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저자는 엔젤만 증후군 중 그 발생 기전이 2% 이하인 편친 이염색체성 엔젤만 증후군 증례를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치료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환자는 근육간대경련발작(myoclonic seizure)의 병력으로, 조절을 위해 항경련제(Valproate)를 복용중이었고, 전반적인 발육 장애와 지적 장애, 언어 장애를 나타내고 있었다. 구내 소견으로는 치간 이개, 하악골 전돌, 거대설과 연하 장애가 관찰되었으며, 잦은 불수의적 운동 때문에 구강 위생 상태는 매우 불량 하였다. 치료 범위가 광범위하고, 환자의 협조도를 얻을 수 없었으며, GABA 수용체의 기능장애로 인해 진정 약물을 이용한 행동 조절은 효과적이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여 전신마취 하에서 치과치료를 시행하였고, 성공적으로 치과치료가 가능했다. 엔젤만 증후군 환자들도 정기적인 치과 방문을 통한 구강 위생 교육, 전문가 치면 세마, 불소 도포가 이루어진다면 적절한 구강 건강을 유지할 수 있으며, 주기적인 치과 방문을 통해 환자가 치과 진료에 적응 한 뒤에는 간단한 치료도 가능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gelman syndrome is characterized by a partial deficit of paired autosomal chromosome 15, which contains a subunit of the GABA (Gamma-Amino Butyric Acid) receptor. The main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his syndrome are delayed neuropsychological development, intellectual disability, and speech impa...

주제어

참고문헌 (13)

  1. Angelman H : "Puppet"children"a report of three cases. Dev Med Child Neurol, 7:681-688, 1965. 

  2. Steffenburg S, Gilberg CL, Steffenburg U, Kyllerman M : Autism in Angelman syndrome: a population-based study. Pediatr Neurol, 14:131-136, 1996. 

  3. Murakami C, Correa MSNP, Correa FNP, Correa JPNP : Dental treatment of children with Angelman syndrome: a case report. Special Care in Dentistry, 28:8-11, 2008. 

  4. Williams CA, Beaudet AL, Clayton-Smith J, et al. : Angelman syndrome 2005: updated consensus for diagnostic criteria. Am J Med Genet, 140:413-418, 2006. 

  5. Hou JW, Wang PJ, Wang TR : Angelman syndrome assessed by neurological and molecular cytogenetic and molecular investigation. Pediatr Neurol, 16:17-22, 1997 

  6. Pembrey M, Fennell SJ, van den Berghe J, et al. : The association of Angelman syndrome and deletions within 15q11-13. J Med Genet, 26:73-77, 1989. 

  7. Moncla A, Malzac P, Voelckel MA, et al. : Phenotype-genotype correlation in 20 deletion and 20 non-deletion Angelman syndrome patients. Eur J Hum Genet, 7:131-9, 1999 

  8. Ebert MH, Schmidt DE, Thompson T, Butler MG. : Elevated plasma gamma-aminobutyric acid (GABA) levels in individuals with either Prader-Willi syndrome or Angelman syndrome. J Neuropsychiatry Clin Neurosci, 9:75-80, 1997 

  9. Schneider BB, Main DM : Angelman syndrome. J Am Optom Assoc, 64:502-506, 1993. 

  10. Homanics GE, DeLorey TM, Firestone LL, et al. : Mice devoid of gamma-aminobutyrate type A receptor beta3 subunit have epilepsy, cleft palate, and hypersensitive behavior. Proc Natl Acad Sci USA, 94:4143-4148, 1997. 

  11. Jurd R, Arras M, Lambert S, et al. : General anesthetic actions in vivo strongly attenuated by a point mutation in the GABA(A) receptor beta3 subunit. FASEB J, 17:250-252, 2003. 

  12. Jeong TS : Dental treatment of the patient with epilepsy and seizure disorders. J Korean Dis Oral Health, 3:69-74, 2007. 

  13. Clayton-Smith J, Laan L : Angelman syndrome: a review of the clinical and genetic aspects. JMed Genet, 40:87-95,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