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두부규격방사선촬영장치의 두경부 피폭 저감에 대한 연구
Study on Research for Reducing Radiation Dose of Head and Neck for Cephalometric Radiography System 원문보기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v.10 no.5, 2016년, pp.291 - 298  

오윤진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임상의학연구소) ,  신재원 (동서대학교 방사선학과) ,  이삼열 (동서대학교 방사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국민의 소득수준 증가에 따른 소아의 교정치료 등의 관심이 커지면서 치과방사선 검사의 건수가 증가하고 있어 부정교합 및 악골과 치아의 위치변화 등을 관찰할 수 있는 두부규격방사선촬영이 빈번해지고 있다. 특히 검사 대상자가 방사선에 더욱 민감한 소아 층에 집중되어 있고 촬영 부위인 두경부에는 갑상선, 골수, 안구, 타액선 등의 방사선에 민감한 주요 장기가 위치하고 있어 피폭의 주의가 요구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Agfa CP-G Plus 필름과 MagicMax 선량계를 이용하여 두경부규격방사선촬영장치(VATEC Pax-400C)에서 발생되는 X선의 2차원 선량분포를 측정하고 MCNPX 시뮬레이션을 통해 두경부 장기선량을 계산하였으며 피폭저감 장치를 설계하였다. 두부규격방사선촬영의 선량분포는 구강악안면의 검사 목적 부위 이외에도 두경부 전체적인 피폭이 일어나고 두경부 주요 장기 중 갑상선과 식도, 눈에서 높은 피폭선량 값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설계한 피폭저감 장치를 적용에 따라 갑상선과 식도, 눈에서 70~80% 피폭이 저감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치과방사선에 대한 선량 데이터 확보와 방사선 피폭 저감 연구에 있어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the interest in the orthodontic treatment for children is increased by a rise in national income level. The number of cephalometric radiography that could diagnose a malocclusion and malposition between teeth and jawbone increased. It required attention to radiation exposure, because the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두부규격방사선촬영에서 발생되는 선량분포를 측정하고 MCNPX 시뮬레이션을 통해 두경부 주요 장기별 피폭선량을 계산하였다. 그리고 두부규격방사선촬영에 적용 가능한 피폭저감 장치를 설계하여 피폭 저감율을 확인하고 두부규격방사선촬영에서의 환자 피폭선량 감소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9 cm이다. X선 발생 부는 점 선원으로 가정하였고 두경부 위치의 X선 노출영역과 거리에 근거하여 4.13° 콘 빔 형태로 모사하였다. 각도에 따른 X선 발생 분포도는 측정한 두부규격방사선촬영의 2차원 선량분포의 종축을 기준으로 중심 선량에 따른 분포 비율을 전산모사 과정에 입력하여 계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두부규격방사선촬영의 특징 및 사용처는 어디인가? 두부규격방사선촬영은 1931년에 Broadbent[9]와 Horrath[10]에 의해 시도되어 국내에서는 1961년에 두부 고정장치를 제작하여 최초로 시행되었다.[11] 이는 일반 X선 촬영장비로 두경부를 촬영하여 치과교정학 분야에서 두부안면부의 성장 연구, 부정교합 진단, 치료 계획수립, 치료 결과 평가, 성장 예측 등 그리고 이비인후과 진단용으로 사용되고 있다.[2,12] 이와 같은 의료방사선촬영은 방사선기술 및 장비의 발달에 따라 사용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두부규격방사선촬영시 발생되는 X선은 어디에도 조사되는가? [1] 하지만 최근 임상에서는 구강악안면의 구조 파악을 위하여 별도의 차폐 없이 조사 야는 모두 열린 상태의 일반촬영과 같은 형태로 검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두부규격방사선촬영에서 발생되는 X선은 사람 형태에 따라 악 골과 치아, 구강악안면의 검사 목적 부위를 제외한 안구, 갑상선 등의 방사선 민감 장기영역에도 조사된다. 세계 치과진료 시장분석[2]에 따르면 증가하는 교정치료 등의 검사 수요가 방사선에 민감한 저 연령층을 중심으로 형성되고 있어 성인보다는 소아에게 더 빈번한 두부규격방사선촬영이 시행되므로 불필요한 방사선 피폭에 대한 저감화는 더욱 절실하다.
두부규격방사선촬영이란? 두부규격방사선촬영은 악골과 치아와 같은 두부 구조물의 위치들 간의 거리와 각을 이용한 분석을 통해 환자의 성장 발육을 평가하고 교정치료나 악교정 수술 등에 적용하는 검사이다.[1] 하지만 최근 임상에서는 구강악안면의 구조 파악을 위하여 별도의 차폐 없이 조사 야는 모두 열린 상태의 일반촬영과 같은 형태로 검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Oral Science Research Center, College of Dentistry, Yonsei University, Oral Imaging, Komoonsa, 2010. 

