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버들개회나무(Syringa fauriei H. Lév.) 개체군의 식생구조와 입지특성
Vegetation Structure and Site Characteristics of Syringa fauriei Population in South Korea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30 no.4, 2016년, pp.762 - 770  

황용 (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 ,  김용율 (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 ,  김무열 (전북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물푸레나무과의 한국특산식물인 버들개회나무 자생지의 입지 환경과 생태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버들개회나무 개체군은 주로 강원도의 계곡과 강변을 따라 분포하고 해발고는 121~520m의 높이에 위치하고 있다. 식생분석결과 4개 지역의 20개 방형구내에서 조사된 관속식물은 총 320분류군이었다. 버들개회나무 개체군은 광대싸리 우점개체군, 당단풍나무 우점개체군, 족제비싸리 우점개체군, 쉬땅나무 우점개체군으로 분류되었다.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유기물함량은 1.98~2.81%, 전질소함량 0.13~0.20 mg/kg, 치환성 $K^+$$0.10{\sim}0.33cmol^+/kg$, $Ca^{2+}$$3.44{\sim}20.53cmol^+/kg$, $Mg^{2+}$$0.34{\sim}0.95cmol^+/kg$, 양이온치환용량 $8.08{\sim}13.68cmol^+/kg$이며, 토양 pH는 6.28~7.74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버들개회나무 개체군 내에서 중요치는 물참대 86.99%, 물푸레나무 43.97%, 박쥐나무 23.01%, 버들개회나무 18.52%, 가래나무 18.40%, 버드나무 11.56%로 나타났다. DCCA를 이용한 버들개회나무 개체군의 식생과 환경요인과의 상관분석 결과 해발고도와 $Mg^{2+}$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광대싸리와 당단풍나무 우점개체군은 pH, CEC, $Mg^{2+}$가 높은 지역에 분포하였고, 당단풍나무 우점개체군의 경우 광대싸리 우점개체군보다 $K^+$가 높은 곳에 분포하였다. 족제비싸리 우점개체군은 해발고가 높고, 유효인산과 $K^+$, 노암율이 높은 곳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tended to investigate environmental factors including soil and vegeta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endemic species, Syringa fauriei. Syringa fauriei is mainly distributed along the valley and riverside of the Gangwondo and it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11)과 Kim et al.(2012)의 버들개회나무 자생지 분포에 대한 연구를 보완하고, 버들개회나무의 개체군을 분류하여 분포지역 입지환경 및 토양특성을 밝혀 자생지에서의 복원 증식에 필요한 자료 확보와 한국 특산식물인 버들개회나무의 현지보전 및 복원 전략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산림토양은 산림생태계를 구성하는 많은 환경인자 중의 하나로서 임목의 분포, 생장 및 갱신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Park and Lee, 1990). 본 연구에서는 버들개회나무의 분포와 토양환경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버들개회나무 개체군별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Table 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버들개회나무란 무엇인가? Lev.)는 물푸레나무과(Oleaceae) 수수꽃다리속(Syringa)에 속하는 낙엽활엽 아교목이며 높이는 2~6m 정도로 자란다. 수피의 색은 주로 밝은 올리브 회색이 나타나며 수피 갈라짐과 벗겨짐이 없고 피목이 있다.
버들개회나무가 처음 채집된 년도와 위치는? 버들개회나무는 1906년 Faurie가 금강산에서 처음 채집하였고 Leveille(1910)에 의해 최초로 신종기재 되었으며, 1983년 이창복 교수에 의해 계방산 근처에서 채집된 바 있다. 그리고 2008년 국립수목원에 의해 강원도 정선에서 새로운 자생지가 발견되었고, 이후 주변지역에서 일부 자생지가 확인되었으나, 버들개회나무의 분포 및 자생지 생태 환경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Chung et al.
버들개회나무의 수피 특징은? )는 물푸레나무과(Oleaceae) 수수꽃다리속(Syringa)에 속하는 낙엽활엽 아교목이며 높이는 2~6m 정도로 자란다. 수피의 색은 주로 밝은 올리브 회색이 나타나며 수피 갈라짐과 벗겨짐이 없고 피목이 있다. 겨울눈은 길이 2~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raun-Blanquet, J.(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uge der Vegetations-kunde. Springer-Verlag, New York, 631pp. 

