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보영재 학생의 정보접근성 인식 향상을 위한 PBL 기반 수업 설계 및 적용
Design and Application of Problem Based Learning to Improve Awareness of Information Accessibility for Gifted Students in Computer Science 원문보기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v.20 no.2, 2016년, pp.109 - 120  

김한성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의 목적은 정보영재 학생들의 정보접근성 인식의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법을 개발하여 적용한 후 그 효과를 알아보는 것에 있다. 실험수업에 적용된 모형은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 PBL)을 기반으로 설계하였으며 정보영재 42명(초등학생 22명, 중학생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업모형의 효과성을 측정하기 위해 정보접근성에 대한 필요성, 행동의지에 대한 인식을 사전/사후 검사를 통해 알아보고, 수업 후 실험수업에 대한 재미, 만족도, 몰입감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전/사후 차이 분석 결과 수업 후 정보접근성에 대한 필요성 및 행동의지가 전반적으로 향상된 것을 볼 수 있었다. 이 중, 성별의 차이를 살펴보면 여학생들의 정보접근성에 대한 인식과 남학생의 행동의지가 향상된 것을 볼 수 있었다. 학교급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초등학생의 정보접근성에 대한 필요성과 중학생의 행동의지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을 볼 수 있었다. 둘째, 실험수업 후 학습자들의 재미와 만족도가 높게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몰입감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 향후 이를 보완하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nd apply instructional model to improve awareness of information accessibility for gifted students in computer science. The model applied to class is designed based on Problem-Based Learning(PBL). The class was for 42 students(22 elementary school students, 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첫째, 정보접근성에 대한 인식의 향상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수업을 통한 사전/사후 인식 변화를 살펴본다. 둘째, 본 연구에서 실시한 실험수업에 대한 재미, 만족도, 몰입감에 대해 살펴본다.
  • 본 연구는 정보접근성 인식 교육을 위한 PBL기반의 수업이 초·중등 정보영재 학생의 정보접근성 인식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정보영재 학생을 대상으로 정보접근성에 대한 인식을 향상시키기 위해 PBL 기반의 웹접근성 관련 실험수업을 적용한 후 그 효과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설정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셋째, 3∼4차시 수업에서는 자료수집이 진행된다. 학생들은 자신이 맡은 역할을 기반으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자료를 개별적으로 수집 및 조사한다. 탐구한 내용은 구글 드라이브 및 자신의 팀원들이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는 온라인 서비스를 활용하여 지속적으로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에서는 접근성을 어떻게 정의하였는가? 한편, Benyon(2001)은 정보접근성에 대한 정의를 시설과 서비스에 대한 물리적인 사용 방법의 기본적인 제공과 그에 따르는 사용상의 적정성이라고 하였다[3]. 국내에서는 접근성을 정보 제품과 서비스를 활용하고자 하는 모든 사람에게 활용 가능성이 제공되는 것을 말하며, 특히 활용에 어려움을 겪는 장애인, 노인 등이 손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으로 정의하였다[29].
정보접근성에 대한 불평등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에서는 어떤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국내외에서는 다양한 기초연구가 진행되었으며[17][34][30], 정부에서는 국가정보화 기본법을 통한 정보격차해소와 관련한 법률 제정, 정보소외 지역의 정보이용시설 설치 및 운영, 웹/앱 접근성 지침 개발 등의 다양한 정책적, 기술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25][26].
PBL이란? 이와 함께 개별학습과 협동학습을 통해 공통의 해결안을 마련하는 과정에서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지원한다. PBL은 기존의 강의식 수업의 단점을 보완하고 복잡한 정보화시대에 맞게 다양한 지식과 정보를 다루는 상황에서 끊임없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과정으로 학교 교육의 활동에 적합한 교수 학습방법이라 할 수 있다[23][16][40][33]. 특히, 학생들에게 실제의 문제 상황을 제시하여 학습에 참여시키고한 가지의 방법이나 정해진 답이 강요되지 않아 학생스스로 지식이 구성될 수 있어 효과적인 방법이라 할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Alan (2011). PAPA revisited: A current empirical study of the mason framework. Journal of Computer Information Systems, 46(3), 117-123. 

  2. Annalu Waller, Vicki L. Hanson, David Sloan (2009). Including Accessibility within and beyond Undergraduate Computing Courses. Proceedings of the 11th international ACM SIGACCESS Conference on Computers and Accessibility, 155-162. 

  3. Benyon (2001). The New HCI Navigation of Information Space. Ethics and Information Technology, 14(8), 425-430. 

  4. Cho Hanyoung (2014). A Study on Ecosystem of Smart Divide and Digital Divide. The e-Business Studies, 15(6), 299-313. 

  5. Choi Jeongim, Jang Kyungwon (2010). Teaching in PBL. Seoul: Hakjisa 

  6. Christina L. C. (2011). The Effect of an Information Ethics Course on the Information Ethics Values of Students - A Chinese Guanxi Culture Perspectiv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7(5), 2028-2038. 

  7. C. J. Liua, and S. C. Yanga (2012). Applying the Practical Inquiry Model to investigate the quality of students' online discourse in an information ethics course based on Bloom's teaching goal and Bird's 3C model. Computers & Education, 59(2), 446-480. 