  2. S. Kim, S. Park, "Medical Device Market Research Report,"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Vol. 11, pp. 1-40, 2013. 

  3. E. Kim, "Development of diagnostic reference level in dental x-ray examination in Korea,"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Research Report, 2009. 

  4. J. Lee, B. Kang, S. Yoon, “The survey of the surface doses of the dental X-ray machines,” Korean Journal of Oral and Maxillofacial Radiology, Vol. 35, No. 2, pp. 87-90, 2005. 

  5. S. Han, B. Lee, G. Shin, J. Choi, J. Kim, C. Park, H. Park, K. Lee, Y. Kim, “Dose Area Product Measurement for Diagnostic Reference Levels and Analysis of Patient Dose in Dental Radiography,” Radiation Protection Dosimetry, Vol. 150, No. 4, pp. 523-531, 2012. 

  6. J. Choi, “Radiographic examination protocol and patient dose in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y in Korea,” Korean Journal of Oral and Maxillofacial Radiology, Vol. 40, No. 4, pp. 165-169, 2010. 

  7. C. Jeong, C. Kim, “Comparison of Dose Depending on the Position when Shooting Panorama and CBC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Vol. 7, No. 3, pp. 175-179, 2013. 

  8. K. A. Van Riper, "Scan2MCNP User Manual," White Rock Science, 2004a. 

  9. B. H. Broadbent, “A new X-ray technique and its application to orthodontics,” The Angle Orthodontist, Vol. 1, No. 2, pp. 45-66, 1931. 

  10. H. Hofrath, "Die bedeutung der roentgenfern und abs tandsaufnahme furdie diagnostik der kieferanomalien," Fortschr Orthodont, Vol. 1, pp. 232-48, 1931. 

  11. E. Kim, “History and Present Status in Dental Radio logy,” Radiation Health Newsletter, Vol. 18, No. 4, pp. 1-12, 2011. 

  12. M. Kim, K. Huh, W. Yi, M. Heo, S. Lee, J. Lee, B. Ahn, S.Choi, “The comparison of cephalometric measurements between measuring methods in digital and conventional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 Korean Journal of Oral and Maxillofacial Radiology, Vol. 35, No. 1, pp. 15-23, 2005. 

  13. http://www.mfds.go.kr/index.do?seq22654&mid675 

  14. A. D. Gulson, T. A. Knapp, P. G. Ramsden, "Doses to patients arising from dental X-ray examinations in the UK, 2002-2004. A review of dental X-ray protection service data," HPA-RPD-022, 2007. 

  15. H. K. Looe, F. Eenboom, N. Chofor, A. Pfaffenberger, M.Sering, A. Ruhmann, A. Poplawski, K. Willborn, B. Poppe, “Dose-area product measurements and determination of conversion coefficients for the estimation of effective dose in dental lateral cephalometric radiology,” Radiation Protection Dosimetry, Vol. 124, No. 2, pp. 181-186, 2007. 

  16. H. Visser, T. Rodig, K. P. Hermann, “Dose Reduction by Direct-Digital Cephalometric Radiography,” The Angle Orthodontist, Vol. 71, No. 3, pp. 159-163, 2001. 

  17. J. B. Ludlow, L. E. Davies-Ludlow, S. C. White, “Patient Risk Related to Common Dental Radiographic Examinations,” Journal of the American Dental Association, Vol. 139, No. 9, pp. 1237-1243, 2008. 

  18. S. Han, B. Lee, G. Shin, J. Choi, H. Park, C. Park, G. Chang, B. Kim, Y. Kim, “Evaluation of effective dose in dental radiography,”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Vol. 34, No. 1, pp. 27-33, 2011. 

  19. F. Gijbels, G. Sanderink, J. Wyatt, J. Van Dam, B. Nowak, R. Jacobs, "Radiation doses of collimated vs non-collimated cephalometric exposures," Dentomaxillo-facial Radiology. Vol. 32, No. 2, pp. 128-133, 2003.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