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낙동강 지류의 수생 및 수변 식물상(상주: 병성천, 북천, 외서천)
Aquatic and Riparian Flora of the Nakdonggang River Tributary (Sangju: Byeongseong-cheon, Buk-cheon, Oeseo-cheon)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33 no.5, 2020년, pp.516 - 535  

황용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동식물조사연구팀) ,  홍정기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동식물조사연구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경상북도 상주시를 흐르는 병성천, 북천, 외서천의 수생 및 수변 식물상을 밝히고, 생활형을 파악하여 지역 자원식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019년 2월부터 10월까지 병성천, 북천, 외서천 등 3개 하천에서 실시하였고, 관속식물의 종조성은 78과 203속 300종 5아종 15변종 1품종 등 총 321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병성천은 46과 93속 124종 3아종 6변종 등 133분류군, 북천은 65과 155속 207종 4아종 12변종 등 223분류군, 외서천은 48과 104속 126종 2아종 4변종 등 132분류군 등으로 확인되었다. 수생 및 수변식물은 138분류군으로 그중 수생식물은 20분류군으로 확인되었고, 수변식물은 118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생활 형태별로 3개 하천에서 출현한 정수 식물은 13분류군, 부엽식물은 1분류군, 침수식물은 6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생육 형태별로 분류하면 1년생이 43분류군, 2년생이 24분류군, 다년생이 71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특산식물은 5분류군이 확인되었고, 국가적색목록 대상 종은 3분류군이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15분류군이 학인되었고 3급 이상은 5분류군이다. 국외반출승인종은 31분류군이 확인되었고, 귀화식물은 52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그중 생태계 교란종은 4분류군이 포함되었다. 귀화율은 16.1%, 도시화지수는 16.2%로 나타났다. 식물유용성에서는 213분류군 (66%), 약용 244분류군(76%), 향료용 10분류군(3%), 산업용 136분류군(42%), 관상용 137분류군(43%), 복원용 117분류군(36%), 사료/퇴비용 155분류군 (48%), 용도 미상 24분류군 (7%)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information on local resource plants by identifying aquatic and Riparian flora. We investigated the aquatic and riparian floras in 3 streams(Byeongseong-cheon, Buk-cheon, Oeseo-cheon) from February to October 2019. 321 taxa (i.e. 300 species, 5 subspecies, 15 vari...