  8. D. J. Choi et al. (2010). Considering webaccessibility content creation techniques2.0. Korea Creative Contents Agency. 

  9. H. Barrows, and A. Myers (1993). Problem-based learning in secondary schools, Unpublished monograph Springfield, IL. Problem based learning institute. 

  10. Herman T. T. (2002). The Uniqueness Debate in Computer Ethics: What Exactly is at Issue, and Why Does it Matter?. Ethics and Information Technology, 4, 37-54. 

  11. Hong Soongoo, Kang Youngmoo, Lee Hyunmi, Cha Yoonsook (2011). Web Accessibility Education Trends and Discussion to Vitalize a Web Accessibility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 Research, 16(3), 73-87. 

  12. Jang Jeounga (2005). Development of Reality Mirroring Model of Online PBL Design Model.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3(2), 191-224. 

  13. J. R. Rest (1979). Development in judging moral issues, Minneapolis, MN: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4. Kang Youngmoo, Hong Soongoo, Park Seoungje, Lee Hyunmi (2010). Analysis of Perception on the Web Accessibility Education for Information Teachers of Vocational High Schools.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3(5), 39-49. 

  15. Karen D. L., and Sue C. (1996). Decision Making and Computer Use. Communications of the ACM, 39(7), 74-83. 

  16. K. Goodnough, and M. Cashin (2003), Fostering inquiry through problem-based learning. The Science Teacher, 70(9), 21-25. 

  17. Kim Hansung, Kim Jonghye, Lee Wongyu (2010).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for Solving the Recognition of Digital Divide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Secondary Education Research, 58(1), 177-201. 

  18. Kohlberg, L. (1981) Essays on moral development, vol. 1: The philosophy of moral development. New York: Harper & Row. 

  19. Kreie, J. and Cronan, T. (1998). Judging What is Ethical or Unethical: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Communications of the ACM, 41(9), 70-76. 

  20. Kyung J. M., and Jeon, H. R. (2010). A Study on the Type of Using Internet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by College Students. Korean Consumption Culture Association, 13(2), 213-247. 

  21. Lessig. L. (2000). Code and Other Laws of Cyberspace. New York: Basic Books. 

  22. Lee Wongyu, Go Junghyeun (2007). The Research for Development of Curriculum for Solving the Recognition of Digital Divide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NIA. 

  23. M. A. Albanese, and S. Mitcjell (1993). Problem based learning:A review of literature on its outcomes and implementation issues. Acadimic Medicine, 68(1), 53-81. 

  24. Mason (1986). Four ethical issues of the information age. MIS Quarterly, 10(1), 5-12. 

  25.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National Radio Research Agency (2015). Korean 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 2.1. 

  26.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2013). A Guidelines of Information Accessibility and Convenience for Disable and Elderly Person. 

  27.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NIA (2015). 2014 The Survery on the Digital Divide Index and Status. 

  28. Moon, Y. L., & Moon, M. H. (1993). A review of studies on the Korean adolescents' moral judgment development using the defining issues test(DIT).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1), 43-57. 

  29. NIA (2014). A Study on Improving Strategy for the Web/App Accessibility in a Mobile Convergence Environment, NIA. 

  30. Paek Kihun, Bong Jinsook, Shin Youngtae (2015). An Empirical Study on the Factors and Resolution Methods of the Smart Divide of older Adults. Journal of KIISE, 42(10), 1207-1221. 

  31. Park Yangmi (2014). The Effects after Appling PBL(Problem-Based Learning) On-off Line in Design Class. Journal of Digital Design, 14(4), 125-134. 

  32. R. Capurro (2005). Information ethics. CSI Communications, 28(12), 7-10. 

  33. R. Fogarty (1997). Problem-Based Learning and other curriculum models for the multiple intelligences classroom, Arlington heights. IL: IRI SkyLight. 

  34. Seo Hyungun (2014). Critical Discussion for Digital Divide Research. Jouran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4(11), 657-666. 

  35. Shin Hyewon, Ji Seongwoo (2014). A Normative Study on the Paradigm and Solution of the New Digital Divide in the Smart Media Era. Study on the American Constitution, 25(3), 171-203. 

  36. Suk Imbok, Kang Echeol (2007).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Learning Flow Scal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3(1), 121-154. 

  37. Tanja Krunic, Ljiljana Ruzic-Dimitrijevic, Branka Petrovic, Robert Farkas (2006). Web Design Curriculum and Syllabus Based on Web Design Practice and Students' Prior Knowledg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Education, 5(1), 317-335. 

  38. T. B. Lee, T. Jim, M. R. Burks, H. Christian, L. H. Shawn, K. Andrew, H. L. Patrick, L. Bruce, R. Bob, R. Richard, U. Mark, and W. Cynthia, Web Accessibility - Web Standards and Regulatory Compliance, Friends of ED. 

  39. T. Lickona (1978). Moral Development and Moral Education. Knowledge and Development, 21-74. 

  40. V. Clara (2010). Teaching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PBL: Evaluation of a Teaching Intervention Program.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 RES SCI EDUC, 1-14. 

  41. Web Accessibility Initiative [Online]. Available: http://www.w3.org/WAI/ 

  42. Wikipedia[Online]: http://en.wikipedia.org/wiki/Web_accessibilit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