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온라인 소셜네트워크를 통한 한국인의 정치성향 예측 기법의 연구
A Study on Political Attitude Estimation of Korean OSN Users 원문보기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21 no.4, 2016년, pp.1 - 11  

무하마드 에카 위자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전기정보공학과) ,  안희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전기정보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Facebook 사용자들의 Like활동 정보를 사용하여 정치성향을 예측하기 위한 분석 모델과 프로그램를 개발하였다. Facebook의 Ajax사용 특성 을 반영한 Facebook 크로울러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사용하여 수집된 성기고 방대한 데이터의 상관 매트릭스 정보를 효과적의 축소하기 위한 카테고리 레벨 필터링 기법을 개발하였다. 대한민국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LCA (Latent class analysis) 분석한 결과 28 개의 기준 (전체 대상페이지의 3% 미만) 으로 사용자의 정치적인 극성을 상당히 정확하게 (AUC of 0.82) 예측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numerous studies are conducted to estimate the human personality from the online social activities. This paper develops a comprehensive model for political attitude estimation leveraging the Facebook Like information of the users. We designed a Facebook Crawler that efficiently collects d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미국인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하였고, 성격설문 앱(MyPersonality)을 통하여 오랜 동안 사용자들을 리크루트 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Like를 판단기중으로 삶은 점에서는 본 연구와 공통점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앱 방식에 따른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크로울러방식을 사용하여 분석자가 수집 조건 등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하였고, 분석 방법도 대규모 분산처리 방식이 아닌, R과 Matlab과 같은 단일 PC용 분석 툴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 또한, 사용자를 선별하는 과정이 사용자 측에 있으므로, 사용자의 특성이 전체 사용자를 대표하지 못하고 편향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Facebook 크로울러를 개발하여 데이터를 확보하였다.
  • 로지스틱 회기 방법을 적용하기 전에 다중공선성(multi-colinearity)현상을 제어하기 위하여, 범주 데이터간의 상관도를 확인하는 것이다. 상관도는 다음 식으로 정의된다.
  • 기존 조사[5, 6, 7]에 따르면 상당수의 넓은 연령대의 인터넷 사용자들이 정치와 관련된 OSN 활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본 논문은 Facebook의 그룹을 통한 정치성향을 판단기준으로 하여 Like 활동을 사용한 사용자의 정치적 선호도롤 예측하는 방법과 성능을 평가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본 연구의 기여는 두 가지로 주장할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Facebook에서의 사용자의 활동 내역 중 Like 표현을 통하여 사용자의 정치적인 성향을 예측하는 분석 모델과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예측성능을 확인하려고 한다. 정치성향을 본 연구에서 선택한 이유는 정치적인 성향이 사회과학에서 오랜 동안 인간관계 형성과 선거 등에 흥미로운 주제였으며, 상대적으로 분명한 극성을 나타내는 특성이 있기 때문이다.
  • 반면 R이나 MATLAB을 사용한 툴은 보다 보편적이며, 데이터의 크기가 일정 범위 이하로 제한한다면 월등히 높은 성능을 보여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범주 기반으로 매트릭스 크기를 줄이는 방법을 제안하였고, 이를 통하여 방대한 양의 수집된 데이터를 기존의 패키지들을 활용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절차를 개발하였다. 따라서 이를 활용하면, 연주자들이 관련 연구를 수행하고 확장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본 연구에서는 출력값이 이진값을 갖기 때문에, Likes 정보를 통한 정치성향 예측을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 방법에 기초한 분류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 10여년사이 일반 개인들의 인터넷을 통한 정보공유를 하는 형태로 발전되면서 등장한 현상은? 1970년대 군사용으로 시작된 인터넷은 1990년대 웹을 통하여 상용화 되었으나, 2000년대 초까지도 콘텐트의 생산자와 소비자의 역할이 구분되어 있는 형태였다. 그러나 최근 10여년사이 일반 개인들의 인터넷을 통한 정보공유를 하는 형태로 발전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의 가장 눈 에 뜨이는 현상이 Facebook, Twitter, Instagram과 같은 OSN (online social network) 서비스의 등장이다. 조사[4]에 따르면, 현재 전체 인터넷 인구의 59%이상이 하나이상의 OSN 계정을 가지고 생활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OSN의 등장으로 대규모로 쉽게 분석가능한 것은? 이러한 OSN의 등장은 그동안 사회과학자들이 궁금해왔던 사람들의 행동패턴 분석을 대규모로 쉽고, 정확하게 할 수 있는 토대를 만들어주고 있다. 본 연구의 시점에서는 Myspace, Twitter, LinkedIn, Facebook, Instagram 등이 대표적인 OSN 서비스로, 이 중에서 유독 Facebook에 대하여, 벌률, 경제, 사회, 경영, 마케팅, 정치관련 많은 연구관심 들이 모이고 있다.
Facebook 정보수집을 위해 Facebook 크로울러를 개발하여 데이터를 확보한 이유는? 하나는 Facebook 앱을 개발하고, 사용자들에게 이 앱을 광고하여, 사용하도록 할 때 얻어진 권한을 통하여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확보하는 방법[21]이 있으며, 나머지는 크로울러를 사용하여 웹에 접근하듯이 Facebook페이지에 접근하여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법[24, 25]이다. 앱 기반의 방식은 사용자가 앱을 허용하고 권한을 부여하는 과정을 수행하여야하기 때문에 데이터 수집에 오랜 시간이 필요하며, 사용자들에게 해당 앱을 알리고, 사용하도록 하는 과정이 필요하여 리쿠르트 과정이 필요하다. 또한, 사용자를 선별하는 과정이 사용자 측에 있으므로, 사용자의 특성이 전체 사용자를 대표하지 못하고 편향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Facebook 크로울러를 개발하여 데이터를 확보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G. V. Caprara, S. Schwartz, C. Capanna, M. Vecchione, and C. Barbaranelli, "Personality and politics: Values, traits, and political choice," Political psychology, Vol 27, pp. 1-28, 2006. 