  2. Black, C. A.?Evans, D. D.?Ensminger, L. E.?White, J. L. and Clark, F. E.(1965) Methods of Soil Analysis. Part I:Physical and Mineralogical Properties, Including Statistics of Measurement and Sampling. Am. Soc.Agr., Madison, Wl. 770pp. 

  3. Bicklhaupt, D. H. and White, E. H.(1982) Laboratory manual for soil and plant tissue analysis. SUNY Coll. Envir. Sei. and For. Syracuse, N.Y. 67pp. 

  4. Brady,N.C. and R.R. Weil(2009) Elements of the nature and properties of soils(3nd ed.). Prentice Hall publishing company, NJ, USA. 

  5. Curtis, J. T. and McIntosh, R. P.(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 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ical Society of America 32(3):476-496. 

  6. Cheon, K.S., J.S. Han, K.A. Kim, K.H. Ok and K.O. Yoo(2012) Habitats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Polypodium vulgare L. in Uleung-do.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6(1): 1-10. (in Korean whieth English abstract) 

  7. Chung, J. M., J. K. Shin, B. C. Lee and K. W. Park.(2011) Distribution and Population Dynamics of Natural Populations of an Endemic Tree Species, Syringa fauriei H. Lev. in Korea. Joint conference of Forest science. Korean Forest Society. pp. 578-579 

  8. Dierssen, K.(1990) Einfuhrung in die Pflanzensoziologie. Akademie-Verlag Berlin, 241pp. 

  9. Hill, M.O.(1979) TWINSPAN - A FORTRAN program for arranging multivariate data in an order two-way table by classification of the individuals and attributes. Ithaca, N.Y. Cornell Univ. Press, 50pp. 

  10. Jeong, J.H., K.S. Koo, C.H. Lee and C.S. Kim(2002)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Forest Soils by region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1(6): 694-70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im, T. H., J.H. Jung, C.H. Lee, W.K. Lee, I.A. Kang and S.I. Kim(1991) Studies on the Growth of Major Tree Species by Forest Soil Types. The research reports of the forestry research institute 42:91-10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Kim, S. C., Y. S. Kim, H. B. Lee, H. M. Kim and W. G. Park.(2012) Distribution and Population Dynamics of Natural Populations of an Endemic Tree Species, Syringa fauriei H. Lev. in Korea. Joint conference of Forest science. Korean Forest Society. pp. 174-176 

  13. Korean National Arboretum and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2007)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voretum, Pocheon, 468pp. (in Korean) 

  14. Leveille, H. (1910) Decades plantarum novarum. Fedde. Rep. 8:285. 

  15. Lee, S.W.(1981) Studies on forest soils in Korea (II). Jour. Korean For. Soc. 54: 25-3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Lee, T.B.(2014)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II. Hyangmunsa, Seoul, I: 914pp; II: 910pp. (in Korean) 

  17. Mueller-Dombois, D. and Ellenberg, H.(1974) Aims and methods of vegetation ecology. John Wiley and Sons. 54pp. 

  18. Miller, H.G. and R.L. Donahue(1990) Soils: an Introduction to Soils and Plant Growth. Prentice-Hall. N. J., 768pp. 

  19.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2012)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Analysis Standard.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Korea, 16-20pp. 

  20. Park, K.S. and S.O. Lee(1990) The Influence of organic Matter on Soil Aggregation in Forest Soil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79(4):367-37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Primack, R.B.(2004) A primer of conservation biology(3rd ed.). Sinaurer Associates, U.S.A., 292pp. 

  22. Sung, J.W., M.H. Yi, J.W. Yoon, G.S. Kim, H.T. Shin and Y.S. Kim( 2013) Growth environment and vegetation structure of native habitat of Corydalis cornupetala Y. H. Kim et J. H. Jeong.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7(3): 271-279. (in Korean whieth English abstract) 

  23. Ter Braak, C.J.F. and P. Smilauer(1998) CANOCO -Reference Manual and User's Guide to Canoco for Windows. Microcomputer Power, Ithaca, USA, 352pp. 

  24. Townsend, C.R., M. Begon and J.L. Harper(2008) Essentials of ecology(3rd ed.). Blackwell Publishing, Oxford.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