. Do, Y, Kim, JY, Im, RY, Kim, SB, Choi, JY and Joo, GJ (2012). Spatial distribution and social characteristics for wetlands in Gyeongsangnam-do province, Korean J. of Limnology, 45(2), pp. 252-260. [Korean Literature] 

  3. Do, Y, Kim, SB, Kim, JY and Joo, GJ (2015). Wetland-based tourism in South Korea: who, when, and why, Wetlands Ecology and Management, 23(4), pp. 779-787. 

  4. Inglehart, R (1995). Public support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objective problems and subjective values in 43 societies, Political Science and Politics, 28(1), pp. 57-72. 

  5. Jones, B and Scott, D (2006). Climate change, seasonality and visitation to Canada's national park, J. of Park and Recreation Administration, 24(2), pp. 42 -62. 

  6. Kang, SJ, Cho, KS, Choi, KR (2010). Museum of Alive Nature Hisory Yongnup(High Moor) of Mt. Daeam San in Korea, University of Ulsan Press. [Korean Literature] 

  7. Kim, DH, Nam, TH and Oh, CH (2008). Management plan for ecological landscape conservation area of urban forests -case study on Cheonggye mountain in Seoul-, J. of Korean Forestry Society, pp. 148-149. [Korean Literature] 

  8. Kim, JW, Kim, JH, JeGal, JC, Lee, YK, Choi, KR, Ahn, KH and Han, SU (2005). Vegetation of Mujechi moor in Ulsan:actual vegetation map and Alnus japonica population, The Korean J. of Ecology, 28(2), pp. 99-103. [Korean Literature] 

  9. Kim, TS, Jeong, JW, Moon, SK, Yang, HS and Yang, BG (2013). Introduction to national mid-term fundamental plan for wetlands conservation and management, J. of Wetlands Research, 15(4), pp. 519-527. [Korean Literature] 

  10. Ko, SH, Koh, JG, Kang, SS, Park, WP and Hyun, HN (2009). Soil properties of restricted trail in Mt.Halla national park,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19(2), pp. 272-275. [Korean Literature] 

  11. Lee, DY, Choi, KR, Kim, JY and Yang, DY (1998). Origin and natural environment of the Mujechi highmoor peat bog Cheongjoksan, The Korean J. of Quaternary Research, 12(1), pp. 63-75. [Korean Literature] 

  12. Lee, HH, Choi, KR and Kim, JH (2000). The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of Moojechi wetland, Proceeding of the Conference of Korean Forest Society, pp. 247-249. [Korean Literature] 

  13. Meyer, KG (2002). Managing Degraded Off-Highway Vehicle Trails in Wet, Unstable, and Sensitive Environments, USDA Forest Service, Technology and Development Program, Washington, United States. 

  14. Scerri, A (2009). Paradoxes of increased individuation and public awareness of environmental issues, Environmental Politics, 18(4), pp. 467-485. 

  15. Sklodowski, J, Sater, J and Strzyzewski, T (2006). Impact of water tourism activity in forest/waterside ecotones on the example of the Beldany lake, Sylwan, 150(10), pp. 65-71. 

  16. Yoon, SY and Ahn, BY (2001). A study on conservation plan of peatland - a case study of Yang-San peatland -, Korean Wetland Society, 3(1), pp. 29-38. [Korean Literature] 

  17. Yi, GC and Nam, JC (2008). Management program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forest wetlands located at Sinbul mountain, Korean Wetland Society, 10(2), pp. 1-14. [Korean Literatur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