주제어

표/그림 (2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더구나 지역사회가 요구하는 정보를 제시할 수 있는 수생 및 수변식물상 연구와 자료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첫째 조사대상 지역인 병성천, 북천, 외서천 등 3개 하천의 제외지에서 표본을 확보하고, 둘째 이를 근거로 수생 및 수변식물의 현황을 제시하며, 셋째 낙동강 지류하천에서 자생하는 수생 및 수변에 자생하는 자원식물에 대한 정보를 지역사회에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경상북도 상주시를 흐르는 병성천, 북천, 외서천의 수생 및 수변 식물상을 밝히고, 생활형을 파악하여 지역 자원 식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019년 2월부터 10월까지 병성천, 북천, 외서천 등 3개 하천에서 실시하였고, 관속식물의 종조성은 78과 203속 300종 5아종 15변종 1품종 등총 321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 본 연구에서 강과 하천, 호소의 수변을 중심으로 연구할 때 필요한 기준 목록의 한계와 보완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수생태계 현황 조사 및 건강성 평가 방법 등에 관한 지침에 명시된 수변식생 종 목록을 반영하여 취합 후 정량분석이 가능한 분포 및 입지환경 data를 GIS상에서 중첩하여 하천 제외지의 생육범위상에서 대상종의 출현빈도를 검토하면 해결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상북도 상주시를 흐르는 병성천, 북천, 외서천의 수생 및 수변 식물상을 밝히고, 생활형을 파악하여 지역 자원식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조사 분석 한 결과는? 2019년 2월부터 10월까지 병성천, 북천, 외서천 등 3개 하천에서 실시하였고, 관속식물의 종조성은 78과 203속 300종 5아종 15변종 1품종 등 총 321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병성천은 46과 93속 124종 3아종 6변종 등 133분류군, 북천은 65과 155속 207종 4아종 12변종 등 223분류군, 외서천은 48과 104속 126종 2아종 4변종 등 132분류군 등으로 확인되었다. 수생 및 수변식물은 138분류군으로 그중 수생식물은 20분류군으로 확인되었고, 수변식물은 118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생활 형태별로 3개 하천에서 출현한 정수 식물은 13분류군, 부엽식물은 1분류군, 침수식물은 6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생육 형태별로 분류하면 1년생이 43분류군, 2년생이 24분류군, 다년생이 71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특산식물은 5분류군이 확인되었고, 국가적색목록 대상 종은 3분류군이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15분류군이 학인되었고 3급 이상은 5분류군이다. 국외반출승인종은 31분류군이 확인되었고, 귀화식물은 52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그중 생태계 교란종은 4분류군이 포함되었다. 귀화율은 16.1%, 도시화지수는 16.2%로 나타났다. 식물유용성에서는 213분류군 (66%), 약용 244분류군(76%), 향료용 10분류군(3%), 산업용 136분류군(42%), 관상용 137분류군(43%), 복원용 117분류군(36%), 사료/퇴비용 155분류군 (48%), 용도 미상 24분류군 (7%)으로 확인되었다.
자연형 하천 정비사업을 하는 이유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경상북도 환경보전계획에 수생태 복원을 위한 생태하천 조성, 오염・복개하천 생태복원, 옛 정취가 깃든 자연형 하천복원 및 조성 등이 계획되었다(Gyeongbuk Provincial Office, 2015). 자연형 하천 정비사업은 그동안 훼손되고 왜곡되어 온 하천의 모습을 되살리기 위한 것이지만 홍수 조절과 수로 정비를 위해 강바닥을 파내고 둑을 쌓거나 물길을 바로잡는 하천개수의 기본 방침은 변함이 없으며, 이 때문에 하천개수 사업이 진행될 하천으로부터 농업용수 공급에 차질이 없는지, 하천과 인접한 경작지의 비점오염원 유출 여부, 수질, 해당 사업 후 경관 변화 등 지역사회의 관심이 높아졌다. 이에 따라 도심 및 농지 하천이 개발되기 이전의 자연하천이 가지는 자연 생태적인 여건을 회복시키고, 하천공간이 훼손되기 전후의 변화에 대한 모니터링, 생물정보 제공 등 다양한 노력과 연구들이 시도되었다(Han et al.
낙동강의 유래는? 조선 시대 세종실록지리지, 연려실기술 등에는 낙동강의 어원을 상주에서 찾고 있다. 낙동강의 유래는 상주의 옛 이름인 낙양(洛陽), 즉 상락(上洛)의 동쪽에 있는 강을 뜻하며 상락에 와서야 강다운 강이 되었다는 것이다(Kim, 2014). 이는 낙동강의 풍부한 수자원을 뜻하며 상주를 가로지르며 낙동강에 유입되는 병성천을 중심으로 합류하는 북천, 외서천의 수원으로부터 오랜 세월 동안 용수로 망이 구축되어 활용도를 높여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Chang, C.S., H. Kim, S. Son and Y.S. Kim. 2016. The Red List of Selected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and Korean Plant Specialist Group, Pocheon, Korea. pp. 8-21 (in Korean). 

  2. Cho, Y.H., J.H. Kim, and S.H. Park. 2016. Grasses and Sedges in South Korea. Geobook, Seoul, Korea. pp. 4-527 (in Korean). 

  3. Chung, G.Y., K.S. Chang, J.M. Chung, H.J. Choi, W.K. Paik and J.O. Hyun. 2017. A checklist of endemic plants on the Korean Peninsula. Kor. J. plant Tax. 47(3):264-288 (in Korean). 

  4. Daegu Regional Environmental Office. 2006. Gam-cheon River Ecology Report. pp. 31-54 (in Korean). 

  5. Gyeongbuk Provincial Office. 2015. Gyeongsangbuk-do Environmental Conservation Plan. Gyeongbuk Provincial Office. pp. 1-454 (in Korean). 

  6. Han, B.H., I.H. Choe and K.S. Ki. 2010. The change of riverside vegetation by construction of ecological stream in Suwoncheon, Gyeonggi Province. Korean J. Environ. Ecol. 24(6):723-734 (in Korean). 

  7. Hwang, Y., J.K. Hong and M.J. Bae. 2020. Aquatic and riparian flora of Hwangjicheon stream. Korean J. Plant Res. 33(2): 138-152 (in Korean). 

  8. Jeong, J.H., S.C. Hong, H.J. Park and W.K. Paik. 2019. The flora in tributary region of middle stream of the Nakdong River (Young-gang, Naeseong-cheon, Wi-cheon, Gam-cheon and Byeongseong-cheon). Korean J. Plant Res. 32(5):615-632 (in Korean). 

  9. Kim, J.H. 2014. History and culture of 'Byeongseongcheon', the best stream flowing through the Nakdong River. River and Culture 10(1):14-20 (in Korean). 

  10. Kim, J.S. and T.Y. Kim. 2018. Woody Plant of Korean Peninsula. Dolbegae, Paju, Korea. pp. 5-715 (in Korean). 

  11. Kim, J.S., J.H. Kim and J.H. Kim. 2018. Herbaceous Plants of Korean Peninsula. Dolbegae, Paju, Korea. pp. 5-657 (in Korean). 

  12. Korea Forest Service. 2014. The Assessment for Vascular Plant Resources and the Reclassification of Their Usefuless from Korea. Korea Forest Service. pp. 10-153 (in Korean). 

