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상간호사의 가족지지도가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Family Support and Job Stress of Clinical Nurses 원문보기

부모자녀건강학회지 = Korean parent-child health journal, v.19 no.1, 2016년, pp.1 - 8  

이인희 (메가병원 간호부) ,  이미희 (대동대학교 간호학과) ,  임정아 (김해중앙병원) ,  배경의 (동서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level of family support, job stress in clinical nurses end identify the participant's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at influenced each of them. Methods: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The participants were 192 clinical nurses working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중소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업무 스트레스와 가족지지도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업무 스트레스는 간호사의 연령, 종교, 근무경력, 근무부서, 직위, 근무형태, 가족동거형태, 간호사에게 주어지는 부담감, 결혼상태, 직업만족도에서 살펴 본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가족지지정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고, 가족지지도는 연령과 경력에 따라 차이를 보였고, 본 연구의 대상자 중 연령이 낮거나 간호사 경력이 낮을수록 가족지지도가 낮고, 가족지지도가 높을수록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가 낮게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를 개인적 측면과 조직적 측면 나누었을 떄 특징은?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는 개인적 측면과 조직적 측면으로 나눌 수 있다. 개인적 측면에서는 목표 성취를 위한 동기 부여나 자극과 같은 긍정적 효과와 개인의 분열적, 비생산적, 위험적 행동과 같은 부정적 효과를 모두 볼 수 있다. 조직적인 측면에서는 직무 불만족과 낮은 조직 몰입, 잦은 결근 등으로 인해 경영 효율성의 감소, 작업시간의 손실, 이직 등이 발생할 수 있다(Raeda & Ibtisam, 2008).
직무 스트레스란 무엇인가? 그러나 직무 스트레스가 과도해지면 신경이 예민해지고 조직구성원의 걱정과 불안, 초조, 긴장을 야기하여 직무에 대한 무관심, 체념, 의사결정 능력 감소, 상황대처 능력의 저하 등을 유발시켜 업무의 질적 저하, 책임감 상실, 직무 관여도 감소, 창의력 상실, 조직에 대한 무관심을 초래함으로서 조직의 유효성을 저하시키는 역기능적인 작용을 한다고 하였다(Park, 2001). 직무 스트레스란 직무수행상의 어떤 자극에 대한 종사들의 반응이자 상호작용으로 직무환경(상황)과 관련하여 스트레스가 발생하는 경우를 의미한다(Yeom, Kwon, Lee, Kwon, & Ko, 2009). 또한 개인의 능력 또는 욕구와 직무 관련 환경요인들 간의 부조화 상태를 의미하여, 개인이 보유한 능력과 직무환경에서의 요구가 상충할 때, 또는 개인의 욕구와 이를 충족시키는 직무환경이 부적합할 때 직무 스트레스가 발생한다.
간호사의 스트레스가 높고 직무에 대한 만족도가 저하되는 이유는? 의사, 간호사, 의료기사, 의료 행정직 역시 다양한 전문 직종과의 협동 작업을 통해 환자들에게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업무 특성으로 다른 조직에 비해 상대적으로 직무 스트레스가 높은 경향이 있다. 특히 간호사들은 환자와 가족을 대상으로 일선에서 직접적으로 전문적인 간호서비스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행정적으로는 다양한 의료종사자들 간의 다양한 협동 작업을 통해 간호서비스를 제공하는 업무의 특성으로 인해 의사 등 타 전문직에 비해 스트레스가 높고 직무에 대한 만족도가 저하되어 이직하는 경우가 많다. 병원간호사들은 환자의 생명, 죽음 및 죽어가는 과정을 다루고 있어 이로 인한 직업적 스트레스에 노출되며, 환자의 권리가 향상되고 의료기관의 경쟁이 치열해짐에 따라 전문적인 간호업무를 수행하는 간호사에게 감정노동이 더욱 강조되는 추세이다(Song & Park,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lmost, J., & Laschinger, H. K. (2002). Workplace empowerment, collaborative work relationships, and job strain in nurse practitioners. Journal of the Academy of Nurse Practitioners, 14(9), 408-420. 

  2. Auslander, G., Soffer, M., & Auslander, B. (2003). The supportive community: Accepting and utilizing help among old people in Jerusalem. Social Work Research, 27, 209-221. 

  3. Clarke, P., Marshall, V. W., Black, S. E., & Colantonio, A. (2002). Well being after stroke in Canadian seniors: Findings from the Canadian Study of Health and Aging. Stroke, 33, 1016-1021. 

  4. Cobb, S. (1976).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38(5), 300-314. 

  5. Courtney, J. G., Longnecker, M. P., & Peters, R. K. (1996). Psychosocial aspects of work and the risk of colon cancer. Epidemiology, 7(2), 175-181. 

  6. Glenn, N. D., & Weaver, C. H. (1981). The contribution of marital happiness and global happines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43, 161-168. 

  7. Go, J. W., & Yeom, Y. H. (2003). The role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3(2), 265-274. 

  8. Go, U. K. (2009). The level of stress of dimensional job stress of hospital nursing staff.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17(3), 227-236. 

  9. Gu, M. O., & Kim, M. J. (1984). An analytical study of work stress among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5(3), 39-49. 

  10. Gwon, J. D., & Kim, D. B. (2005). Human behavior and social environment. Hakjisa, Seoul. 

  11. Han, M. J. (2007). A study on the work stress and coping methods of the clinical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gju University, Gongju. 

  12. Iacovides, A., Fountoulakis, K. N., Kaprinis, S., & Kaprinis, G. (2003).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burnout and clinical depression,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75, 209-221. 

  13. Kang, H. S. (1984). Experimental study of the effects of reinforcement education for rehabilitation on hemiplegia patients' self-care activiti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14. Kim, H. J. (2005). The study on the work stress and coping methods of the nurses in intensive care unit.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15. Kim, I. Y. (1991). Correlation of family support, self-esteem, and helplessness of hospitalized elderly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Yonsei University, Seoul. 

  16. Kim, M. H., & Chon, M. Y. (2001). Predictors of health promoting lifestyles in college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7(3), 293-303. 

  17. Lee, J. G., & Lee, J. M. (2009). The effects of employees’ job stressors and burnou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hospitals: Focused on mediating role of burnout. Korean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22(6), 3233-3257. 

  18. Lee, M. R. (2007). Job stress and symptoms of stress in clinical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19. Martin, J. (2005). Organizational behaviour and management (3rd ed.). London: Tomson Leatning. 

  20. Norbeck, J. S., Lindsey, A. M., & Carrieri, V. L. (1981). The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social support. Nursing Research, 30(5), 264-269. 

  21. Oh, E. J. (1997).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environment of home and children's sex-role ident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ha University, Incheon. 

  22. Park, B. J. (2001). Influence of Job stress factors the organization of officia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Gangneung University, Gangneung. 

  23. Park, H. Y. (2010). Job stress and coping measures of nurses in the national general hospita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24. Raeda, F. A., & Ibtisam, M. A. (2008). Job stress, recognition, job performance and intention to stay at work among Jordanian hospital nurses.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16(3), 227-236. 

  25. Song, M. R., & Park, K. J. (2011). Emotional labor experienced by ambulatory care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7(4), 451-461. 

  26. Yeom, Y. H., Kwon, S. B., Lee, Y. Y., Kwon, E. K., & Ko, J. W. (2009). The determinants of job satisfaction of nurses: Focused on work reward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9(3), 329-33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