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합연구 : 스트레스 정도, 자기통제력,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A Convergence Study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Parent-Son/Daughter Communication on Addiction to Smartphones : Focused on the Mediated Effect of Stress Level, Self-Control and Self-Efficacy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7 no.4, 2016년, pp.163 - 172  

이현숙 (전주비전대학교 보건행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스트레스 정도, 자기통제력, 자기 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합연구이다. J도와 K도 소재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시행하였으며 232부의 설문지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스마트폰 중독은 부모-자녀 의사소통, 자기통제력, 자기효능감과는 각각 (-)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스트레스 정도와는 (+)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부모-자녀 의사소통은 스트레스 정도, 자기통제력,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부모-자녀 의사소통을 원활히 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시행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스트레스 감소 및 자기통제력과 자기효능감 수준을 높이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was convergence study conducted to understand the effect that parent-son/daughter communications have on the addiction to smartphones, with stress level, self-control, and self-efficacy as the mediator. The subjects were college students located in J province and K province, and 232 q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한편,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관련한 선행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대학생을 대상으로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생의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스트레스 정도, 자기통제력,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고 완화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의 부모-자녀 의사소통, 스트레스 정도, 자기통제력, 자기효능감, 스마트폰의 중독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변수 사이의 상관관계 및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스트레스 정도, 자기통제력,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융합연구이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의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스트레스 정도, 자기통제력,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으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의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스트레스 정도, 자기통제력,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융합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기효능감이란 무엇인가? 스트레스가 높은 현대사회에서는 가장 편리하고 접근이 쉬우며 간접적으로소통할 수 있는 스마트폰이 스트레스 해소방식으로 사용되고 있는데[8], 대학생의 경우 복합적인 문제들에 부딪히면서 심리적, 사회적 어려움을 호소하고 스트레스를 겪으면서 대학생활의 부적응 상태가 초래되고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스마트폰 중독 태도를 보인다[9]. 자기통제력 또한 스마트폰 중독과 관련한 중요한 요인으로[4,10]자기통제의 실패는 휴대전화의 사용을 억제하지 못하고 과도사용과 중독적 사용이 나타난다[161 스마트폰 중독은 자기효능감과도 관계가 있으며[12], 자기효능감이란 어떤 상황이나 과제를 적절하게 대처하거나 해결할 수 있다는 기대와 신념으로 긍정적 문제 해결을 예측하는 중요한 변인이다[13]. 중독적 습관과 자기효능감은 깊은 관련이 있는데, Davis(2001)[14]에 따르면 자기효능감이 낮은 사람은 인터넷 가상공간을 통해 타인으로부터 인정받거나 자기효능감을 보상받는다.
대학생이 스마트폰 중독이 되는 원인은 무엇인가? 2%로 다른 연령층에 비해 절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나타내고 있어 스마트폰 중독의 잠재적 위험성이 높다[7]. 스트레스가 높은 현대사회에서는 가장 편리하고 접근이 쉬우며 간접적으로소통할 수 있는 스마트폰이 스트레스 해소방식으로 사용되고 있는데[8], 대학생의 경우 복합적인 문제들에 부딪히면서 심리적, 사회적 어려움을 호소하고 스트레스를 겪으면서 대학생활의 부적응 상태가 초래되고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스마트폰 중독 태도를 보인다[9]. 자기통제력 또한 스마트폰 중독과 관련한 중요한 요인으로[4,10]자기통제의 실패는 휴대전화의 사용을 억제하지 못하고 과도사용과 중독적 사용이 나타난다[161 스마트폰 중독은 자기효능감과도 관계가 있으며[12], 자기효능감이란 어떤 상황이나 과제를 적절하게 대처하거나 해결할 수 있다는 기대와 신념으로 긍정적 문제 해결을 예측하는 중요한 변인이다[13].
스마트폰 중독과 자기효능감은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가? 자기통제력 또한 스마트폰 중독과 관련한 중요한 요인으로[4,10]자기통제의 실패는 휴대전화의 사용을 억제하지 못하고 과도사용과 중독적 사용이 나타난다[161 스마트폰 중독은 자기효능감과도 관계가 있으며[12], 자기효능감이란 어떤 상황이나 과제를 적절하게 대처하거나 해결할 수 있다는 기대와 신념으로 긍정적 문제 해결을 예측하는 중요한 변인이다[13]. 중독적 습관과 자기효능감은 깊은 관련이 있는데, Davis(2001)[14]에 따르면 자기효능감이 낮은 사람은 인터넷 가상공간을 통해 타인으로부터 인정받거나 자기효능감을 보상받는다. 또한, 가족 간에 의사소통이 원만하지 못하고 갈등적일수록 스마트폰 중독이 심각하고[15], 이로 인하여 부모와 자녀의 관계가 소원해지고 가족과의 대화단절현상이 나타난다[16,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B. N. Kim, “Effect of Smart-phone Addiction on Youth's Sociality Development,” The Korea Contents Society, Vol. 13, No. 4, pp. 208-217, 2013. 

  2. D. I. Kim, y. J. Chung, J. Y. Lee, M. C. Kim, Y. H. Lee, E. B. Kang, C. M. Keum, J. E. Nam, “Development of 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Scale for Adults: Self-report,”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Vol. 13, No. 2, pp. 629-644, 2012. 

  3. S. C. Jung, Y. S. Lee, “The Effects of military lesson students' self-control and stress coping behavior are related to the level of smart-phone addiction,”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Vol. 15, No, 3, pp. 64-74, 2015. 

