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폐밀봉선원 처분방식별 폐쇄후 예비안전성평가
Preliminary Post-closure Safety Assessment of Disposal Options for Disused Sealed Radioactive Source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49 no.4, 2016년, pp.301 - 314  

이승희 ((주)미래와도전) ,  김주열 ((주)미래와도전) ,  김석훈 ((주)미래와도전)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에서 발생한 폐밀봉선원은 현재 한국원자력환경공단 폐기시설에 임시 보관 중에 있으며 향후 중 저준위 방사성 폐기물 처분시설에 처분될 예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폐밀봉선원의 최적 처분방안 수립에 앞서 폐밀봉선원 처분시 폐쇄후 예비안전성평가를 수행하였다. 폐밀봉선원이 표층처분시설 또는 동굴처분시설에 처분되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GoldSim 전산코드를 사용하여 결정집단의 개인 피폭선량을 계산하였다. 평가결과 정상 시나리오시 최대 피폭선량은 두 가지 처분방식에 대해 약 $1{\times}10^{-7}mSv/yr$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규제치인 0.1 mSv/yr에 대비하여 장기적으로 충분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우물시나리오 시 최대 피폭선량은 표층처분시설에서 규제치인 1 mSv/yr를 초과하였으며 이는 $^{226}Ra$, $^{210}Pb$($^{226}Ra$딸핵종) 및 $^{237}Np$($^{241}Am$의 딸핵종)에 기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동굴처분시설의 경우, 모든 핵종의 최대 피폭선량이 법적 규제치를 만족하나 $^{14}C$$^{237}Np$($^{241}Am$의 딸핵종)에 의한 피폭선량이 규제치 대비 10%를 초과하는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처분시설 폐쇄후 주민의 피폭선량은 반드시 법적 규제치 이하로 유지되어야 하므로 규제치를 초과 또는 이에 근접한 피폭선량을 유발하는 핵종인 $^{14}C$, $^{226}Ra$$^{241}Am$를 각 처분방식에서 제한할 필요가 있으며 안전한 영구 처분을 위한 처분전 관리가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isused Sealed Radioactive Sources (DSRSs) are stored temporally in the centralized storage facility of Korea Radioactive Waste Agency (KORAD) and planned to be disposed in the low- and intermediate-level radioactive waste (LILW) disposal facility in Gyeongju city. In this study, preliminary post-c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GoldSim 전산코드를 사용하여 폐밀 봉선원 처분시설에 대한 폐쇄후 예비안전성평가를 수행하였다. 1991년부터 2014년까지 국내에서 발생된 폐밀봉선원이 표층처분시설 및 동굴처분시설에 각각 처분된다는 가정하에 결정집단의 개인 피폭선량 관점에서 폐쇄후 안전성 평가를 수행한 후 평가결과를 법적규제치와 비교함으로써 폐밀봉선원 처분방식별 안전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폐밀봉선원의 방사능은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 2단계 건설사업 준공시점을 감안하여 2020년도 방사능량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평가기간은 원자력안전위원회고시 제2014-56호 제7조(성능평가기간) 요건에 따라 1,000년 이전에 최고 선량값에 도달하지 않을 경우 그 이상으로 설정하였다.