  2. A. S. Gerber, G. A. Huber, D. Doherty, C. M. Dowling, and S. E. Ha, "Personality and political attitudes: Relationships across issue domains and political contexts,"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Vol. 104, pp. 111-133. 2010. 

  3. J. H. Lee, J. Choi, and D. H. Koo, "An Empirical Evaluation Analysis of the Performance of In-memory Bigdata Processing Platform", Journal of the Korea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Vol. 21, No. 3, pp. 13-19, 2016. 

  4. K. Hampton, "Social networking sites and our lives. PEW Internet and American Life Project," http://pewinternet.org/Reports/2011/Technology-and-social-networks.aspx, 2015. 

  5. E. Quintelier and Y. Theocharis, "Online political engagement, Facebook, and personality traits," Social Science Computer Review, Vol. 31, pp. 280-290, 2012. 

  6. M. Conroy, J. T. Feezell, and M. Guerrero, "Facebook and political engagement: A study of online political group membership and offline political engagement,"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 28, pp. 1535 - 1546, 2012. 

  7. G. J. Gulati, and C. B. Williams, "Social Media and Campaign 2012: Developments and Trends for Facebook Adoption," Social Science Computer Review, Vol. 31, pp. 577-588, 2012. 

  8. Facebook Inc., "Facebook Company Info", http://newsroom.fb.com/company-info/, 2015. 

  9. C. L. Hsu and H. W. Park, "Mapping online social networks of Korean politicians," Government Information Quarterly, Vol. 29, pp. 169-181, 2012. 

  10. A. French, "An Empirical Analysis Evaluating Trust in Friends Versus the Community in the Social Networking Context." J. Internet Electronic Commerce Research, Vol. 13, No. 1, pp 173-197, 2013. 

  11. D. L. Painter, "Online political public relations and trust: Source and interactivity effects in the 2012 U.S. presidential campaign," Public Relations Review, 2015. 

