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인 가구의 경제적 특성이 외식산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Economic Characteristics of Single-person Households on the Food Service Industry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21 no.4, 2016년, pp.321 - 331  

조필규 (한밭대학교 경제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conomic characteristics of single-person households and explain the effects of them on the food service industry. Methods: For this paper, I analysed the data related with single-person households and the food service industry in two survey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연도별 가구 형태 및 특성의 변화를 파악하고, 1인 가구의 경제적 특성이 외식산업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연구로서, 국가통계 자료 분석 및 가구특성 반영 여부 모형을 적용하여 비교 분석한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최근 증가하고 있는 1인 가구의 사회, 경제적 특성을 살펴보는 한편, 1인 가구의 증가라는 현상과 특성이 외식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실시되었다.
  • 본 연구는 최근 증가하고 있는 1인 가구의 사회, 경제적 특성을 살펴보는 한편, 이들 특성과 1인 가구의 증가라는 현상이 외식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본 연구에서는 2006년에서 2015년까지 통계청의 가계동향조사와 도소매업조사의 1인 가구와 외식산업 관련 데이터를 분석하는 한편 이들 자료로부터 96개 패널 자료를 구축하여 실증분석을 시행하였다.
  • 1인 가구 관련 국가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06년부터 2015년까지의 자료를 분석 대상으로, 매년 통계청이 발표하는 가계동향조사[3]및 도소매업조사[28]를 활용하여 1인 가구의 경제적 특성과 외식산업 관련 자료를 분석하였다. 외식 음식점의 밀도가 농촌지역에 비하여 도시 지역에서 높고[29] 농촌 지역에 비해서 도시 거주자의 외식 비율이 높으므로[13] 본 연구의 목적인 외식산업 영향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분석대상을 도시 가구로 국한하였다. 외식산업에는 통계청의 한국표준산업분류(KSIC)[30]를 따랐다.
  • 또한, 기존의 연구는 1인 가구의 증가라는 사회적 변화 및 이들의 경제적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고 있지 못하다. 이에 본 연구는 1인 가구 증가라는 사회적 변화에 따라 이들의 경제적 특성이 외식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추후 외식산업의 성장 가능성 및 전략적 대응방향 모색의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1인 가구의 사전적 의미의 정의는? 1인 가구는 사전적 의미로 혼자서 살림하는 가구, 즉 1인이 독립적으로 취사, 취침 등의 생계를 유지하는 가구로 정의된다[1]. 1인 가구가 증가하는 추세는 전 세계적인 현상으로[2], 한국에서도 1인 가구의 비율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1인 가구의 증가로 인한 향후 한국 사회의 변화로 예상되는 현상은? 1인 가구의 증가가 향후 한국 사회에 많은 사회, 경제적 변화를 야기하리라고 예상하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다. 예를 들어 최근의 고령화 현상이나 경기침체 등과 맞물리면서 독거고령자 가구, 실업 혹은 반실업 상태의 청년 가구들의 증가는 건강이나 빈곤 등과 같은 사회적 문제를 야기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또한 이들 1인 가구의 소비와 주거 등의 생활 패턴이 다인 가구와는 다르다는 점에서 작지 않은 경제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12-17]. 이 때문에 주택 정책이나 복지 정책 등 국가정책 등에서 많은 변화가 예상되는데 예를 들어, 부동산 시장이나 의료 시장 등과 같은 관련 시장 및 산업 역시 많은 영향을 받을 것이다[12, 18].
2015년 도시 가구를 기준으로 1인 가구의 비율은? 1인 가구가 증가하는 추세는 전 세계적인 현상으로[2], 한국에서도 1인 가구의 비율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2015년 현재 도시 가구를 기준으로 1인 가구는 전체 가구의 23.75%를 차지하여 전통적인 가구 형태로 인식되었던 4인 이상 가구 29.74%와 비슷한 비율을 보여주고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Statistics Korea. Statistical Terms [Internet]. 2016 [cited 2016 May 27].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eng/resources/ 4/detail_lang.action?bmodedetail_lang&pageNo1&type class&clsO&list_no230. 

  2. Davos 2007: Labour and the Shifting Power Equation. Statement of Labour Leaders to the World Economic Forum Annual Meeting (Davos, 24-28 January 2007) [Internet]. 2007 [cited 2016 May 28]. Available from: http://www.tuac.org/en/public/e-docs/00/00/ 01/A0/document_doc.phtml. 

  3. Statistics Korea. Household Income and Expenditure Survey (New Classification) every year [Internet]. 2016 [updated 2015 May 27; cited 2016 May 27]. Available from: http://kosis.kr/ 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L9F028&conn_path I2. 

  4. Kim DH. An analysis on living condition influenced by the determinants of growth of single youth households and government policy. Proceedings of 2012 Annual Conference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Local Government Studies; 2012 Nov 9; Seoul: p. 1-27. 

  5. Kim HS. The role of family, government and society for old age guarantee. KDI Focus. 2015 Mar: 1-8. 

  6. Statistics Korea. 2010 Report on the social survey. Daejeon: Statistics Korea; 2010. 

  7. Lee SS. The 2015 national survey on fertility and family health and welfar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5 Dec. Report No. 2015-31. 