가설 설정

  • 본 평가에서는 Cell pathway 및 Aquifer pathway를 적용하여 이류와 확산을 통한 핵종 이동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Cell pathway는 Cell에서의 모든 핵종이 균일 혼합되어 있다고 가정하며 Aquifer pathway는 Cell pathway가 다수 연결된 pathway를 모사한다. 질량 이동 모델의 질량보존방정식(mass balance equation)은 시간에 대하여 1차 상미분방정식으로 표현되며 핵종의 질량변화량을 핵종 방사성붕괴로 인한 감소, 모핵종의 붕괴로 인한 증가, Cell로의 핵종 유입의 합으로 정의한다.
  • 근계영역 공학적 방벽은 콘크리트로 단순화하였으며 LILW-SAR에 따라 1,400년 이전에는 건전성이 유지되다가 해당 시점 이후에 열화현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또한 GoldSim 모델링에서는 계산시작 시점을 사일로 내부로의 지하수 침투가 아닌 포화 이후로 설정하였으며 이에 따라 개념 모델에서는 사일로 포화 이후 폐기물로부터 방사성핵종이 누출되어 지하 수유동에 따라 콘크리트, 원계 암반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모사하였다.
  • 불포화층의 지하수는 모두 콘크리트에서 누출된 지하수로 콘크리트의 침투수량과 동일하며 불포화층을 따라 이동하는 지하수는 모두 대수층으로 이동한다. 대수층에서의 지하수 유동속도는 10 m/yr로 가정하였다 (Park et al., 2001). 전체 유량은 처분시설 가로 및 세로길이의 기하평균값, 대수층 두께, 유속을 곱한 값으로 설정하였다(23,604 m3/yr).
  • 모든 처분방식은 단일시설로 가정하며 하나의 선원으로 모델링하였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본 평가에 적용된 방사성폐기물 선원항은 1991년부터 2014년까지 위탁폐기된 폐밀봉선원으로 설정하였다.
  • 4 m로 설정하였다. 방사선원항은 폐기물, 지하수, 공기로 구성하였으며 물질 내 지하수 포화도는 0.69로, 처분시설 내 폐기물은 모두 균일하게 혼합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선원항에서 방출되는 방사성핵종은 이류와 확산작용을 통해 이동하는 것으로 모사하였다.
  • 섭취에 의한 피폭은 농작물, 육류 및 음용수 섭취를 구분하여 각각 결정집단의 섭취량, 핵종 이동에 따른 전이계수 등을 곱하여 보정 선량환 산인자를 도출하였다. 보정 선량환산인자를 유도하기 위해 요구되는 생태계 특성 데이터 및 선량환산인자는 한국원자력기술원에서 주민피폭선량 평가코드 검증에 사용된 값(KINS, 2014)을 준용하였으며 피폭시간은 보수성 확보를 위해 연간 내내 피폭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 확산에 따른 질량변화는 Diffusive conductance(단위: 질량/시간)와 농도 차(단위: 질량/부피)의 곱으로 표현되며 여기서 Diffusive conductance는 확산길이, 확산계수 및 물질 공극률 등의 입력값으로 계산된다. 본 평가에서 확산길이는 선원항 높이, 처분덮개의 두께 및 대기 높이의 반으로 가정하였고 기체 핵종(85Kr)의 확산계수(Free air diffusion coefficient)는 Reid et al., 1987에 제시된 수식에 따라 GoldSim Generic Radiological Performance Assessment Model에서 계산한 값인 0.176 cm2/s으로 적용 하였다. 대기에서의 풍속은 부지의 연 평균값(2.
  • 불포화층은 시설에 수직방향, 대수층은 불포화층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분포한다. 부지 부근 불포화층은 지표면 이하 25~60 m에 분포(KHNP, 2008)하며 평균적으로 지표면 이하 42.5 m인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에 따라 지표면 기준 처분고 높이(10.
  • 해당 사일로는 지표면 아래 80m의 포화층에 위치하므로 선원항은 폐기물과 지하수로 구성하였으며, 처분시설 내 폐기물은 모두 균일 혼합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선원항에서 방출되는 방사성핵종은 지하수 유동에 따라 이류작용에 의해 공학적 방벽인 콘크리트로 이동되며 평가 시작시점에 선원항 및 콘크리트는 모두 포화상태인 것으로 가정하였다.
  • 우물 시나리오에 대한 개인 피폭선량 평가에서는 우물물의 지표침적으로 인한 지표 방사성핵종에 의한 외부피폭(Groundshine),지표에서 부유한 핵종으로 인한 호흡, 오염된 농작물, 육류 섭취 및 관개수 음용 섭취로 인한 피폭을 고려하였다. 여기서 GBI에서부터 인간 피폭까지의 과정에서는 핵종 감쇄를 고려하지 않으며 핵종은 GBI를 통해 연간 일정한 비율로 유입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 1 m 두께의 콘크리트 벽으로 둘러싸여 있다. 이러한 방벽은 1,400년 이전에는 건전성이 유지되다가 해당 시점 이후에 열화현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콘크리트의 물성치 및 핵종별 분배계수는 표층처분시설에 적용된 값과 동일하다. 사일로에서 누출된 방사성핵종은 지하수 유동에 따라 근계영역인 콘크리트 방벽을 지나 원계영역인 암반층을 거쳐 해양 생태계 또는 우물로 이동된다.
  • 처분덮개 시스템은 일반덮개(총 7개 층)와 콘크리트 슬래브로 구성되며 물질 정보는 표 3과 같다. 일반덮개는 제도적관리기간인 300년 이후에 모두 Sand와 유사한 특성을 가진 물질로 변화하며 콘크리트 슬래브는 1,185년 이후에 완전히 열화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처분덮개는 덮개 물질, 물, 공기로 구성되며, 지하수 포화도는 폐기물 선원항과 동일한 값(0.