  12. L. Vesnic-Alujevic, "Political participation and web 2.0 in Europe: A case study of Facebook," Public Relations Review, Vol. 38, pp. 466-470, 2012.. 

  13. J. Vitak, P. Zube, A. Smock, C. T. Carr, N. Ellison, and C. Lampe, "It's Complicated: Facebook Users' Political Participation in the 2008 Election,"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Vol. 14, pp. 107-114, 2011. 

  14. Wikipedia, "Websites blocked in mainland China," https://en.wikipedia.org/wiki/Websites_blocked_in_mainland_China, 2015. 

  15. R. E. Wilson, S. D. Gosling, and L. T. Graham, "A Review of Facebook Research in the Social Science," Perspectives on Psychological Science, Vol. 7, pp. 203-220, 2012. 

  16. B. Williams and G. Gulati, "The political impact of Facebook: Evidence from the 2006 midterm elections and 2008 nomination contest," Politics and Technology Review, Vol. 1, pp. 11-24, 2008. 

  17. D. Kim, and T. J. Johnson, "A Victory of the Internet over Mass Media? Examining the Effects of Online Media on Political Attitudes in South Korea," Asian Journal of Communication, Vol. 16, pp.1-18, 2006. 

  18. Y. Kim, "The contribution of social network sites to exposure to political difference: The relationships among SNSs, online political messaging, and exposure to cross-cutting perspective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 27, pp. 971-977, 2011. 

  19. T. Macafee, "Some of these things are not like the others: Examining motivations and political predispositions among political Facebook activity,"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 29, pp. 2766-2775, 2013. 

  20. N. Pennington, K. L. Winfrey, B. R. Warner, and M. W. Kearney, "Liking Obama and Romney (on Facebook): An experimental evaluation of political engagement and efficacy during the 2012 general election,"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 44, pp. 279-283, 2015. 

  21. M. Kosinski, D. Stillwell, and T. Graepel, "Private traits and attributes are predictable from digital records of human behavior," in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Vol. 110, pp. 5802-5805. 2013. 

  22. B. S. Kim, S.-H. Han, and Y.-S Kang, "Exploring Purchase Behavior of Digital Items and Actual Usage in a Social Network Site: A Longitudinal Perspective," The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Vol. 21, No. 2, pp. 97-114, 2012. 

  23. M. E. Manyin, "South Korean Politics and Rising "Anti-Americanism": Implications for U.S. Policy Toward North Korea,"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2003 

  24. M. Gjoka, M. Kurant, C. T. Butts, and A. Markopoulou, "Practical recommendations on crawling online social networks", IEEE Journal on Selected Areas in Communications, Vol. 29, pp. 1872-1892, 2011. 

  25. S. A. Catanese, P. De Meo, E. Ferrara, G. Fiumara, and A. Provetti, (2011). "Crawling Facebook for social network analysis purposes," in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Web Intelligence, Mining and Semantics, pp. 52:1-52, 2011. 

  26. J. W. van Dam, and M. van Vekdeb, "Online Profiling and Clustering of Facebook Users," Decision Support Systems, Vol. 70, pp. 60-72, 2015. 

  27. Scrapy, "Scrapy Architecture" http://doc.scrapy.org/en/latest/topics/architecture.html, 2015. 

  28. Selenium, "Selenium Introduction," http://www.seleniumhq.org/docs/01_introducing_selenium.jsp#introducing-selenium, 2015. 

  29. A. Rajaraman, and J. D. Ullman, Mining of Massive Datasets,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 

  30. M. B. Reddy and S. Reddy, "Dimensionality Reduction: An Empirical Study on the Usability of IFE-CF (Independent Feature Elimination by C-Correlation and F-Correlation) Measures,"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Vol. 7, pp. 74 - 81, 2010, 

  31. J. H. Lee and H.-K. Lee, "A study on unstructured text mining algorithm through R programming based on data dictionary," Vol. 20, No. 2, pp. 113-124,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