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저자는 불량한 구강 위생과 다수 치아에 광범위한 치아 우식증을 보이나 치과 검진과 치료에 협조가 되지 않는 엔젤만 증후군 환자를 전신마취 하에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치료한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환아는 간질 조절을 위해 항경련제(Clobazam)를 복약 중이었고 운동 장애, 발육 지연, 언어 장애, 불수의적 폐구 운동을 보였다. GABA 수용체 이상이 동반되는 AS의 특성 상 진정 약물의 효과가 떨어질 수 있으며, 발작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전신마취를 행동조절 요법으로 선택하였고, 모든 생징후를 안전하게 감시하며 성공적으로 치과 치과치료를 시행하였다. 전신마취 이후에는 정기검진, 비약물적 행동조절 요법을 통해 간단한 수복 치료를 추가로 시행할 수 있었고, 환자의 구강 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gelman syndrome is a rare disorder caused by deletion or inactivation of genes on the maternally inherited chromosome 15. This neurodevelopmental disorder is characterized by developmental and intellectual delay, speech impairment, sleep disturbance, seizures, motor dysfunction, and frequent laug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저자는 불량한 구강 위생과 다수 치아에 광범위한 치아우식증을 보이나 치과 검진과 치료에 협조가 되지 않는 엔젤만 증후군 환자를 전신마취 하에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치료한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환아는 간질 조절을 위해 항경련제(Clobazam)를 복약 중이었고 운동 장애, 발육 지연,언어 장애, 불수의적 폐구 운동을 보였다.
  • 저자는 협조를 얻을 수 없는 엔젤만 증후군 환자의 다발성 치아 우식증을 전신마취 하에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치료함으로써 다소의 지견을 얻었기에 이를 보고 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엔젤만 증후군이란 무엇인가? 엔젤만 증후군(Angelman syndrome, AS)은 유전적 뇌 병변 장애이다. 이 질환은 1965년에 영국의 소아과 의사Harry Angelman이 공통적인 임상 양상을 보이는 3명의 환자를 보고함으로써 알려졌다1).
AS는 어떠한 증상을 보이는가? 이 질환은 1965년에 영국의 소아과 의사Harry Angelman이 공통적인 임상 양상을 보이는 3명의 환자를 보고함으로써 알려졌다1). AS 환자들은 발달 지연,언어 장애, 과도한 웃음, 운동 장애, 비정상적인 EEG와 발작, 수면장애, 특징적인 얼굴 양상 및 소두증을 보인다. 유병율은 약 1:10,000에서 1:40,000으로 추정되며, 인종별로 차이가 있다2-4).
엔젤만 증후군은 언제, 누구에 의해 처음 알려졌는가? 엔젤만 증후군(Angelman syndrome, AS)은 유전적 뇌 병변 장애이다. 이 질환은 1965년에 영국의 소아과 의사Harry Angelman이 공통적인 임상 양상을 보이는 3명의 환자를 보고함으로써 알려졌다1). AS 환자들은 발달 지연,언어 장애, 과도한 웃음, 운동 장애, 비정상적인 EEG와 발작, 수면장애, 특징적인 얼굴 양상 및 소두증을 보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Hart H : 'Puppet'children. A report of three cases (1965). Dev Med Child Neurol, 50:564, 2008. 

  2. Clayton-Smith J, Laan L : Angelman syndrome: a review of the clinical and genetic aspects. J Med Genet, 40:87-95, 2003. 

  3. Steffenburg S, Gilberg CL, Steffenburg U, Kyllerman M : Autism in Angelman syndrome: a population-based study. Pediatr Neurol, 14:131-136, 1996. 

  4. Buckley RH, Dinno N, Weber P : Angelman syndrome: are the estimates too low?. Am J Med Genet, 80:385-390, 1998. 

  5. Wlliams CA, Beaudet AL, Wagstaff J, et al. : Angelman syndrome 2005: updated consensus for diagnostic criteria. Am J Med Genet A, 140: 413-418, 2006. 

  6. Margolis SS, Sell GL, Zbinden MA, Bird LM : Angelman syndrome. Neurotherapeutics, 12:641-650, 2015. 

  7. Pembrey M, Fennell SJ, Super M, et al. : The association of Angelman's syndrome with deletions within 15q11-13. J Med Genet, 26:73-77, 1989. 

  8. Hou JW, Wang PJ, Wang TR : Angelman syndrome assessed by neurological and molecular cytogenetic investigations. Pediatr Neurol, 16:17-22, 1997. 

  9. Kim BS, Yeo JS, Kim SO : Anesthesia of a dental patient with Angelman syndrome-A case report. Korean J Anesthesiol, 58:207-210, 2010. 

  10. Murakami C, Nahas Pires Correa MS, Nahas Pires Correa F, Nahas Pires Correa JP : Dental treatment of children with Angelman syndrome: a case report. Spec Care Dentist, 28:8-11, 2008. 

  11. Clayton-Smith J : Clinical research on Angelman syndrome in the United Kingdom: observations on 82 affected individuals. Am J Med Genet, 46: 12-15, 1993. 

  12. Ebert MH, Schmidt DE, Thompson T, Butler MG: Elevated plasma gamma-aminobutyric acid (GABA) levels in individuals with either Prader-Willi syndrome or Angelman syndrome. J Neuropsychiatry Clin Neurosci, 9:75-80, 1997. 

  13. Jurd R, Arras M, Rudolph U, et al. : General anesthetic actions in vivo strongly attenuated by a point mutation in the GABA(A) receptor beta3 subunit. FASEB J, 17:250-252, 2003. 

  14. Homanics GE, DeLorey TM, Olsen RW, et al. : Mice devoid of gamma-aminobutyrate type A receptor beta3 subunit have epilepsy, cleft palate, and hypersensitive behavior. Proc Natl Acad Sci USA, 94:4143-4148, 1997. 

  15. Gyulai FE, Mintun MA, Firestone LL : Dose-dependent enhancement of in vivo GABA(A)-benzodiazepine receptor binding by isoflurane. Anesthesiology, 95:585-593, 2001. 

  16. Bujok G, Knapik P : Angelman syndrome as a rare anaesthetic problem. Paediatr Anaesth, 14: 281-283, 2004. 

  17. Ramanathan KR, Muthuswamy D, Jenkins BJ : Anaesthesia for Angelman syndrome. Anaesthesia, 63:659-661, 2008. 

  18. Park SH, Shin TJ, Jang KT, et al. : Dental treatment in a patient with Angelman syndrome due to uniparental disomy. J Korean Dis Oral Health 12:11-15,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