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몬테칼로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양성자가속기 단기사용 시 구성품의 방사화 평가
A Study on the Radioactive Products of Components in Proton Accelerator on Short Term Usage Using Computed Simulation 원문보기

방사선기술과학 =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v.43 no.5, 2020년, pp.389 - 395  

배상일 (동남권원자력의학원 방사선종양학과) ,  김정훈 (부산가톨릭대학교 방사선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valuation of radioactivated components of heavy-ion accelerator facilities affects the safety of radiation management and the exposure dose for workers. and this is an important issue when predicting the disposal cost of waste during maintenance and dismantling of accelerator facilities. In th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전산모의모사를 통하여 중하전입자가속기를 모의모사하고 단기간 사용으로 인하여 구성품에 생성되는 방사화 물질의 종류 및 핵종별 방사능의 양을 산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중입자 가속기 사용자 또는 유지 보수 시 작업자에 대한 방사선학적 영향을 제공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전산모의모사를 통하여 중하전입자가속기를 모의모사하고 단기간 사용으로 인하여 구성품에 생성되는 방사화 물질의 종류 및 핵종별 방사능의 양을 산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중입자 가속기 사용자 또는 유지 보수 시 작업자에 대한 방사선학적 영향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FLUKA 코드가 고안된 목적은? 2)를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FLUKA 코드는 일반적으로 하전입자의 물질과의 상호작용 및 에너지 전달을 산출하여 피폭선량을 평가하기 위하여 고안된 코드이며, 이를 활용하여 중성자 방사화 핵종의 생성 및 감쇠, 생성 핵종의 종류 및 그 방사능을 산출 및 평가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13-14].
중하전입자를 이용한 방사선 치료가 기존 방법과 다른 점은 무엇인가? 그러나 기존의 광자선과는 달리 높은 에너지의 중하전입자는 가속기 구성품과의 상호작용으로 2차 즉발 또는 지발 중성자를 발생시키며, 생성된 2차 중성자는 가속기 구성품의 방사화를 일으켜 잔류핵종(Resnuclie) 및 핵이성체(Isomer)를 생성하게 된다. 이러한 잔류핵종 및 핵이성체에서 방출되는 방사선은 작업자의 선량증가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6-8].
중하전입자를 이용한 방사선 치료의 장점은 무엇인가? 중하전입자를 이용한 방사선 치료는 현재 보편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광자선에 비해서 종양조직에 대한 높은 생물학적효과 (relative biological effectiveness; RBE)와 브래그피크효과(bragg peak effect)를 이용하여 치료 선량을 전달하므로 목표로 하는 종양조직에는 고 선량을 정상조직에는 저 선량을 전달하는 방사선치료에 매우 적합한 치료 방법이다[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Lundkvist J, Ekman M, Ericsson SR, Jonsson B, Glimelius B. Proton therapy of cancer: Potential clinical advantages and cost-effectiveness. Acta oncologica. 2005;44(8):850-61. 

  2. Harrabi S, Bougatf N, Mohr A, Haberer T, Herfarth K, Combs S, et al. Dosimetric advantages of proton therapy over conventional radiotherapy with photons in young patients and adults with low-grade glioma. Strahlentherapie und Onkologie. 2016;192(11): 759-69. 

  3. van de Schoot AJ, de Boer P, Crama KF, Visser J, Stalpers LJ, Rasch CR, et al. Dosimetric advantages of proton therapy compared with photon therapy using an adaptive strategy in cervical cancer. Acta Oncologica. 2016;55(7):892-9. 

  4. Choi SG. Literature review of clinical usefulness of heavy ion particle as an new advanced cancer therapy.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2019;42(6):413-22. 

  5. Hwang SY, Kim YJ, Lee SW. Evaluation of residual radioactivity and dose rate of a target assembly in an IBA cyclotron.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2016;39(4):643-9. 

  6. Fassbender M, Shubin YN, Lunev V, Qaim S. Experimental studies and nuclear model calculations on the formation of radioactive products in interactions of medium energy protons with copper, zinc and brass: Estimation of collimator activation in proton therapy facilities. Applied Radiation and Isotopes. 1997;48(9):1221-30. 

  7. Baumer C, Backer CM, Gerhardt M, Grusell E, Koska B, Kroninger K, et al. Measurement of absolute activation cross sections from carbon and aluminum for proton therapy. Nuclear Instruments and Methods in Physics Research Section B: Beam Interactions with Materials and Atoms. 2019;440:75-81. 

  8. Bennett G, Goldberg A, Levine G, Guthy J, Balsamo J, Archambeau J. Beam localization via 15O activation in proton-radiation therapy. Nuclear Instruments and Methods. 1975;125(3):333-8. 

  9. Yan X, Titt U, Koehler A, Newhauser W. Measurement of neutron dose equivalent to proton therapy patients outside of the proton radiation field. Nuclear Instruments and Methods in Physics Research Section A: Accelerators, Spectrometers, Detectors and Associated Equipment. 2002;476(1-2):429-34. 

  10. Agosteo S, Birattari C, Caravaggio M, Silari M, Tosi G. Secondary neutron and photon dose in proton therapy. Radiotherapy and Oncology. 1998;48(3):293-305. 

  11. Newhauser W, Titt U, Dexheimer D, Yan X, Nill S. Neutron shielding verification measurements and simulations for a 235-MeV proton therapy center. Nuclear Instruments and Methods in Physics Research Section A: Accelerators, Spectrometers, Detectors and Associated Equipment. 2002;476(1-2):80-4. 

  12. Zheng Y, Newhauser W, Fontenot J, Taddei P, Mohan R. Monte Carlo study of neutron dose equivalent during passive scattering proton therapy. Physics in Medicine & Biology. 2007;52(15):4481. 

  13. Battistoni G, Boehlen T, Cerutti F, Chin PW, Esposito LS, Fasso A, et al. Overview of the FLUKA code. Annals of Nuclear Energy. 2015;82:10-8. 

  14. Aarnio P, Ranft J, Stevenson G, Moehring H, Fasso A, Zazula J, et al. FLUKA: hadronic benchmarks and applications. P00012231; 1993. 

  15. Guan F. Design and simulation of a passive-scattering nozzle in proton beam radiotherapy. Texas A & M University; 2010. 

  16. Firestone RB, Shirley VS, CD SFC, Baglin CM. Table of Isotopes (A 263-272). 1996. 

  17. Tuli JK. Evaluated nuclear structure data file. Brookhaven National Laboratory Nuclear Data Center, Brookhaven, NY; 1987. 

  18. Data TID. Technical Report No. 261. Vienna: IaeA. 1986. 

  19. Han SE, Cho G, Lee SB. An assessment of the secondary neutron dose in the passive scattering proton beam facility of the national cancer center.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2017;49(4):801-9. 

  20. d'Errico F. NCRP Report no. 144-Radiation protection for particle accelerator facilities National Council on Radiation Protection and Measurements Issued 31 December 2003; revised 7 January 2005: NCRP, Bethesda, MD, USA ISBN: 0-929600-77-0, 499 pp, 100(Hardcover), 80 (electronic file downloadable from http://ncrppublications.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21. Ipe N, Fehrenbacher G, Gudowska I, Paganetti H, Schippers J, Roesler S. PTCOG publications sub-committee task group on shielding design and radiation safety of charged particle therapy facilities. PTCOG Report. 201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