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창군 광승리 연안 퇴적층의 퇴적 시기와 범람 기원 특성
Burial Age and Flooding-origin Characteristics of Coastal Deposits at Gwangseungri, Gochanggun, Korea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6 no.3, 2015년, pp.222 - 235  

김종연 (충북대학교 지리교육과) ,  양동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신원정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고창군 광승리 지역의 해발고도 5 m 내외의 해안 지점(DH)과 해발고도 10-15 m의 단구 상부 지점(KS)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화학 분석입도 분석 등을 통하여 퇴적 물질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DH는 풍화된 기반암을 피복하는 적색 토양층으로 하부에서 상부로 가면서 물질 조성이 점진적으로 변화하였다. DH 시료 내에 점토광물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근거로 하여 이 층을 제자리 풍화층으로 판단하였다. KS의 경우 구릉의 말단부에 위치하는 자갈층을 피복하는 층으로 물질 조성이 전반적으로 DH 부분과 상당히 다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구간에서 물질의 교란이 일어나거나 외부 물질의 유입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었다. 한편 입자의 입도에 있어서 KS 시료들은 현재의 해빈 물질과 다른 특성이 나타난다. KS의 하부는 해빈에 비하여 세립 물질로 나타났으며, 중간 부분은 해빈보다 조립 물질이다. KS 시료의 분급은 해빈에 비하여 나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퇴적층중 일부는 지속적인 파랑과 조류에 의한 것보다는 일시적인 고에너지 환경에서 퇴적된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KS 부분 시료의 매몰 연대는 광여기루미네센스(OSL) 분석에 의하여 0.65-0.71 ka로 추정되었다.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해당 퇴적층과 형성 과정의 특성에 대해서는 명확히 밝혀져야 할 것이지만, 해당 퇴적층은 폭풍에 의한 연안 범람 퇴적층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amples were collected from both places including the coastal area within the height of 5 m above the mean sea level (msl) (DH) and the top of the coastal terrace of 10-15 m msl (KS) high in Gwangseungri, Gochanggun, Korea. To find the origin of the deposit in the coastal area, granulometric analysi...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서해 연안에는 어떤 것이 혼재하는가? 우리나라 서해 연안에는 지역의 특성에 따라서 풍성 퇴적 지형, 해수의 작용으로 인하여 형성된 지형, 육상으로부터 유입하는 하천 퇴적층 기원 지형, 풍화 삭박에 의하여 형성된 제자리 풍화 지형 등이 혼재한다. 이들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연안의 퇴적 지형을 대상으로 이루어 졌으며, 해안의 침식과 풍화에 대한 연구가 부분적으로 이루어져 왔다(Kim et al.
연안의 퇴적층에 대한 연구의 경향으로 인한 결과는 무엇인가? 연안의 퇴적층에 대한 연구 역시 주로 과거 저습지를 형성하던 부분이나, 석호 환경에서 발견된 시료, 풍성 퇴적층 분포 지역을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그 결과 대부분의 퇴적 지형에 대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고도가 낮은 부분에 집중되어 왔으며 해안선에 연한 구릉지의 말단부 등에 형성된 퇴적층에 대한 조사와 연구는 큰 진전을 보이지 못해 왔다(Choi, 2009). 해안선에 연한 구릉의 말단부 등에 형성된 퇴적층은 앞서 지적한 다양한 지형 형성 과정에 형성된 것으로 각 지형 형성 과정의 특성에 따라서 다양한 물리·화학적 특성을 지니게 된다.
연안의 퇴적층에 대한 연구는 어떻게 이루어져 왔는가? , 2014). 연안의 퇴적층에 대한 연구 역시 주로 과거 저습지를 형성하던 부분이나, 석호 환경에서 발견된 시료, 풍성 퇴적층 분포 지역을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그 결과 대부분의 퇴적 지형에 대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고도가 낮은 부분에 집중되어 왔으며 해안선에 연한 구릉지의 말단부 등에 형성된 퇴적층에 대한 조사와 연구는 큰 진전을 보이지 못해 왔다(Choi,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itken, M.J., 1998, An introduction to optical dating. Oxford University Press 

  2. Choi, K.H., 2012, Evolution of coastal dune system and sea level change during the Holocene in Korea. Unpublished Ph.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192 p. (in Korean) 

  3. Choi, S.G., 1998, A proposal of key surfaces for the study of Quaternary environmental changes and geomorphic development in the Mid-western coastal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Journal of the Korean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5(1), 21-40. (in Korean) 

