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나는 왜 그렇게 대처하였는가?: 초등 과학실험 수업 중 발생한 불일치 상황에서의 교사의 대처
Why did I Cope with so?: A Teacher's Strategy to Cope with Anomalous Situations in Primary Practical Science Lessons 원문보기

초등과학교육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v.35 no.3, 2016년, pp.277 - 287  

박지선 (서울대학교) ,  장진아 (서울대학교) ,  송진웅 (서울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plores how a teacher copes with anomalous situation in primary practical science lesson and what factors affect teacher's strategy to cope with anomalous situations. The method of auto-ethnography was used in order to capture the inner experience of the individual teacher. For this, on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사 딜레마 연구에서는 주로 어떤 부분에 초점을 맞추는가? 불일치 상황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들은 크게 교사 딜레마 연구와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로 나뉠 수 있다. 교사 딜레마 연구에서는 과학 수업이나 과학 실험 수업에서 교사가 겪는 어려움에 대한 전체적인 특징과 그 유형을 탐색하는 가운데 ‘불일치 상황’을 부분적으로 다루고 있다(Lee et al., 2007; Yoon, 2004; Yoon, 2008).
과학의 가장 두드러진 다른 과목과의 차별점은 무엇인가? 과학이 다른 교과와 가장 구별되는 특징은 ‘실험’을 포함하고 있다는 점이다(Wellington, 1998). 학교 과학 실험은 학생들의 흥미를 증진시키고, 현상을 구체화하여 이해를 돕는다는 측면에서 중시되어 왔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실제 과학자들의 활동이나 과학의 본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서 비판을 받고 있기도 하다(Lawson et al.
교사가 불일치 상황을 인지하게 되는 경험을 바탕으로 무엇을 예측할 수 있는가? 엄밀히 말하면, 학생이 경험한 불일치 상황은 모두 과학 실험을 하는 도중이었지만, 교사가 불일치 상황을 인지하게 되는 경험을 한 것은 실험을 하는 과정과 실험 결과를 발표하는 과정에서 각각 이루어졌다. 이는 교사가 불일치 상황을 경험하는 맥락의 특성이 다양할 수 있으며, 그 특성이 교사의 대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가 언제 불일치 상황을 경험하는지가 다른 요인보다도 크게 작용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brahams, I. & Millar, R. (2008). Does practical work really work? A study of the effectiveness of practical work as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in school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0(14), 1945-1969. 

  2. Chang, H. (2008). Autoethnography as method. Walnut Creek, CA: Left Coast Press, Inc. 

  3. Cho, H., Yang, I-h., Jeong, J-H., Shin A-K. & Sohn, J. (2008). Analysis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views about lab-based science learning.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7(2), 117-133. 

  4. Han, J. (2012). Autobiographic research on the life of an assistant professor of science education at a college of education.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6(1), 1-13. 

  5. Han, S., Lee, I., Kang, S. & Noh, T. (2011). An investiga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epistemological beliefs about science on the bases of their strategies for coping with critical incident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0(1), 61-70. 

  6. Jho, H. & Song, J. (2011). The observation type of primary students and the effect of their views of science on observation activity in anomalous situation.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0(4), 405-414. 

  7. Kang, H-s. & Jang, H-j. (2012). Analys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epistemological beliefs through investigation of their coping strategy types for anomalous situations in science class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2(7), 1087-1098. 

  8. Kim, M. C. (2015). What made me decide to become a Doctor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Anthropology of Education, 18(2), 163-195. 

  9. Kim, Y. & Lee, D. (2011) An inquiry on the theoretical perspectives and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of autoethnography. The Journal of Yeolin Education, 19(4), 1-27. 

  10. Kwon, S. G., Lee, M. K. & Nam, I. K. (2009). How did elementary teachers handle critical experiments in science classroom?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8(2), 105-120. 

  11. Lawson, A. E., Lewis, C. M. & Birk, J. P. (1999). Why do students "cook" lab data? A case study of the tenacity of misconceptions. Journal of College Science Teaching, 29(3), 191-198. 

  12. Lee, S. A., Jhun, Y. S., Hong, J. E., Shin, Y. J., Choi, J. H. & Lee, I. H. (2007). Difficulties experienc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cience classe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6(1), 97-107. 

  13. McNeill, K. L. & Pimentel, D. S. (2009). Scientific discourse in three urban classrooms: The role of the teacher in engaging high school students in argumentation. Science Education, 94(2), 203-229. 

  14. Nott, M. & Welington, J. (1995). Critical incidents in the science classroom and the nature of science. School Science Review, 76(276), 41-46. 

  15. Nott, M. & Wellington, J. (1998). Eliciting, interpreting and developing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Science & Education, 7(6), 579-594. 

  16. Oh, P. S. (2013). Secondary science teachers' thoughts on 'good' science teach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3(2), 405-424. 

  17. Reed-Danahay, D. E. (1997). Auto/ethnography: Rewriting the self and the social. Oxford, New York: Berg 

  18. Rigano, D. L. & Ritchie, S. M. (1995). Student disclosures of fraudulent practive in school laboratory.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5(4), 353-363. 

  19. Son, M. (2002). A reconsideration of demonstration of lessons in science classrooms: Understandings and misunderstandings of practical knowledge as school knowledge.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0(3), 243-269. 

  20. Tsai, C. C. (2002). Nested epistemologies: Science teachers' belief of teaching, learning and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4(8), 771-783. 

  21. Wellington, J. (1998). Practical work in science: Time for a reappraisal. In J. Wellington (Ed.), Practical work in school science. Which way now? (pp.3-15). London: Routledge. 

  22. Yang, I-H., Jeong, J-W., Hur, M., Kim, Y-S., Kim, J-S., Cho, H-J. & Oh, C-H. (2006). An analysis of laboratory instructions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5(3). 281-295. 

  23. Yoon, H-G. (2004).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difficulties in science lesson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3(1), 74-84. 

  24. Yoon, H-G. (2008). Elementary teachers' dilemmas of teaching science practical work.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7(2), 102-11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