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력과 정보문화지수와의 상관관계 분석연구
An Analysis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Academic Background and Information Culture Index 원문보기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17 no.4, 2016년, pp.127 - 133  

배예선 (Buksung Elementary School) ,  전우천 (Dept. of Computer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 of Education)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대지식정보화사회에서 현대인들은 정보통신기술과 스마트기술 등 다양한 최신기술의 혜택을 누릴 수 있다. 다양한 최신기술의 혜택을 누리기 위해서 일정한 수준의 정보소양과 활용능력을 가져야 한다. 또한, 정보통신윤리에 대한 이해와 실천의지도 모두에게 필요하다. 한편 정보 소양과 활용능력을 측정하고 모형화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표준이 필요하다. 이러한 점에서 정보문화지수는 정보소양과 활용능력을 측정하기 위해서 개발되었다. 정보문화지수는 3가지의 하위지표 즉 활용, 인식 및 규범으로 구성된다. 먼저 활용지표는 일상생활에서 정보화 내용과 기술이 어떻게 보편화되었는가에 관한 것이며, 인식지표는 정보문화공동체에서 어떻게 다른 사람을 존중하고 신뢰할 수 있는 가에 관한 것이다. 한편, 규범지표는 바람직한 정보통신윤리 의식에 따라 어떻게 정보통신서비스를 이용할 줄 아는 가에 관한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문화지수의 3가지 하위지표 즉 활용, 인식 및 규범과 학력과의 상관관계를 구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국가차원에서 조사한 정보문화 연구결과를 기초로 하였다. 통계분석결과 인식과 규범은 학력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은 반면 활용은 학력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즉 학력이 높을수록 활용수준도 높아짐을 보였다. 본 연구는 향후 정보교육과 정보문화 확산에 있어서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present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every citizen can enjoy benefits of various advanced technologies such a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ICT) and smart technology. Nowadays everybody has to have some level of information literacy and application ability in order to enjo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정보문화지수에 관한 선행연구 중에서 [2,5]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하였다. 한편 본 연구의 목표는 학력과 정보분화지수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함이다.
  • 먼저 비교기간을 확대하여 조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2년 동안의 자료를 바탕으로 연구를 조사하였다. 보다 객관적인 연구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정보문화지수 실태조사가 처음으로 실시된 2008년부터 조사결과자료를 분석하여 상관관계를 심층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학력과 정보문화지수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해 2012년과 2013년 2년 동안의 한국정보화진흥원의 정보문화지수 실태조사 결과[2,5]를 바탕으로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학력별 정보문화 상관관계 분석을 다룬다. 즉 본 연구의 목적은 4가지 학력(중졸이하, 고졸, 대졸, 대학원졸)으로 구분하여 정보문화의 3개 영역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함에 있다. 이룰 위해 2년 동안의 한국정보화진훙원(http://www.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정보문화지수에 관한 선행연구 중에서 [2,5]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하였다. 한편 본 연구의 목표는 학력과 정보분화지수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함이다. 즉 학력에 따른 활용영역, 인식영역 및 규범 영역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함이며, 학력이 높을수록 3가지 영역과의 상관관계가 높을 것으로 기대하나 기존의 연구에서는 학력과 정보문화지수와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가 없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구적 정보문화, 가치적 정보문화, 규범적 정보문화는 각각 무엇인가? 첫째, 도구적 정보문화는 정보사회에서 인간이 사회생활을 영위해 나가는데 필요한 필수수단으로서, 다른 정보문화요인들에 대한 기반적인 요소이다. 이는 ‘활용 영역’으로서 표현되며 정보화의 구체적 내용들이 개별 국민의 실제 생활 영역에 얼마만큼 정착되고 또한 일상화, 보편화되어 있는 가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둘째, 가치적 정보문화는 정보사회에서 인간행위나 사회생활에 의미나 목표를 부여하는 신념체계로서, ‘인식영역’으로 표현된다. 인식영역은 소통과 화합의 정보 문화 민주공동체에 필요한 신뢰와 타인 존중 의식을 얼마나 내재하고 있는가를 파악하기 위한 영역이다. 셋째, 규범적 정보문화는 정보 활용을 하는데 요구되는 사회적으로 공인된 규범적 절차와 규칙에 관한 것으로 ‘규범영역’으로 대표된다. 규범영역은 바람직한 정보 윤리 및 규범을 바탕으로 얼마나 정보통신서비스를 잘 활용하는 가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월드와이드웹의 등장이 미친 영향은 무엇인가? 1980년대 PC의 보급과 더불어 정보화 사회가 시작되었고, 1990년대 인터넷기술의 발전과 월드와이드웹(World Wide Web)의 등장으로 인하여 다양한 정보기술과 문화가 일반대중들에게 가까이 다가오게 되었다. 특히 월드와이드웹의 등장은 컴퓨터 전문가와 전산학 전공자뿐만 아니라 현대인들에게 남녀노소를 불구하고 다양한 정보통신기술을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였다. 현대인 들은 정보통신기술의 기본적인 소양과 활용능력을 통하여 정보화 사회의 다양한 혜택을 누릴 수 있게 되었다.
ICT 활용교육은 무엇인가? 정보화 사회에 능동적으로 참여하고 또한 정보화 사회의 미래를 선도할 정보통신기술교육(ICT교육)은 제7차 교육과정에서 초중고등학교에서 운영되고 있으며, ICT 소양교육과 활용교육 형태로 현재 운영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ICT 소양교육은 정보통신기술 자체에 대한 기본 적인 이론과 지식, 소프트웨어 운용과 활용방법을 다루며, ICT 활용교육은 기본적인 정보소양을 바탕으로 학습을 비롯하여 정보통신기술을 다양한 일상생활의 문제해결에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다루는 교육이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Operation Guidelin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Education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2000. 

  2.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2 Information Culture Status Survey", NIA Report IV-RER-12096, 2013. 

  3. Y. Han, "A Study on the Methods of Teaching Korean Information Culture for KFL-Focusing on EBS 'Knowledge Channel e'-",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2015. 

  4. J. Lee, "Study on Korean Information Culture Education Methods with Films Applied-Focusing on Advanced Chinese-speaking Learners", Master's Thesis,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2016. 

  5.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3 Information Culture Status Survey", 2014. 

  6. Y. Ko, H. Kim, C. Park, J. Hyun, and C. Kim, "Information Culture Index Analysi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Internet Cell-Phone Addic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Vol. 14, No. 3, pp. 13-23, 2011. 

  7. Y. Ko and C. Park, "Analysis of Information Culture Index Influencing the Digital Divide among Secondary School Students", Proceedings of Korea Computer Education Society Conference, 2010. 

  8. Y. Son and M. Lee, "The Needs for Information Culture Index and its Exploratory Method of Measurement", Journal of Informatization Policy, Vol. 9, No. 3, pp. 61-78, 2002. 

  9. Korea Agency for Digital Opportunity and Promotion, "A Study on Repletion Development of Information Culture Index", Seoul, Korea,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