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재 개별화 교육에 관한 과학영재 지도교사들의 인식
The Perception of Gifted Science Teachers Regarding a Individualized Instruction for Scientifically Gifted 원문보기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v.9 no.2, 2016년, pp.199 - 216  

김수연 (한국교원대학교) ,  한신 (한국교원대학교) ,  정진우 (한국교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영재를 위한 개별화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의 필요성에 관해 과학영재교육 담당 교사들은 어느 정도 인식하고 있는지를 과학영재 교육기관의 현실에 비추어 심층적으로 탐색하여 문제점들을 짚어보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앞으로 보다 적극적인 과학영재 개별화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의 적용 가능한 방향에 관해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과학영재를 지도한 경험이 있고, 영재교육 혹은 과학교과교육 분야로 학위를 가지고 있는 현직 교사를 중심으로 15명을 섭외하여 심층 면담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참여자 대부분은 과학영재교육에 있어 이상적인 영재교육은 학생의 성향에 따른 개인적 요구를 이해해야 하고, 학생이 스스로 주도하는 연구방향이어야 한다는 내용으로 개별화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과학영재 개별화 교육과 관련한 과학영재교육 기관 운영의 문제점으로 교사들은 재정적 지원의 감소를 가장 큰 문제로 들었으며, 교사의 소명의식 및 전문성이 매우 중요한 요소로 언급되었다. 시간, 장소의 제약과 함께 대학입시와 관련된 교육환경의 영향도 무시할 수 없다는 의견이 많았다. 영재교육기관 및 대상자의 과도한 확대와 표준화 된 측정 도구 및 프로그램이 없다는 것, 교사의 일관된 관찰 시스템이 부족하다는 의견도 많았다. 또한, 영재교육기관들의 획일화된 교육과정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고, 이미 진행되고 있는 개별화 교육프로그램도 단점이 많고 미미하게 진행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이에 따라 앞으로 과학영재 개별화 교육을 적용하기 위한 방향으로 교사들은 최적화 된 교육환경과 일관된 정책적 지원을 요구하였으며, 교사의 지속적 관찰이 가능한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피력하였다. 또, 학생 요구에 부합하는 교육과정과 프로그램이 가장 우선시 되어야하며, 협동학습 내에서의 동료학습이 개별화 교육의 대안이 될 수 있다는 응답도 있었다. 이와 함께 개별화 교육에 따른 열등감을 극복하기 위한 처치가 뒤 따라야 한다는 의견도 많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how much gifted science education teachers in charge of the class realize the necessity of individualized curriculum and program for scientifically gifted, to find out the problems of the gifted science educational institutions from exploring them in depth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료의 분석의 진행단계는 무엇인가? 자료의 분석은 질적 분석의 일반적인 절차인 전사, 코딩, 주제의 범주화라는 세 가지 단계로 진행되었다. 면담을 마친 즉시 전사를 진행하였으며, 전사 과정에서 예비 코딩을 진행 하였다.
세그멘팅이란 무엇인가? 수집된 전사내용은 질적 연구에서 주로 사용되는 주제 분석(thematic analysis)기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Creswell, 2007). 먼저, 면담 전사 자료를 꼼꼼히 읽으면서 유의미한 용어와 문장들을 추출하고, 색깔이 있는 필기구로 예비 분류를 하여 밑줄을 치는 세그멘팅(segmenting) 과정을 거쳐 자료를 수평화 하였다. 이 자료들을 수렴하여 요약, 발췌하는 과정에서는 연구 참여자 2인 이상이 언급한 내용을 중심으로 선별하였다.
영재교육의 패러다임은 어떻게 변화했는가? 영재교육의 패러다임은 시간이 지나면서 계속 변화해왔다. 초기에 영재를 판별하기 위한 부분에 가치를 두었고, 그 후에는 영재의 재능계발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최근에는 영재의 개인차를 가정하고 개별화를 강조하는 방향으로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이신동과 이정규, 2014). 미래학자인 Thomas Frey는 강연에서 무인자동차, 3D 프린터 등을 언급하면서 미래사회는 개인 맞춤형의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이야기 한다(한국방송공사,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교육부 (2013). "영재교육 최적화를 통한 창조적 인재육성"을 위한 제 3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서울: 교육부. 

  2. 교육인적자원부 (2007). 제2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3. 김미숙 (2008). 시도교육청과 대학의 영재교육기관 운영 효율화 방안 연구 (연구보고 RR 2008-34).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4. 김성연 (2014). 미국 테네시 주 벤더빌트대학교 영재교육센터 프로그램이 우리나라 영재교육에 주는 시사점 탐색. 영재교육연구, 24(2), 243-268. 

  5. 김순식, 이용섭 (2013). 초등예비교사들의 과학영재 교육에 대한 신념 연구.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6(2), 152-158. 

  6. 손정우 (2012). 영재 교육과정의 이해. 2012년 영재 교육 업무담당자 워크숍 자료집. 서울특별시 과학전시관 영재교육지원센터. 

