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창군 해리면 사반리 일대 3차원 지질모델링을 활용한 제4기 퇴적환경분석
Analysis of Quaternary Sedimentary Environment based on 3D Geological Modeling for Saban-ri, Haeri-myeon, Gochang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49 no.4, 2016년, pp.291 - 299  

신혜인 (충남대학교 우주.지질학과) ,  유재형 (충남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  배성지 (충남대학교 우주.지질학과) ,  양동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국토지질연구본부) ,  한민 (서울대학교 대학원 지리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고창군 해리면 사반리에 대해 3차원 지표모델과 3차원 지질모델을 기반으로 고창지역의 제4기 극한 기후에 따른 퇴적기록 분포 특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3차원 지표지질 모델 및 하부지질모델을 구축한 결과, 연구지역의 지질은 기반암, 플라이스토세 퇴적층, 홀로세 퇴적층이 순차적으로 퇴적되었으며, 주로 기저부의 기반암과 상부의 홀로세 퇴적층이 주를 이룬다. 또한 플라이스토세 퇴적층은 연구지역의 동부에 렌즈상의 퇴적층으로, 북동부에 쐐기상의 형태로 관찰된다. 연구지역의 홀로세 퇴적층은 전체적으로 모래층과 점토질 실트층이 순차적으로 퇴적된 지역으로, 이는 해침 환경 당시 퇴적된 하성층으로 사료된다. 특징적으로 연구지역 동부에 분포하는 플라이스토세 점토질 실트층과 홀로세 모래층은 와지 형태로 관측되며 과거 극한기후에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 오버워시에 의한 폭풍퇴적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stratigraphic research containing extreme climate event during Quaternary period in Saban-ri, Haeri-myeon, Gochang by constructing 3D topographic model and 3D geological model. As a result of 3D topographic model and subsurface geological model, the geology of study area accumul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라북도 고창군 사반리에 대해 시추자료를 포함한 지질자료를 분석하고, 수치지형도의 등고선 자료와 인공위성 자료를 융합하여 3차원 지표지질 모델을 구축하였다. 또한 구축된 3차원 모델을 기반으로 고창지역의 제4기 극한 기후에 따른 퇴적 기록 분포 특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고창군 해리면 사반리 일대에 3차원 지표 지질 모델을 구축하고 구축된 3차원 모델을 기반으로 고창지역의 제4기 극한 기후에 따른 퇴적기록 분포 특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3차원 지표지질 모델을 구축한 결과, 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안지역의 특징은 무엇인가? 연안지역은 바다와 육지의 상호작용이 활발한 지역이며, 침식 및 퇴적환경의 변화특성을 직접적으로 반영한다. 따라서 연안지역의 퇴적기록은 지질시대를 통한 자연재해 및 환경변화에 관련된 단서들을 얻을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연안지역의 퇴적기록을 활용한 환경변화 연구에 대한 노력들이 활발하게 진행되어 오고 있다(Shepard, 1977; Davis, 1985; Davis and Fitzgerald, 2004; Boak and Turner, 2005; Yang et al.
고창 명사십리일대의 퇴적기록은 외부요소가 아닌 극한 기후에 의한 퇴적환경을 규명하기에 적합한 이유는 무엇인가? 이러한 직간접적인 요소로 인해 끊임없이 연안지역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특히, 서해안에 위치한 고창 명사십리지역은 직선형 해빈 지형으로 외부로부터 퇴적물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조석과 파랑이 직접적으로 지형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고창 명사십리일대의 퇴적기록은 외부요소가 아닌 극한 기후에 의한 퇴적환경을 규명하기에 적합하여 보다 다양한 관점에서 이들을 분석 및 활용할 필요가 있다(Kang et al.
한반도의 서해안의 특징은 무엇인가? 한반도의 서해안은 조석간만의 차가 크고, 계절에 따라 계절풍의 영향을 받는다(Chough et al., 2000; Yang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Baek, Y.S., Chun, S.S. and Shin, S.J. (2009) Seasonal variation of sedimentary structures and ichofacies in the Doouri open-coast tidal flat, southwestern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45, p.187-208. 

  2. Boak, E.H. and Turner, I.L. (2005) Shoreline definition and detection: a review. Journal of Coastal Research, v.21, p.688-703. 

  3. Caumon, G., Collon-Drouaillet, P., Le Carlier de Veslud, D., Viseur, S. and Sausse, J. (2009) Surface-Based 3D Modeling of Geological Structures. Mathematical Geosciences 2009, v.41, p.927-945. 

