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터넷과 소셜미디어를 통해 본 간호사 이미지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Image of Nurse through Analysing Linking Words of Nurse in the Internet and Social Media 원문보기

임상간호연구 =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22 no.2, 2016년, pp.173 - 182  

이현숙 (경동대학교 간호학과) ,  이호선 (서울대학교병원) ,  염영희 (중앙대학교 적십자간호대학) ,  이정민 (중앙대학교병원) ,  정원선 (경북전문대학교 간호학과) ,  박현정 (중앙대학교 간호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linking words of nurse which were presented together with nurse on phrase, clauses or sentence of documents or conversations in the Internet portals and social media. Methods: The linking words with nurse were calculated by the number of presentation on convers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소셜미디어에 올라오는 글 중에서 ‘간호’ 및 ‘간호사’와 연관된 단어와 관련된 글들을 살펴봄으로써, 사람들이 간호사에 대하여 무슨 이야기를 하고 무슨 생각을 하는지 그리고 어떤 경험을 하는지를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과 소셜미디어 공간에서 회자되고 있는 간호 및 간호사에 관한 대중들의 언어를 분석하여 대중들이 갖고 있는 간호 및 간호사에 대한 느낌, 생각 그리고 그들의 태도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인터넷, 소셜미디어에 나타나는 간호사 연관어 분석을 통하여 간호사 연관 이미지를 조사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간호사라는 텍스트와 연계된 정보를 파악하고 이와 관련된 카테고리를 찾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텍스터마이닝의 자연어 처리방법(natural language processing) 중에서 형태소 분석방법(lexical analysis)을 사용하였다.
  • 본 연구는 인터넷과 소셜미디어에서 간호사라는 단어를 포함하는 구, 절, 문장에서 나타나는 연관어를 추출하여 그 연관어의 출현빈도와 의미를 살펴봄으로써 대중들이 간호사에 대하여 느끼고 생각하는 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중들의 간호사에 대한 이미지 및 인식도의 변화를 알아차리는 것은 간호가 해야 할 중요한 과제 중의 하나이다.
  • 본 연구는 인터넷과 소셜미디어에서 나타난 대중들이 느끼는 간호사의 이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러나 여러 가지 기술적인 제약과 데이터의 편향, 분석방법의 한계로 본 연구는 많은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 의료 소비자들은 건강 관련 정보와 의견을 소셜미디어를 통해 구하거나 그들의 경험, 생각, 느낌을 서로 공유하고 있다[20]. 본 연구는 지난 몇 년간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인터넷과 소셜미디어 공간에서 소통하는 이야기를 통하여 대중들이 인식하는 간호 및 간호사에 대한 이미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 및 소셜미디어에서 발생하는 간호사의 이미지를 분석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소셜미디어에 올라오는 글 중에서 ‘간호’ 및 ‘간호사’와 연관된 단어와 관련된 글들을 살펴봄으로써, 사람들이 간호사에 대하여 무슨 이야기를 하고 무슨 생각을 하는지 그리고 어떤 경험을 하는지를 알 수 있을 것이다.
  • 인터넷 검색 포털사이트인 네이버, 구글, 다음에서 ‘간호사’ 키워드 검색으로 추출되는 웹문서와 뉴스 그리고 소셜미디어인 블로그, 페이스북, 트위터에서 ‘간호사’라는 단어가 있는 구, 절, 문장에 있는 단어 즉 ‘간호사’라는 단어와 동시에 출현 하는 단어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그 속에 숨겨진 의미나 패턴 등을 발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음 카페에서는 ‘공무원’, ‘자격증’, ‘시험’, ‘관리사’, ‘취득’, ‘취업’, ‘업무’, ‘일’, ‘유망’과 같은 진로와 관련된 단어들이 상위권에 위치해 있는 이유는? 이러한 상황에서 구글이라는 검색사이트를 통해 국내외의 취업정보와 진로에 대한 여러 정보를 얻고자 한 것으로 추측된다. 다음 카페에서는 ‘공무원’, ‘자격증’, ‘시험’, ‘관리사’, ‘취득’, ‘취업’, ‘업무’, ‘일’, ‘유망’과 같은 진로와 관련된 단어들이 상위권에 위치해 있으며 이는 각종 자격증 및 공무원 준비학원에서 광고 및 홍보를 위한 광고 영향 때문인 것으로 추측해 볼 수 있다. 동시에 최근 간호사들의 활동영역이 지금까지 병원을 중심으로 한 임상영역 에서 공무원, 행정직 등으로 영역을 확장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음을 추측해 볼 수 있다.
인터넷과 소셜미디어 공간에서 회자되고 있는 간호 및 간호사에 관한 대중들의 언어를 분석하여 대중들이 갖고 있는 간호 및 간호사에 대한 느낌, 생각 그리고 그들의 태도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는 이유는? 이러한 관점에서 간호 및 간호사와 관련이 높은 단어를 찾아 그 의미를 파악함으로써 그 데이터가 내포하고 있는 패턴이나 관계를 파악해 낼 수 있을 것이다. 소셜미디어에 올라오는 글 중에서 ‘간호’ 및 ‘간호사’와 연관된 단어와 관련된 글들을 살펴봄으로써, 사람들이 간호사에 대하여 무슨 이야기를 하고 무슨 생각을 하는지 그리고 어떤 경험을 하는지를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과 소셜미디어 공간에서 회자되고 있는 간호 및 간호사에 관한 대중들의 언어를 분석하여 대중들이 갖고 있는 간호 및 간호사에 대한 느낌, 생각 그리고 그들의 태도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과거와 달리 최근 대중들이 가지는 간호사에 대한 인식은? 미국사회에서 간호사는 전문기술을 가진 존중받는 직업으로 인식되면서[12,13] 성별의 격차가 줄어들고 있는 전문직으로의 모습을 보여주기 시작하고 있다. 대중들은 간호사들이 스스로 인식하는 것보다는 더 긍정적이었고 전문지식을 가지고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직업으로 인식하고 있었다[14]. 이러한 변화는 여전히 미약하지만 실제 간호현장에서 일하는 간호사의 모습이 대중매체를 통하여 전달되기 시작했다고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otler P, Clarke R. Marketing for health care organizations. New Jersey: By Prentice-Hall Engelwood Cliffs; 1987. 

