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품편익과 제품동일시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미추구성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The effect of product benefits and product identification on purchase intention -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aesthetic seeking tendency - 원문보기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복식문화연구, v.24 no.4, 2016년, pp.417 - 430  

최선형 (가톨릭대학교 의류학과) ,  홍지현 (가톨릭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had two aims. First, the study intended to identify the influences of product benefits and product identification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Second, it wanted to assess the moderating effects of consumers' aesthetic seeking tendency on their decision-making process. Based on the 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제품의 구매의사결정과정을 밝히고, 미적 반응을 조절하는 개인차로 미추구성향이 제품을 구매하는 과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제품의 심미적, 기능적, 사회적 편익과 제품동일시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소비자의 미추구성향이 구매의사결정과정에 미치는 조절효과를 알아보았다. 자극물은 브랜드 인지도와 심미성 그리고 기능성을 갖춘 나이키 러닝화 루나이클립스+2이며, 20대 대학생을 대상으로 제품 편익, 제품동일시, 구매의도, 미추구성향을 평가하게 하였다.
  • 기존 연구를 보면 미관련 성향과 의류제품에 대한 시각적 반응 연구(Workman & Caldwell, 2007), 미추구성향과 유행혁신성이나 충동구매성향과의 관련성 연구들(Park & Jeon, 2011; Kim, 2010)로 제품에 대한 구매의사결정과정에서 미추구성향을 관련지은 연구는 많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심미적 제품의 미와 관련된 구매의사결정과정을 확인하고, 미추구성향에 따라 구매의사결정과정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운동화제품을 심미적 자극물로 하여 ‘제품편익-제품동일시-구매의도’ 연구모형을 규명하고, 미추구성향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구매의도에 미치는 제품편익과 제품동일시의 영향을 알아보는 것으로 자료 수집을 위해 피험자에게 운동화 제품 사진을 제시하고, 피험자가 제품의 편익과 제품동일시 그리고 구매의도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20대에게 브랜드인지도와 충성도가 가장 높은 신발브랜드는 나이키이며, 20대 여성이 출근 시나 주말 등 착용률이 가장 높은 운동화는 러닝화 제품으로 조사되었다(Macromill Embrain, 2013).
  • 본 연구는 제품의 심미성과 소비자의 미추구성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시점에 운동화제품을 대상으로 제품의 심미성과 제품동일시를 포함한 구매의사결정과정을 확인하고, 미추구성향에 따라 구매의사결정에 따른 차이를 밝혀 구매행동 창출에 심미성과 미추구성향의 역할을 조명했다는데 학문적으로 의의가 있다고 본다. 또한 본 연구는 자극물로 운동화제품을 사용한 연구로 패션제품에 확장 해석이 가능할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동일시의 개념을 제품동일시에 적용하여 제품동일시를 소비자의 자아이미지와 제품이미지와의 일치성으로 정의하였다. 이들 연구결과들로 미루어 제품동일시는 제품특성에 의해 영향을 받고, 소비자는 자신의 이미지나 취향과 일치하는 제품에 더 높은 구매의도를 나타낼 것으로 예측되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제시하였다.
  • 제품 디자인의 미적 평가가 구매행동에 중요한 요소로 등장하면서 소비자 행동 연구에서 제품의 심미성과 소비자의 미관련 성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제품의 구매의사결정과정을 밝히고, 미적 반응을 조절하는 개인차로 미추구성향이 제품을 구매하는 과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제품의 심미적, 기능적, 사회적 편익과 제품동일시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소비자의 미추구성향이 구매의사결정과정에 미치는 조절효과를 알아보았다.
  • 즉, 제품을 보고 인식하는 제품 편익과 제품이 자신의 이미지와 일치하는 지를 평가한 후 구매의도에 이르는 ‘제품편익-제품동일시-구매의도’ 모형이다. 이와 함께 소비자의 미추구성향이 제품 구매의사결정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였다. 운동화는 최근 건강과 스포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수요가 다양화, 고급화되고 있으며(Kim, Kwon, & Kim, 2008), 기능성과 함께 디자인이나 브랜드를 통해 자아표현수준이 높아, 기능성은 물론 심미적, 사회적 기능을 가지는 제품이다(Kwon & Choi, 2009; Wu & Wu, 2008).