  13.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KISTI). (2020). Aquatic Vascular Plants Database. online at http://aquap.ndsl.kr, accessed on (date of access). 

  14.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 Illustrated Pteridophytes of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p. 5-547 (in Korean). 

  15. Korea National Arboretum. 2011. Illustrated Grasses of Korea (Revised and Enlarged Edition).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p. 5-600 (in Korean). 

  16. Korea National Arboretum. 2016a. Illustrated Cyperaceae of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p. 5-547 (in Korean) 

  17. Korea National Arboretum. 2016b. Invasive Alien Plants in South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Korea. p. 265 (in Korean). 

  18. Korea National Arboretum. 2017. Check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p. 3-735 (in Korean). 

  19. Lee, C.J., D.G. Kim, S.Y. Hwang, Y.J. Kim, S.J. Jeong, S.N. Kim and H.J. Cho. 2019a. Dataset of long-term monitoring on the change in hydrology, channel morphology, landscape and vegetation along the Naeseong Stream (II). Ecol. Resil. Infrastruct. 6(1):34-48 (in Korean). 

  20. Lee, C.J., D.G. Kim, U. Ji, and J.S. Kim. 2019b. Dataset of long-term monitoring on the change in hydrology, channel morphology, landscape and vegetation along the Naeseong Stream (I). Ecol. Resil. Infrastruct. 6(1): 23-33 (in Korean). 

  21. Lee, C.S. and G.H. Lee. 2018. Pteridophytes of Korea: Lycophytes & Ferns. Geobook, Seoul, Korea. pp. 3-471 (in Korean). 

  22. Lee, J.H., S.Y. Lee, G.C. Lee, H.J. Kim, H. Choi, H.J. Lee, K. Choi and K.S. Chang. 2016. Standard Checklist of Cultivated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p. 2-510 (in Korean). 

  23. Lee, T.B. 2003a.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 Hyangmunsa, Seoul, Korea. pp. 1-914 (in Korean). 

  24. Lee, T.B. 2003b.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I. Hyangmunsa, Seoul, Korea. pp. 1-910 (in Korean). 

  25. Lim, Y.S. 2009.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Hydrophytes in Korea. Department of Life Science, Ph.D. Thesis, Soon Chun Hyang University, Korea. pp. 24-67 (in Korean). 

  26. Ministry of Environment. 2011. Investigation Guidelines of National Inland Wetland. Ministry of Environment. pp. 79-83 (in Korean). 

  27. Nakdonggang National of Biological Resourced. 2018a. Nakdonggang River Creature way 1 (Sangju). Booktory, Paju, Korea. p. 48 (in Korean). 

  28. Nakdonggang National of Biological Resourced. 2018b. Nakdonggang River Creature way 2 (Hwangjicheon). Nakdonggang National of Biological Resourced, Sangju, Korea. p. 52 (in Korean). 

  29. NamGung, J., C.Y. Yoon, Y.H. Ha and J.H. Kim. 2019. The flora of Mt. Papyeong (Gyeonggi-do Prov.) in western area of DMZ, Korea. Korean J. Plant Res. 32(4):355-378(in Korean). 

  30.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2. Red Data Book of Endangered Vascular Plants in Korea.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Korea. pp. 7-29 (in Korean). 

  31.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4. Inventory and Management of Endemic Species of Korea.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Korea. pp. 2-147 (in Korean). 

  32.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8. Floristic Target Species (FT species) in Korea. GeoBook, Seoul, Korea. pp. 674-710 (in Korean). 

  33.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9. Guidelines for surveying the status of aquatic ecosystems and methods for assessing health (River edition).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eon, Korea. pp. 2-127 (in Korean). 

  34. National species list of Korea. 2019.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online at http://kbr.go.kr, accessed on (date of access). 

  35. Muenscher, W.C. 1944. Aquatic plants of the United States. Aquatic plants of the United States. 

  36. Park, I.H., G.S. Jang, K.J. Cho and J.H. Ra. 2009. Analysis on the flora and vegetation for ecological restoration of local streams: In case of local streams in Namwon. J. Korean Env. Res. Tech. 12(6):153-163 (in Korean). 

  37. Park, S.H. 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Seoul, Korea. pp. 7-575 (in Korean). 

  38. Sculthorpe, C.D. 1967. Biology of aquatic vascular plants. St. Martin's Press, New York, USA. 

  39. Sin, H.C. 2006. Aquatic plants distributed on the Korean peninsula. Nature Conservation 134(2):26-37 (in Korean). 

  40. Water resources Management Infomation System (WAMIS). (2019). online at http://www.wamis.go.kr/WKF/wkf_rvetm_lst.aspx, accessed on (date of access). 

  41. Yang, S.G. 2010. Sanjicheon ecological stream restoration and river maintenance. River and Culture 6(1):21-33 (in Korean).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