  • 일반덮개의 경우 제도적 관리기간(300년) 이후에는 모두 Sand와 유사한 특성을 가진 물질로 변화하며 콘크리트 슬래브의 경우 콘크리트 열화시점(1,185년) 이후에 완전히 열화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해당 시점 이전에는 성능에 관한 건전성 유지 가정).
  • 일반덮개의 경우 제도적 관리기간(300년) 이후에는 모두 Sand와 유사한 특성을 가진 물질로 변화하며 콘크리트 슬래브의 경우 콘크리트 열화시점(1,185년) 이후에 완전히 열화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해당 시점 이전에는 성능에 관한 건전성 유지 가정). 전체 처분덮개 두께는 초기 6.8 m에서 300년 후 일반덮개 물질 변화에 따라 0.1 m 감소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KORAD, 2015). 또한 표층처분시설에서 발생한 기체상 방사성핵종이 처분덮개 시스템을 통해 확산되어 대기중으로 누출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정상 시나리오 평가시 방사성핵종의 대기중 누출에 따른 처분 덮개 시스템 부근 결정집단 인간에 대한 피폭선량 평가를 별도로 수행하였다.
  • 근계영역(공학적 방벽)을 통과한 핵종은 원계영역 부분인 암반으로 이동한 후 암반 내 지하수 유동에 따라 거동한다. 정상 시나리오의 경우 모든 핵종이 지하수 유동에 따라 해양 생태계로 이동하며 우물 시나리오의 경우 암반 내로 침투한 모든 핵종이 지하수 유동에 따라 이동하다가 심층 우물에서 모두 양수되어 지표로 이동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로 인해 정상 및 우물 시나리오에서는 표층처분의 경우와 동일하게 최종적으로 각각 해양 부근 및 우물 부근에 위치한 결정집단 인간에게 피폭이 이루어진다.
  • 이후 방사성핵종은 이류현상에 의해 대수층으로 이동하여 지하수 유동에 따라 거동한다. 정상 시나리오의 경우 모든 핵종이 해양으로 이동하며 우물 시나리오의 경우 모든 핵종이 우물을 통해 양수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로 인해 정상 및 우물 시나리오에서는 최종적으로 각각 해양 부근 및 우물 부근에 위치한 결정집단 인간에게 피폭이 이루어진다.
  • 이 중 근계영역 부분인 공학적 방벽은 콘크리트층으로 단순화하였으며 콘크리트를 통과하는 침투수량은 폐기물에서의 침투수량과 동일하다. 콘크리트층의 두께는 0.6 m로 설정하였으며 1,185년 이후에 완전히 열화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또한 콘크리트에서의 핵종별 분배계수는 표 2에 제시된 값을 사용하였으며 이는 경주 방폐물 처분장 2단계 표층처분시설 사전안전성평가보고서와 더불어 기존에 제시된 연구결과(Park et al.
  • 6m, 높이 50m)로 모사하였다. 해당 사일로는 지표면 아래 80m의 포화층에 위치하므로 선원항은 폐기물과 지하수로 구성하였으며, 처분시설 내 폐기물은 모두 균일 혼합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선원항에서 방출되는 방사성핵종은 지하수 유동에 따라 이류작용에 의해 공학적 방벽인 콘크리트로 이동되며 평가 시작시점에 선원항 및 콘크리트는 모두 포화상태인 것으로 가정하였다.
  • 해양 및 우물은 시설로부터 대수층을 따라 각각 수평방향으로 약 406 m, 약 200 m 이격된 곳에 위치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정상 시나리오에서 모든 핵종은 대수층을 따라 해양으로 이동하며 우물 시나리오에서 모든 핵종은 대수층에서 우물로 양수되어 지표면으로 이동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밀봉선원이 페밀봉선원으로 분류되는 경우는 어떠한 경우인가? 방사성동위원소는 밀봉 유무에 따라 개봉선원과 밀 봉선원으로 구분되며 밀봉선원은 동위원소 선원과 채움재로 구성된 밀폐된 캡슐형태이다. 밀봉선원은 사용자가 더 이상 사용하지 않거나 방사성붕괴로 인해 사용이 불가할 경우 폐밀봉선원으로 분류되어 관련시설에 위탁폐기된다. 현재 약 5만개 이상의 폐밀봉선원이 한국원자력환경공단 폐기시설에 임시 보관 중에 있으며 향후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에 처분될 예정이다.
1991~2014년까지 폐밀봉선원으로 분류된 것의 수량과 부피는 어떠한가? 현재 임시 보관 중인 폐밀봉선원은 인수절차에 따라 처분시설 부지 내 인수저장건물에 인수 및 저장되며 구체적인 처분방안이 마련된 후 처분될 예정이다 . 1991년부터 2014년까지 국내에서 발생된 폐밀봉선원은 총 34개의 핵종으로 구성되며 전체 선원 재고량, 수량 및 부피는 각각 4.183×1014 Bq, 52,176개 및 6.43×104L이다(FNC Tech, 2015). 원자력안전위원회 고시 제2014-3호에 의거하여 폐밀봉선원은 방사능 농도에 따라 중·저준위(중준위, 저준위, 극저준위) 방사성 폐기물로 분류되고 반감기가 약 5일인 210Bi부터 약 44억년인 238U까지 핵종특성이 매우 다양하다(NSSC, 2014a).
방사성동위원소는 밀봉 유무에 따라 어떻게 구분되는가? 방사성동위원소는 밀봉 유무에 따라 개봉선원과 밀 봉선원으로 구분되며 밀봉선원은 동위원소 선원과 채움재로 구성된 밀폐된 캡슐형태이다. 밀봉선원은 사용자가 더 이상 사용하지 않거나 방사성붕괴로 인해 사용이 불가할 경우 폐밀봉선원으로 분류되어 관련시설에 위탁폐기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Andrews, A. (2006) Radioactive Waste Streams: Waste Classification for Disposal, CRS Report for Congress, RL32163. 