가설 설정

  • 연구문제 2. 제품편익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비자는 제품을 평가하거나 선택 구입할 때 무엇을 중요한 기준으로 채택하는가? 소비자는 제품을 평가하거나 선택 구입할 때 제품의 디자인이 세련되고 멋진가와 같은 심미성을 중요한 기준으로 채택한다(Venkatesh & Meamber, 2008). 제품의 가격이 비슷하거나 성능이 유사할 때 혹은 의류 및 인테리어 제품을 선택할 경우, 심미성은 당연히 중요한 기준이 되며, 성능대신 디자인만 미적이면 소비자들에게 소비되는 성향이 뚜렷하다(Kim, Seung, & Park, 2001).
제품에 따라 서로 다른 편익들은 조합되어 통합적인 편익으로 제공될 수 있는 이유는? 제품편익은 제품 유형이나 연구자에 따라 분류가 다양하다. 스포츠웨어에서 추구하는 편익은 이상적 체형추구, 유행추구, 편안함추구, 개성추구, 젊음추구의 다섯 차원으로 나타났다(Hwang, 2008). Hong and Koh(2009)는 웰빙의류 상품의 편익 유형을 실용적 편익(경제적, 쾌적성, 편의성), 사회적 편익(신분상징, 명성, 성취과시), 심미적 편익(심미성, 이미지 표현)으로 분류하였다. Park and Sullivan(2009)의 연구에서는 캐주얼웨어에 대해 실용적 편익, 쾌락적 편익, 복합적 편익을 제시하였고, Shim and Bickle(1994)의 의복을 통한 편익유형은 자아향상, 사회적 지위/위신, 성적매력/여성스러움, 유행성, 기능적/편안함, 역할상징, 신체결함 보완, 개성, 세련된 외모이다. 제품 편익은 이와 같이 제품이나 사용자에 따라 다양한데, 이들 편익은 특정 소비 활동에서 서로 관련되어 조합되거나 상쇄될 수 있다. 따라서 제품에 따라 서로 다른 편익들은 조합되어 통합적인 편익으로 제공될 수 있다(Lai, 1995).
심미적 취향이란 무엇인가? 심미적 취향이란 아름다운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을 구별하는 능력(Berlyne, 1971)으로 개인에 따라 아름다움에 대한 기준이 상이하여 이를 측정하기는 쉽지 않으나, Bloch et al.(2003)과 Jung and Sung(2011)은 소비자의 미관련 성향을 대상의 특성과 미적 반응의 관계를 조절하는 개인차로 보고, 소비자의 제품 디자인에 대한 시각적 평가능력 및 지식, 아름다움이 갖는 개인적, 사회적 가치 그리고 심미적 제품에 대한 흥미와 소유욕으로 구성하고 개념화한 바 있으며, 연구자들은 미 관련 소비자 성향이 구매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친다고 제안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9)

  1. Aaker, J. L. (1997). Dimensions of brand personality.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34(3), 347-356. doi:10.2307/3151897 

  2.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doi:10.1037/0022-3514.51.6.1173 

  3. Berlyne, D. E. (1971). Aesthetics and psychobiology. New York: Appleton-Century-Crofts. 

  4. Berlyne, D. E. (1974). Studies in the new experimental aesthetics: Steps toward and objective psychology of aesthetic appreciation. Washington, D.C.: Hemisphere. 

  5. Bloch, P. H., Brunel, F. F., & Arnold, T. J. (2003).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centrality of visual product aesthetics: Concept and measurement.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9(4), 551-565. doi:10.1086/346250 

  6. Cho, Y. (2011). The influence of male consumers' clothing benefits sought on purchase intention of functional clothing: Focused on well-being health consciousness and age.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3(6), 900-908. 

  7. Choi, M. (2011). The effect of new luxury fashion brand's product benefit on brand loyalty and brand commitment: Focused on dual path model by brand attitude and brand attachment.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3(5), 717-727. doi:10.5805/KSCI.2011.13.5.717 

  8. Choi, Y.-J. (2010). The effect of self-congruity on participant's loyalty in convention destination: Focused on functional-congruity, trust and emo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9. Chun, H. J. (2003). The effect of consumers' selfimage on brand preference according to the product usage goal and the sensitivity to interpersonal influe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gang University, Seoul, Korea. 

  10. Combs, A. W., & Snygg, D. (1959). Individual behavior: A perceptual Approach to behavior (Rev. ed.). New York: Harper & Row. 