  8. Statistics Korea. 2015 the aged statistics. 2015 [updated 2015 Sep 14; cited 2016 May 10].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 portal/korea/kor_nw/2/1/index.board?bmoderead&aSeq348565. 

  9. Joo JS, Moon YK, Kim YT, Kim YR, Song CS, Lim YG et al.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 Families.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2015 Dec. Report No. 20. 

  10. Chang HK, Hwang KI, Choi IH, Kim YR, Joo JS, Kim SY et al. An analysis on the Korean family status survey 2015.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15 Dec. Report No. 2015-65. 

  11. Statistics Korea. Projected households by age, type and size. 2014 [updated 2014 Jan 14; cited 2016 May 10].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_01List.jsp?vwcdMT_ ZTITLE&parentIdA#SubCont. 

  12. Kang EN, Lee MH. Single-person households in South Korea and their policy implication. Health Welf Policy Forum 2016; 234: 47-56. 

  13. Lee, KI, Hwang YJ, Ban HJ, Lim SJ, Jin HJ, Lee HS. Impact of the growth of single-person households on the food market and policy task.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015 Oct. Report No. R762. 

  14. Han JM, Lee YH. An analysis on the influence of the growth of single households on consumers' expenditure. KIET Ind Econ 2013(6):22-31. 

  15. Seo JJ. The growth of solo economy and the financial industry. KB Research Institute; 2013 Mar. 

  16. Lee EM. The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single household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tatistics of population and familybudget. SERI Econ Focus 2013;422:1-10. 

  17. Chung KH, Nam SH, Chung EJ, Lee JH, Lee YK, Kim JS et al. Policy implications of changes in family structure: focused on the increase of single person households in Korea.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2 Dec. Report No. 2012-47-25. 

  18. Byun MR, Choi JW, Park MJ, Lee HJ, Kim JA. A study on the policy of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for single households. The Seoul Institute; 2015 Feb. Report No.2014-ER-27. 

  1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4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ternet]. 2015 [cited 2016 May 27]. Available from: https://knhanes.cdc.go.kr/knhanes/index. do. 

  20. Lee HY, Noh SC, Choi EY. Growth pattern and spatial distribution of one-person households by socio-economic demographic characteristics. J Korean Geogr Soc 2011; 46(4): 480-500 

  21. Kim HJ. An analysis of household debt burden by householder's occupation. Soc Welf Policy 2004;20:109-131. 

  22. Kim JY, You SD. The effects of household characteristics on housing tenure choice and house type. Hous Stud Rev 2013;21(4):61-85. 

  23. Lee KA, Chung EC. Residential mobility and housing tenure choice decisions of older homeowners: impacts of gender-specific characteristics of household heads. Hous Stud Rev 2014;22(3):127-156. 

  24. Park KS, Kim MS. The impact of change in household living arrangements on the changes in poverty rate among elderly people in South Korea. Korean J Sociol 2016;50(1):221-253. 

  25. Jun SM. Spending pattern types and their determinants for oneperson households in Korea. J Consum Policy Stud 2013; 44(3): 21-43. 

  26. Lee SL. The effect of household demographic trend of food expenditure pattern. J Consum Cult 2014; 17(3): 85-104. 

  27. Yoon DH, Chae SA, Song ET. A survey on single households: 2014 vs. 2015 Tracking Survey. Embrain; 2015 Mar. Report No. TK_201503_TR_1141. 

  28. Statistics Korea. Statistical database [Internet]. 2016 [cited 2016 May 27].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_ 01List.jsp?vwcdMT_ZTITLE&parmTabIdM_01_01. 

  29. Kim SA, Choe JS, Joung HJ, Chang MJ, Kim Y, Lee SE. Comparison of the distribution and accessibility of restaurants in urban area and rural area. J Nutr Health 2014; 47(6): 475-483. 

  30. Statistics Korea.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Industry [Internet]. 2016 [cited 2016 May 27]. Available from: https:// kssc.kostat.go.kr/. 

  31. Kim GS. The economic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single households. Hyundai Research Institute; 2015 Aug. Report No. 15-33(Vol. 654). 

  32. Korean National Assembly forum. Korean economy, deflation or long-term recession. 2015. 

  33. Kim SW, Kim BR, Kim YJ, Jun IS. A study on improving competitiveness of the food service industry.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014 Dec. Report No. R741. 

  34. Lee EJ. The direction of policy on the food service industry. Proceedings of 2011 Annual Conference of the Korean Food Service Association; 2011 Nov 26; p. 54-76. 

  35. National Tax Statistics. 2015 National Tax Statistics Yearbook [internet]. 2016 [cited 2016 May 27]. Available from: http://stats. nts.go.kr/data/data_view.asp?idx1082. 

  36. Park HW, Na K. Study on restaurant franchise service reflected on a single household consumer patterns: focus on 2030 generation. J Digit Des 2015; 15(3): 697-704. 

  37. Park JH, Lee SH, Han SH. An analysis on expenditure pattern on cultural consumption of single households. Korean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 Trade; 2015 Jun. Report No. 2015-37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