  4. Chough, S.K., Lee, H.J. and Yoon, S.H. (2000) Marine geology of Korean Seas. Elsevier, Amsterdam, 313p. 

  5. Davis, R.A. Jr. (1985) Coastal sedimentary environments. Springer-Verger, New York, 716p. 

  6. Davis, R.A. Jr. and Fitzgerald, D.M. (2004) Beaches and coasts. Blackwell Science Ltd., Malden, 419p. 

  7. Dawson, A.G., Stewart, I. (2007) Tsunami deposits in the geological record. Sedimentary Geology, v.200, p.166-183. 

  8. Foxgrover, A, (2009) Quantifying the overwash component of barrier island morphodynamics: Onslow Beach, NC 

  9. Hobbs, C.H. (2012) The beach book: science of the shore. Columbia University Press, New York, 195p. 

  10. Hutchinson, M.F. (1996) A locally adaptive approach to the interpolation of digital elevation models. In Proceedings, Third International Conference/Workshop on Integrating GIS and Environmental Modeling. Santa Barbara, CA: National Center for Geographic Information and Analysis See: http://www.ncgia.ucsb.edu/conf/SANTA_FE_CD-ROM/sf_papers/hutchinson_michael_dem/local.html. 

  11. Hutchinson, M.F. and Gallant, J.C. (2000) Digital elevation models and representation of terrain shape. In: J.P. Wilson and J.C. Gallant (eds) Terrain Analysis. Wiley, New York, p.29-50. 

  12. Jorgensen, F., Hoyer, A.S., Sandersen, P.B., He, X. and Foged, N. (2015) Combining 3D geological modelling techniques to address variations in geology, data type and density-An example from Southern Denmark. Computers & Geosciences, v.81, p.53-63. 

  13. Kain, C.L., Gomez, C., Hart, D.E., Wassmer, P., Goff, J. and Starheim, C. (2014) Assessing topographic controls on flow direction in washover deposits using measurements of Magnetic Fabric. Marine Geology, v.350, p.16-26. 

  14. Kang, S.l., Ryang, W.H. and Chun, S.S. (2015) Characteristics of surface topography variation on the gochang beach, southwestern coast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6, p.533-542. 

  15. Kang, S.l., Ryang, W.H., Jin, J.H. and Chun, S.S. (2016) Seasonal Variation of Surface Sediments in 2014 on the Gochang Open-Coast Intertidal Flat, Southwester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7, p.89-106. 

  16. Kim, J.E., Yu, J.H. and Yang, D.Y. (2014) Site Selection for Geologic Records of Extreme Climate Events based on Environmental Change and Topographic Analyses using Paleo Map for Myeongsanimni Coast, South Korea.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47, p.589-599. 

  17. Lee, B.J., Kim, J.C., Kim, Y.B., Cho, D.L., Choi, H.I., Chun, H.Y. and Kim, B.C. (1997) Geologic report of the Gwangju sheet (1:250,000),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82p. 

  18. Lee, J.A. Yu, J.H., Park, G.S., Lee, B.H., Kim, I.J. and Heo, C.H. (2015)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3D Geological Modeling and Magnetic Data of Fe-Mn Ore in Ugii Nuur, Mongolia.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46, n.4, p.291-300. 

  19. Mallet, J.L. (1989) Discrete Smooth Interpolation. ACM Transactions on Graphics, v.8, p.121-144. 

  20. Mallet, J.L. (2002) Geomodeling. OXFORD University Press, 599p. 

  21. Paradigm(R) (2013) SKUA-GOCAD User Guide 

  22. Pilkey, O.H., Neal, W.J., Kelley, J.T. and Cooper, J.A.G. (2011) The world's beaches: a global guide to the science of the shorelin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Berkeley, 283p. 

  23. Shepard, F.P. (1977) Geological oceanography. Crane, Russak & Company, Inc., New York, 214p. 

  24. Wang, P. and Horwitz, M.H. (2007) Erosional and depositional characteristics of regional overwash deposits caused by multiple hurricanes. Sedimentology, v.54, p.545-564. 

  25. Yang, B.C., Dalrymple, R.W., Chun, S.S. and Lee, H.J. (2006) Transgressive sedimentation and stratigraphic evolution of a wave-dominated macrotidal coast, western Korea. Marine Geology, v.235, p.35-48. 

  26. Yang, D.Y., Kim, J.Y., Nahm, W.H., Ryu, E., Yi, S., Kim, J.C., Lee, J.Y. and Kim, J.K. (2008) Holocene wetland environmental change based on major element concentrations and organic contents from the Cheollipo coast, Korea. Quaternary International, v.176, p.143-15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