  11. Dion, K., Berscheid, E., & Walster, E. (1972). What is beautiful is good.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24(3), 285-290. doi:10.1037/h0033731 

  12. Dolich, I. J. (1969). Congruence relationships between self images and product brand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6(1), 80-84. doi:10.2307/3150001 

  13. Fournier, S. (1998). Consumers and their brands: Developing relationship theory in consumer research.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4(4), 343-373. doi:10.1086/209515 

  14. Goetz, K. O., Borisy, A. R., Lynn, R., & Eysenck, H. J. (1979). A new visual aesthetic sensitivity test: I. Construction and psychometric properties. Perceptual and Motor Skills, 49(3), 795-802. doi:10.2466/pms.1979.49.3.795 

  15. Graves, M. E. (1946). Design judgement test. New York: Psychological Corporation. 

  16. Hirschman, E. C., & Holbrook, M. B. (1982). Hedonic consumption: Emerging concepts, methods and propositions. Journal of Marketing, 46(3), 92-101. doi:10.2307/1251707 

  17. Hong, H., & Koh, A.-R. (2009). Well-being lifestyle measurement develop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3(1), 55-67. 

  18. Hooley, G. J., & Saunders, J. A. (1993). Competitive positioning: The key to marketing strategy. NJ: Prentice Hall. 

  19. Hoyer, W. D., & Stokburger-Sauer, N. E. (2012). The role of aesthetic taste in consumer behavior.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40(1), 167-180. doi:10.1007/s11747-011-0269-y 

  20. Huh, J. (2013). (허준의 쉽게 따라하는) Amos 구조방정식모형 [Huh Jun's Amos Structural Equation Model]. Seoul: Hannarae. 

  21. Hwang, J. (2008). The relationships among clothing benefits sought, brand attachment, and brand loyal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2(11), 1704-1714. 

  22. Jung. S.-J., & Sung, Y.-S. (2011). The consumer's aesthetic seeking tendency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Korean Journal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 12(4), 659-682. 

  23. Kates, S. M. (2001). Camp as cultural capital: Further elaboration of a consumption taste.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28(1), 334-339. 

  24. Keller, K. L. (1993). Conceptualizing, measuring, and managing customer-based brand equity. Journal of Marketing, 57(1), 1-22. doi:10.2307/1252054 

  25. Kim, G. S., Seung, M. Y., & Park, Y. J. (2001, November). 2001 한국 대표세대들의 특징 [2001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representative generation]. Cheil Communications, 310, 10-25. 

  26. Kim, H. (2010). Effects of the centrality of visual product aesthetics and aesthetic experiences on impulse buying behavior for fashion produc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4(12), 1947-1956. doi:10.5850/JKSCT.2010.34.12.1947 

  27. Kim, R. D., Kwon, H. J., & Kim, H. J. (2008). Trend in Korea 2009. Seoul: Miraebook. 

  28. Kotler, P. (1986). Principles of marketing (3rd ed.).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29. Kwon, M. T., & Choi, N. H. (2009). The influence of brand-self image congruity determinants on brand loyalty: The role of self-motive. Journal of Consumer Studies, 20(2), 221-254. 

  30. Lai, A. W. (1995). Consumer values, product benefits and customer value: A consumption behavior approach. Advanced in Consumer Research, 22(1), 381-388. 

  31. Lee, H. S., & Lim, J. H. (2011). 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AMOS 18.0/19.0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nalysis & AMOS 18.0/19.0]. Seoul: Jyphyunjae. 

  32. Lee, J.-H., & Suk, H.-J. (2008). The Influence of an aesthetically appealing product on the using time, flow, and recall memory.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11(2), 257-270. 

  33. Lee, J.-H., Kim, M.-T., & Park, H. H. (2004). The study on relationship of structure among brand personality-identification-loyalty from a standpoint of process. Journal of Marketing Management Research, 9(3), 23-52. 

  34. Macromill Embrain. (2013). 직장인들의 운동화 & 구두 착용 관련 조사 [A research on the office worker's wearing the athletic shoes and dress shoes]. Research Report, 2013(5), 464-495. 

  35. Mowen, J. C., Fang, X., & Scott, K. (2010). Visual product aesthetics: A hierarchical analysis of its trait and value antecedents and its behavioral consequences.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44 (11/12), 1744-1762. doi:10.1108/03090561011079864 

  36. Na, K. J., Lee, Y. G., & Yook, H. Y. (2010). The mediating effects of design valu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design evaluative elements and brand loyalty.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13(3), 511-522. 

