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olletotrichum acutatum에 의한 아까시나무 탄저병
Anthracnose Caused by Colletotrichum acutatum in Robinia pseudoacacia 원문보기

Research in plant disease = 식물병연구, v.22 no.2, 2016년, pp.127 - 131  

천원수 (안동대학교 생명자원과학과) ,  전용호 (안동대학교 생명자원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14년 안동, 문경, 청송의 야산에 있는 아까시나무에서 잎에 검은 반점이 형성되었다. 이 반점은 점차 회갈색 혹은 회색으로 변하며, 병반의 가장자리에는 검은 테두리를 형성한다. 또한 소형 병반에서는 검은 반점뿐만 아니라 노란 halo를 형성하기도 하기도 한다. PDA 배지상에서 균총은 흰색을 띠며 배양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오렌지색의 분생포자층을 형성하였다. 분생포자의 모양은 방추형이었으며, 크기는 $8.3-17.2{\times}2.5-4.1{\mu}m$였다. 부착기는 암갈색의 곤봉형으로 크기는 $8.1-12.3{\times}4.1-6.4{\mu}m$였다. ITS 영역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C. acutatum과 일치하였다. 아까시나무 잎에 발생한 병징과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 및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이 병을 C. acutatum에 의한 아까시나무 탄저병으로 명명하고자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uring the year 2014, black locust (Robinia pseudoacacia L.) had been observed with dark brown spots on the leaves at Andong, Cheongsong, Mungyeong in Korea. Symptoms initially appeared as small, black lesions on the leaves, and sometimes, the leaves become yellow and ultimately leads to fall off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acutatum에 의한 아까시나무 탄저병은 보고된 적이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까시나무에 발병한 탄저병의 병징, 병원성 검정, 균학적 특성 및 ITS 염기서열 분석 결과를 보고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까시나무는 어떻게 활용되는가? 일제강점기에 황폐화된 산지의 녹화와 연료림을 목적으로 우리나라에 식재가 권장되었다고 한다(Lim, 1994). 아까시나무는 조경수, 사방지 녹화수, 꿀을 제공하는 밀원 식물로 쓰인다. 꽃은 향료로도 쓰이고 잎은 식용하기도 하고, 수피는 제지, 섬유, 목재로도 쓰인다(Lee 등, 2010).
우리나라에서 아까시나무의 식재가 권장된 목적은 무엇인가? 아까시나무의 원산지는 북아메리카이며 낙엽활엽교목이다. 일제강점기에 황폐화된 산지의 녹화와 연료림을 목적으로 우리나라에 식재가 권장되었다고 한다(Lim, 1994). 아까시나무는 조경수, 사방지 녹화수, 꿀을 제공하는 밀원 식물로 쓰인다.
아까시나무의 원산지는 어디인가? 아까시나무의 원산지는 북아메리카이며 낙엽활엽교목이다. 일제강점기에 황폐화된 산지의 녹화와 연료림을 목적으로 우리나라에 식재가 권장되었다고 한다(Lim, 199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Damm, U., Cannon, P. F. and Crous, P. W. 2012. Colletotrichum:Complex Species or Species Complexes? Studies in Mycology, No. 73. CBS-KNAW Fungal Biodiversity Center, Utrecht, Netherlands. p. 55. 

  2. Han, J. H., Shim, H., Shin, J. H. and Kim, K. S. 2015. Antagonistic activities of Bacillus spp. strains isolated from tidal flat sediment towards anthracnose pathogens Colletotrichum acutatum and C. gloeosporioides in South Korea. Plant Pathol. J. 31: 165-175. 

  3. Han, K. S., Park, J. H., Han, Y. K. and Hwang, J. H. 2009. Pathogenicity and occurrence of pepper seedling anthracnose caused by Colletotrichum acutatum. Res. Plant Dis. 15: 88-93. (In Korean) 

  4. Hong, J. K., Yang, H. J., Jung, H., Yoon, D. J., Sang, M. K. and Jeun, Y. C. 2015. Application of volatile antifungal plant essential oils for controlling pepper fruit anthracnose by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Plant Pathol. J. 31: 269-277. 

  5. Kim, S., Park, S. Y., Kim, H., Kim, D., Lee, S. W., Kim, H. T., Lee, J. H. and Choi, W. 2014.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Colletotrichum acutatum ABC transporter CaABC1. Plant Pathol. J. 30: 375-383. 

  6. Kwon, J. H., Nam, M. H. and Park, C. S. 2007. Anthracnose of Salvia plebeia caussed by Colletotrichum acutatum in Korea. Res. Plant Dis. 13: 119-121. (In Korean) 

  7. Lee, J. S., Lee, K. H. and Oh, C. J. 2010. New woody plant flora of Korea. Research Information Center, Seoul, Korea. 539 pp. (In Korean) 

  8. Lim, K. B. 1994.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new demand for utilizaion and silviculture in Robinia pseudoacacia. Korea Forest Service, Daejeon, Korea. 211 pp. (In Korean) 

  9. Sutton, B. C. 1980. The Coelomycetes. Fungi Imperfecti with Pycnidia, Acervuli and Stromata. Commonwealth Mycological Institute, Kew, UK. 696 pp. 

  10. The Korean Society of Plant Pathology. 2009. List of Plant Diseases in Korea. 5th ed. The Korean Society of Plant Pathology, Suwon, Korea. 853 pp. 

  11. White, T. J., Bruns, T. D., Lee, S. B. and Taylor, J. W. 1990. Amplification and direct sequencing of fungal ribosomal RNA genes for phylogenetics. In: PCR Protocols: A Guide to Methods and Applications, eds. by M. A. Innis, D. H. Gelfand, J. J. Sninsky and T. J. White, pp. 315-322. Academic Press Inc., New York, NY, USA.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