  4. Choi, S.G., 2006, Tectonic movement in the Southwest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indicated by marine terraces of Soando island. Journal of the Korean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13(3), 1-10. (in Korean) 

  5. Choi, S.L., 2013, Seasonal variation of surface sediments in the Kwangseungri beach. Gochanggun, Korea, Unpublished M.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Korea. 31 p. (in Korean) 

  6. Chough, S.K., Lee, C.W., Sohn, Y.K., and Hwang, I.G., 1995, Sedimentology. Woosung. (in Korean) 

  7. Davis, R.A.Jr. and Hayes, M.O., 1984, What is a wave dominated coast?. Marine Geology, 60, 313-330. 

  8. Gupta, A.S. and Rao, K.S., 2001, Weathering indices and their applicability for crystalline rocks. Bulletins of Engineering Geology and Environment, 60, 201-221. 

  9. Hails, J.R., 1967, Significance of statistical parameters for distinguishing sedimentary environments in New South Wales, Australia. Journal of Sedimentary Petrology, 37, 1059-1069. 

  10. Kim, H.J., 2005, Geomorphological contribution to the study on Koch'ang basin (southwestern part of Korean peninsula). Unpublished M. Ed.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eongju, Korea. 96 p. (in Korean) 

  11. Kim, J.Y., Yang, D.Y., and Shin, W.J., 2014, A study on the evolution of granite hill on the west coast area. Journal of the Korean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21(4), 19-40. (in Korean) 

  12. Kim, Y.R., Kee, K.D., and Yang, J.H., 2012, Weathering characteristics of granitic regolith in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Journal of the Korean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19(4), 123-137. (in Korean) 

  13. Kwon, H.J., 1975, Questions on the coastal landforms and coast classification in Korea. Journal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rea University, 3, 73-83. (in Korean) 

  14. Kwon, H.J., 1981, Coastal landforms of Taean peninsula and Anmyeon island. Journal of the college of Education, 6, 261-287. (in Korean) 

  15. Lee, B.J. and Lee, S.R., 2001, Geological report of the Gochang sheet (Scale 1:50000).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s and Mineral Resources. 43 p. 

  16. Leeder, M., 1999, Sedimentology and sedimentary basins. Blackwell Science. 

  17.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1995, Earthquake activities and crustal deformation in the Korean peninsula (I) (KR-95 (T)-7). 329 p. (in Korean) 

  18.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2006, Active tectonic survey around NPP area. (in Korean) 

  19. Oh, G.H., 1980, The correlation of the marine terrace surface along the eastern and the western coast in the central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Shilla University Journal, 8, 157-172. (in Korean) 

  20. Ryu, S.S., 2009, Changes of landforms and land uses of Gochang-gun coastal fringe, Jeollabuk-do, Korea. Unpublished M. Ed.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Korea. 56 p. (in Korean) 

  21. Sak, P.B., Fisher, D.M., Gardner, T.W., Murphy, K. and Brantley, S.L., 2004, Rates of weathering rind for formation on Costa Rican basalt. Geochimica et Cosmochimica Acta, 68(7), 1453-1472. 

  22. So, K.S., Ryang, W.H., Kang, S.L., and Kwon, I.K., 2010, Seasonal variation of surface sediments in the Dongho beach, Gochang-gun, Korea.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1(7), 708-719. (in Korean) 

  23. So, K,S., Ryang, W.H., Choi, S.L., and Kwon, I.K., 2012a, Seasonal variation of surface sediments in the Kwangseungri beach, Gochanggun, Korea.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3(6), 497-510. (in Korean) 

  24. So, K.S., Ryang, W.H., and Lee, B.J., 2012b, Four season variation of surface sediments in the Myeongsasipri beach, Gochanggun, SW Korea,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The Institute of Science Educatio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37, 73-83. (in Korean) 

  25. van der Weijden, C.H. and van der Weijden, R.D., 1995, Mobility of major, minor and some redox-sensitive trace elements and rare-earth elements during weathering of four granitoids in central Portugal. Chemical Geology, 125, 149-167. 

  26. Yeom, J.K., Yu, K.M., Yoshikazu, S., Takao, T. and Todashi, N., 2002, Depositional environmental change during the last 400 years in the Hwajinpo lagoon on the eastern coast of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38(1), 21-32.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