  37. nikecorresp. (2012, February 7). Nike lunar eclipse +2 dynamic fit. Retrieved March 11, 2016, from https://www.youtube.com/watch?vVrG6C2p2OVQ 

  38. Nunnally, J. C. (1967). Psychometric theory. New York: McGraw Hill. 

  39. Onkvisit, S., & Shaw, J. J. (1994). Consumer behavior: Strategy and analysis. New York: Macmillan College Publishing. 

  40. Park, H. H., & Sullivan, P. (2009). Market segmentation with respect to university students' clothing benefits sought: Shopping orientation, clothing attribute evaluation, and brand repatronage. International Journal of Retail & Distribution Management, 37(2), 182-201. doi:10.1108/09590550910934308 

  41. Park, H.-J. & Jeon, K. S.(2011). Centrality of visual product aesthetics: The relationships with innovativeness and consumer independent judgment mak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5(10), 1139-1149. doi:10.5850/JKSCT.2011.35.10.1139 

  42. Park, J. Y., Choi, I. H., & Jang, K. S. (2001). The influence of self-congruity between brand personality and self-image on attitude toward brand. Asia Marketing Journal, 3(2), 92-114. 

  43. Peter, J. P., & Olson, J. C. (1987). Consumer behavior: Marketing strategy perspectives. Homewood, IL: Irwin. 

  44. Radford, S. K., & Bloch, P. H. (2011). Linking innovation to design: Consumer responses to visual product newness. Journal of Product Innovation Management, 28(s1), 208-220. doi:10.1111/j.1540-5885.2011.00871.x 

  45. Rosenberg, M. (1979). Conceiving the self. New York: Basic Books. 

  46. Schmitt, B., & Simonson, A. (1997). Marketing aesthetics: The strategic management of brands, identity, and image. New York: Free Press. 

  47. Sheth, J. N., Newman, B. I., & Gross, B. L. (1991). Why we buy what we buy: A theory of consumption value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22(2), 159-170. doi:10.1016/0148-2963(91)90050-8 

  48. Shim, S., & Bickle, M. C. (1994). Benefit segments of the female apparel market: Psychographics, shopping orientations, and demographics.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2(2), 1-12. doi:10.1177/0887302X9401200201 

  49. Silverstein, M. J., & Fiske, N. (2003). Luxury for the masses. Harvard Business Review, 81(4), 48-57. 

  50. Sirgy, M. J. (1982). Self-concept in consumer behavior: A critical review.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9(3), 287-300. doi:10.1086/208924. 

  51. taste. (n.d.). In Dictionary.com. Retrieved March 11, 2016, from http://www.dictionary.com/browse/taste 

  52. Tractinsky, N., Katz, A. S. & Ikar, D. (2000). What is beautiful is usable. Interacting with Computers, 13(2), 127-145. doi:10.1016/S0953-5438(00)00031-X 

  53. Venkatesh, A., & Meamber, L. A. (2008). The aesthetics of consumption and the consumer as an aesthetic subject. Consumption Markets & Culture, 11(1), 45-70. doi:10.1080/10253860701799983 

  54. Wang, Y. J., Cruthirds, K. W., Axinn, C. N., & Guo, C. (2013). In search of aesthetics in consumer marketing: An examination of aesthetic stimuli from the philosophy of art and the psychology of art. Academy of Marketing Studies Journal, 17(2), 37-55. 

  55. Workman, J. E., & Caldwell, L. F. (2007). Centrality of visual product aesthetics, tactile and uniqueness needs of fashion consumers. International Journal of Consumer Studies, 31(6), 589-596. doi:10.1111/j.1470-6431.2007.00613.x 

  56. Wu, K.-W., & Wu, K.-C. (2008, July). The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through the dimension of brand image and brand origin. Paper session presented at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Business and Information, Seoul, Korea. 

  57. Xu, W., Shin, Y.-A., & Lim, D.-H. (2015). The effects of Chinese consumers' self congruity and functional congruity on brand attitude, repurchase inten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of foreign-made cosmetics. Journal of Distribution and Management Research, 18(4), 93-108. doi:10.17961/jdmr.18.4.201508.93 

  58. Yi, Y., & La, S. (2002). Brand personality-brand identification-brand equity model: An exploratory study on the difference between users vs. non-users. Korean Marketing Review, 17(3), 1-33. 

  59. Yoon, M. H., & Park, E. C. (1998). A study on the rate of product value in relation to consumers' psycholog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26, 50-5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