  7. 송인섭, 도승이, 이정규, 김누리, 성은현 (2011). 한국 영재교육의 방향 모색: 융합형 창의 인재육성. 영재와 영재교육, 10(3), 75-95. 

  8. 양일호, 박선옥 (2015). 과학실험수업에 대한 초등과학영재들의 인식 분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8(2), 164-182. 

  9. 오필석 (2013). '좋은' 과학 수업에 관한 중등 과학 교사들의 사고.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2), 405-424. 

  10. 이봉우, 손정우, 최원호, 이인호, 전영석, 최정훈 (2008). 과학영재교육에서 교사들이 겪는 어려움. 초등과학교육, 27(3), 252-260. 

  11. 이신동, 이정규(2014). 영재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와 전망: 탁월한 성취 패러다임. 영재와 영재교육, 13(2), 25-41. 

  12. 이정규, 성은현, 이신동 (2015). 우리나라 영재교육 정책의 변화와 향후 전망. 영재와 영재교육, 14(2), 49-67. 

  13. 전은선, 이형철 (2015). 수업형태와 수업환경에 대한 과학영재와 일반 학생들의 선호도 비교.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8(3), 346-354. 

  14. 정기영, 전미란, 최승언 (2008). 과학영재 담당교사의 과학영재교육에 대한 인식 및 현황 조사 연구. 영재와 영재교육, 7(2), 161-177. 

  15. 조석희 (2004). 영재교육백서 2004(연구자료 RM 2004-64).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6. 최병연, 김주연 (2014). 그들은 왜 영재교사를 그만 두었는가?: 초등영재교사의 영재교육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 영재와 영재교육, 13(2), 99-116. 

  17. 태진미 (2014). 초중등 영재학생들이 지각하는 영재 상담 실태 및 요구. 영재와 영재교육, 13(3), 149-173 

  18. 한국교육개발원 (2014). 2014년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 

  19. 한국방송공사 (2015.4.26.). 오늘 미래를 만나다: 미래혁명 1부 미래직업. 

  20. 한기순 (2006). 국내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현황과 과제. 영재와 영재교육, 5(1), 109-129. 

  21. Betts, G. T., & Neihart, M. (1988). Profiles of the gifted & talented. Gifted Child Quarterly, 32(2), 248-253. 

  22. Creswell, J. W. (2007). Qualitative inquiry &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2nd Ed.).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23. Dai, D. Y. & Chen, F. (2013). Three paradigms of gifted education: In search of conceptual clarity in research and practice. Gifted Child Quarterly, 57(3), 151-168. 

  24. Feldhusen, J. F., Asher, J. W., & Hoover, S. M. (1984). Problems in the identification of giftedness, talent, or ability. Gifted Child Quarterly, 28(4), 149-151. 

  25. Kaplan, S. (1982). Myth: There is a single curriculum for the gifted! Gifted Child Quarterly, 26(1), 32-33. 

  26. Kaplan, S. (2008). Advocacy: Projects: Yay or Nay. Gifted Child Today, 31(2), 47-53. 

  27. Marshall, C., & Rossman, G. B. (2006). Designing Qualitive research (4th ed.). Thousand Oaks, CA: Sage. 

  28. Passow, A. H. (1981). The nature of giftedness and talent. Gifted Child Quarterly, 25(1), 5-10. 

  29. Polkinghorne, D. E. (1989).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In R.S. Valle and S. Halling(Eds.), Existential-phenomenological perspectives in psychology: Exploring the breadth of human experience(pp.41-60). New York: Plenum Press. 

  30. Renzulli, J. S., Reid. B. D., & Gubbins. E. J. (1992). Setting an agenda: Research priorities for the gifted and talented through the year 2000. Storrs, CT: University of Connecticut, The National Research Center on the Gifted and Talented. 

  31. Renzulli, J. S., & Reis. S. M.(2003). The school wide enrichment model: Developing creative and productive giftedness. In N. Colangelo & G. A. Davis(Eds.), Handbook of gifted education (pp.184-203). Needham Heights, MA: Allyn & Bacon. 

  32. Siemer, E. A. (2009). Bored out of their minds: The detrimental effects of no child left behind on gifted children. The Free Library. 

  33. Silverman, L. K. (1993). Counseling the gifted and talented. Denver, CO: Love. 

  34. Tannenbaum, A. (1983). Gifted children: Psychological and educational perspectives. New York: Macmillan. 

  35. Tomlinson, C. A. (1999). Mapping a route toward differentiated instruction. Educational Leadership, 57(1), 12-16. 

  36. Tomlinson, C. A. (2005). How to differentiate instruction in mixed-ability classrooms. Upper Saddle River, N. J. : Person/Merrill Prentice. 

  37. Slavin, R. E.(1987). Cooperative learning and cooperative school. Education Leadership, 45(3), 7-13. 

  38. Van Tassel-Baska, J. (1986). Effective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models for talented students. Gifted Child Quarterly, 30(4), 164-16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