  2. Kalisch PA, Kalisch BJ, Scobey M. Images of nurses on television. New York: Springer Pub; 1983. 

  3. Takase M, Kershaw E, Burt L. Does public image of nurses matter?. Journal of Professional Nursing. 2002;18(4):196-205. 

  4. Takase M, Maude P, Manias E. Impact of the perceived public image of nursing on nurses' work behaviour.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6;53(3):333-343.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06.03729.x 

  5. Kalisch PA, Kalisch BJ. The changing image of the nurse. Menlo Park California: Addison Wesley Publishing Company; 1987. 

  6. Bridges JM. Literature review on the images of the nurse and nursing in the media. Journal of Advanced Nursing. 1990;15(7):850-854. 

  7. Dominiak MC. The concept of branding: is it relevant to nursing?. Nursing Science Quartely. 2004;17(4):295-300. http://dx.doi.org/10.1177/0894318404269376 

  8. Gordon S, Nelson S. An end to angels. The American Journal of Nursing. 2005;105(5):62-69. 

  9. Stanley DJ. Celluloid angels: A research study of nurses in feature films 1900-2007.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8; 64 (1):84-95.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08.04793.x 

  10. Kelly J, Fealy GM, Watson R. The image of you: Constructing nursing identities in YouTub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12;68(8):1804-1813.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11.05872.x 

  11. Kwon YA, Gil MJ, Chun KY, Yoo HJ, Jung JH, Park OK, et al. The image and activity of nurses on U.S. medical dramas. Journal of the Nursing Academic Association of Ewha Womans University. 2009;43(1):1-16. 

  12. Kalisch BJ, Begeny S, Neumann S. The image of the nurse on the internet. Nursing Outlook. 2007;55(4):182-188. 

  13. Donelan K, Buerhaus P, DesRoches C, Dittus R, Dutwin D. Public perceptions of nursing careers: The influence of the media and nursing shortages. Nursing Economics. 2008;26(3):143. 

  14. Korean Gallop, Korean Nurses Association. Focus 02: Public opinion poll of nurse image. The Korean Nurse. 2006;45(6):6-7. 

  15.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75.1% of respondents have gained health information via the Internet [Internet]. Seoul: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0[cited 2010 December 15].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m/noticeView.jsp?MENU_ID0403&cont_seq245034&page312. 

  16. Manyika J, Chui M, Brown B, Bughin J, Dobbs R, Roxburgh C, et al. Big data: The next frontier for innovation, competition, and productivity. New York: McKinsey Global Institute; 2011. 

  17. Song KY. Understanding society via social big data mining. Paper presented at: Korea internet conference; 2012 June 25; Intercontinental Seoul COEX. Seoul. 

  18. Yu JW. A patent similarity analysis program using natural language process [master's thesis]. Seoul: Hanyang University; 2007. p. 41-42. 

  19. Song IH. What is social media?. Seoul: Flat Home; 2010. p. 10-13. 

  20. Song TM. Development of suicide search prediction model through analysis of social big data.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13;8:74-86. 

  21. Kim HJ, Kim HO. A study on image of the nurs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1;7(1):97-109. 

  22. Yom YH, Kim K, Son H, Jeon JH, Lee J, Kim MA. Analysis of the image and likability of the nurse.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5;21(2):169-179. 

  23. Kim JE, Jung HJ, Kim HN, Son SY, An SK, Kim SB, et al. The Image of nurses and their clinical role portrayed in Korean medical TV dramas in recent 5 years.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2013;10(2):120-132. 

  24. Lee MS. History: Eui-nyeo(woman with medical profession) system in Joseon Dynasty. Korean Thought and Culture. 2012;61:169-203. 

  25. Kalisch PA, Kalisch BJ. A comparative analysis of nurse and physician characters in the entertainment media. Journal of Advanced Nursing. 1986;11(2):179-195. 

  26. Lusk B. Pretty and powerless: Nurses in advertisements, 1930-1950. Research in Nursing & Health. 2000;23(3):229-236. 

  27. Statics Korea. 2009 The survey for job reliability in Korea [Internet]. Seoul: Sisa Journal; 2009[cited 2009 July 29]. Availiable from: https://www.google.co.kr/?gfe_rdcr&ei836oV-emDMXC8ge1vJvwDQ&gws_rdssl#newwindow1&q%EB%AF%B8%EA%B5%AD+%EC%8B%A0%EB%A2%B0%EB%B0%9B%EB%8A%94+%EC%A7%81%EC%97%85+%EC%86%8C%EB%B0%A9+%EA%B0%84%ED%98%B8+%EC%8B%9C%EC%82%AC%EC%A0%80%EB%84%90. 

  28. Bang KS, Jun MH, Kim HS, Son HM, Kang J, Yu SJ, et al. Nursing students' awareness of nursing and future career.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09;15(1):22-31. 

  29. Ohlen J, Segesten K.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the nurse: Concept analysis and development. Journal of Advanced Nursing. 1998;28(4):720-727. 

  30. Gregg MF, Magilvy JK. Professional identity of Japanese nurses: Bonding into nursing. Nursing and Health Science. 2001;3(1):47-5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