  2. FNC Technology Co., Ltd. (2015) Characteristic Analysis of Disused Sealed Radioactive Sources in Korea,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3. GIMS(National Groundwater Information Management and Service Center), (2016) (https://www.gims.go.kr/new/contents/sub01/InternalAmount.aspx) 

  4. GoldSim Technology Group. (2014) GoldSim Contaminant Transport Module User's Guide, Version 6.4. 

  5. IAEA(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2004) Safety Assessment Methodologies for Near Surface Disposal Facilities, v.2. 

  6. IAEA(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2011) BOSS: Borehole Disposal of Disused Sealed Sources - A Technical Manual, IAEA-TECDOC-1644. 

  7. Jung, K.I., Jeong, M.S. and Park, J.B. (2015) Performance Assessment of Low- and Intermediate-Level Radioactive Waste Disposal Facility in Korea by Using Complementary Indicator: Case Study with Radionuclide Flux, JNFCWT, v.13(1), p.73-86. 

  8. KHNP(Korea Hydro & Nuclear Power Co., Ltd). (2008) Low and Intermediate Level Waste Safety Analysis Report. 

  9. KINS(Korea Institute of Nuclear Safety). (2014) Verification and Complementation of INDAC, KINS/HR-1357. 

  10. KORAD(Korea Radioactive Waste Agency), (2015) Disposal Facility of Very Low Level Radioactive Waste Revision - Preliminary Safety Analysis Report. 

  11. NSSC(Nuclear Safety and Security Commission). (2014a) Regulation on Classification of Radioactive Waste and Criteria of Exempt Waste, Notice No. 2014-3. 

  12. NSSC(Nuclear Safety and Security Commission). (2014b) Criteria on Prevention of the Radiological hazard for Low and Intermediate Level radioactive Waste Disposal Facility, Notice No. 2014-56. 

  13. OECD/NEA(OECD-Nuclear Energy Agency). (2013) Radioactive Waste Management and Decommissioning in Sweden, (https://www.oecd-nea.org/rwm/profiles) 

  14. Park, J.W., Chang, K. and Kim, C.L. (2001) Important Radionuclides and Their Sensitivity for Groundwater Pathway of a Hypothetical Near-surface Disposal Facility, J.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v.33(2), p.156-165. 

  15. Park, C.K., Lee, J.K., Lee, Y.M., Ko, N.Y. and Jeong, J.T. (2012) Production and Application of Domestic Input Data for Safety Assessment of Disposal, J. of the Korean Radioactive Waste Society, v.10(3), p.161-170. 

  16. Park, J.B., Kim, H.J. and Lee, D.H. (2014) Preparation and Management of the Input Data for the Safety Assessment of Low- and Intermediate-level Radioactive Waste Disposal Facility in Korea, J. of Nuclear Fuel Cycle and Waste Technology, v.12(4), p.345-361. 

  17. Reid, R.C., J.M. Prausnitz and B.E. Poling. (1987) The Properties of Gases and Liquids, 4th Edition, McGraw-Hill, Inc., TP242.R4. 

  18. Sobolev, I.A., Ojovan, M.I. and Karlina, O.K. (2001) Management of Spent Radiation Sources at Regional Facilities "RADON" in Russian Federation, Proceedings of WM'01 Conference.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