  4. B. N. Kim, E. J. Ko, H. I. Choi,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smart-phone addiction in university students : A focus on differences in classifying risk groups,” Studies on Korean Youth, Vol. 24, No. 3, pp. 67-98, 2013. 

  5. H. J. Kang, “The relationships among smartphone use, mental health and physical health-Focusing on smartphone users' attitud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4, No. 3, pp. 483-488, 2016. 

  6. K. A. Jung, B. W. Kim, "The Differences of the Ego-Resilience and Disagreement in Parents' Rearing Attitude according to the Levels of the Smartphone Addiction of Adolesesdc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2 pp. 299-308, 2015. 

  7. Korean Internet & Security Agency, "The 2013 Survey on the Mobile Internet Usage," 2013. 

  8. H. Y. Cho, "The influence of stress on adult's smart-phone addiction : mediating effect of self-control, neuroticism and extraversion," Department of General Counseling Korea Counseling Graduate University, 2016. 

  9. H. J. Yun, “College Students' Stress and Mobile-Phone Use-Uses and Gratifications from the Life-Span Perspective,”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Vol. 13, No. 2, pp. 365-408, 2009. 

  10. H. O. Jo, "Differences in Middle School Students' Self-Esteem, Impulsiveness and Perceived Stress According to Level of Smart-Phone Addiction," Department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Keimyung University, 2012. 

  11. Y. M. Lee, S. J. Lee, H. S. Shin, “The Effects of Personal, Familial, School Environmental Variables on Mobile Phone Addiction by Adolescent,”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Vol. 21, No. 3, pp. 29-43, 2009. 

  12. H. J. Kim, J. H. Kim, W. H. Jeong, “Predictors of Smar-tphone Addiction and Behaviorl Patterns,” Journal of Cybercommunication Academic Society, Vol. 29, No. 4, pp. 55-93, 2012. 

  13. Bandura, A. Self-Efficacy :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W. H. freeman and Company, 1997. 

  14. Davis. R. A, A cognitivie-behavioral model of pathological Internet us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 17, pp. 187-195, 2001. 

  15. H. H. Oh, "The Analysis of Predicted Variable Related to the Smat-phone Addiction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 Focused on Family Communication and Parent Attachment," Department of Counseling Psychology Graduate School Seoul Cyber University, 2013. 

  16. H. S. Choi, H. K. Lee, J. C. Ha, “The influence of smart-phone addiction on mental health, campus life and personal relations-Focusing on K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ol. 23, No. 5, pp. 1005-1015, 2012. 

  17. K. R. Kim, S. J. Lee, H. S. Shin, “The Effects of Internet-Addiction on Adolescents' Family Communica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Vol. 20, No. 4, pp. 187-203, 2008. 

  18. E. K. Cho, "The Effects of Parents' Dysfunctional Communication on Youth Problem Behaviors," Department of Social Work Graduate School Soongsil University, 2004. 

  19. S. J. Kang, "A Study on the Smart-phone addiction according to Smart-phone use pattern, the Stress, Self-control and Family communication of College students in Ulsan city," Department of Child Welfare Graduate School Ulsanl University, 2013. 

  20. Barnes. H, David. H. Olsen,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Family Inventories," Family Social Science,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82. 

  21. A. J. Kil, The relations between Parents-Adolescences Communication, Family Cohesion and Family Adapatability percevied by Korean adolescences and Korean residents adolescences in America : Department of Home Economic Education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1999. 

  22. Cohen. s, Kamarck. T, Mermelstein. R, "A global measure of perceived stres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 24, pp. 385-396, 1983. 

  23. Gottfredson. M. R, Hirschi. T, "A general theory of crime,"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0. 

  24. H. S. Kim, "Model Development of affecting factors on health behavior and juvenile delinquency of adolescents," Department of Public Health The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1998. 

  25. H. M. Nam,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Family Environment, Self-Control and Friend Characteristics of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ir Problem Behavior," Department of Child Family The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1999. 

  26. A. Y. Kim, J. E. Cha, "A Study for the General Self-efficacy Scale Develop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1996. 

  27. A. Y. Kim, "A Study on the academic failuretolerance and correlate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 11, No. 2, pp. 1-19, 1997. 

  28. H. K. Baek, T. H. H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youth smartphone addiction and personality typ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2, No. 7, pp. 389-400, 2014. 

  29. K. M. Yang, “The effect of Self-Esteem and Depression on Smart-phone Addic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7, No. 1, pp. 113-123, 2016. 

  30. B. H. Sim, "The Relationship of Rejection Senitivity and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on Smart-phone Addiction among Adolescents," Major in Counseling Psychology Department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Hongik University, 2013. 

  31. Y. J. Lee, J. H. Park, “The Effect of Use Motives, Self-Control and Social Withdrawal on Smartphone Addic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2, No. 8, pp. 459-465, 2014. 

  32. M. K. Cho, “The Relationships among Smartphone Use Motivations, Addiction, and Self-control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2, No. 5, pp. 311-323, 2014. 

  33. M. H. Ryu, “University Students' Smart-phone Addiction Propensities according to Self-efficacy and Leisure-related Variable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ol. 32, No. 1, pp. 63-79, 2014. 

  34. M. K. Kim, “Relationship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Stress, Depression, Family Resilience and Internet Game Addictio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7, No. 1, pp. 205-210, 2016. 

  35. Y. K. Koo, "The Effects of Parent's bringing-up attitude,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Social Support on Smart-phone Addiction of the Adolescent :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Self-control,"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The Graduate School of Han Se University,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