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논문에서 용어와 풀이말을 자동 추출한 결과로,
시범 서비스 중입니다.
우주비행체 추진기관은 로켓엔진의 일종으로 인공위성, 우주탐사선 등의 임무수행을 위해 사용되며 인공위성 자세제어 및 궤도조정을 위한 수요에 따라 1950년대 말부터 개발되기 시작하였다. 우주비행체에 사용되는 추진시스템은 발사체와 달리 상대적으로 긴 기간의 임무수행이 요구되며, 이에 따라 추진제의 안정성 및 추진시스템의 내구성이 설계에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된다. 최근에 우주추진 분야에서 주목받는 기술은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친환경 추진과 전기추진만으로 추진시스템을 구성하는 기술로 국내에서도 체계적인 연구개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우주추진기관의 국내외 현황 및 주목받는 기술들을 나열하고 이에 따른 개발 전망을 간략히 소개하였다.
Spacecraft propulsion system is a kind of rocket engine that has been developed from the end of 1950s for attitude control and orbit maintenance of satellite. Since the spacecraft propulsion system has to be used for a relatively long time, therefore, stability of propellant and life of thruster could be very important factor for propulsion system design. Recently, green propellant propulsion and all electrical propulsion system have became very important issue, and we also need a development according to well organized plan. In this paper, we will introduce the development status, key technologies and development prospect of spacecraft propulsion system.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본 논문은 국내외의 우주비행체 추진시스템 개발 현황을 정리하였고 이에 따른 국내 우주비행체용 추진기관 발전 방향에 대해 소개하였다.
본 논문은 우주비행체용 추진기관의 국내외 개발 현황에 대해서 살펴보고 앞으로의 개발 방향에 대해 기술하였다. 하이드라진 계열 추진제 관련 기술은 여전히 세계적으로 중요한 기술이며 국내에서는 여전히 연구개발이 필요한 분야로 판단되지만 장기적으로는 우주추진기관의 기술적인 변화에도 대비할 필요가 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우주비행체 추진기관 | 우주비행체 추진기관이란? |
로켓엔진의 일종으로 인공위성, 우주탐사선 등의 임무수행을 위해 사용되며 인공위성 자세제어 및 궤도조정을 위한 수요에 따라 1950년대 말부터 개발되기 시작하였다
우주비행체 추진기관은 로켓엔진의 일종으로 인공위성, 우주탐사선 등의 임무수행을 위해 사용되며 인공위성 자세제어 및 궤도조정을 위한 수요에 따라 1950년대 말부터 개발되기 시작하였다. 우주비행체에 사용되는 추진시스템은 발사체와 달리 상대적으로 긴 기간의 임무수행이 요구 되며, 이에 따라 추진제의 안정성 및 추진시스템의 내구성이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된다[1,2]. |
화학 추진시스템 | 화학 추진시스템 중 우주비행체에 사용되는 추진기관인 이원추진체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
발사체와는 달리 장기간의 저장이 필요하므로 극저온 보관이 필요한 추진제와 산화제의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단일추진제는 추진제와 촉매를 이용해서 추력을 발생시키며 대부분의 경우 추진제로 무수 하이드라진을 사용하고 있다. 이원추진제는 발사체 엔진과 마찬가지로 추진제와 산화제를 반응시켜 추력을 발생시키지만 발사체와는 달리 장기간의 저장이 필요하므로 극저온 보관이 필요한 추진제와 산화제의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우주추진기관에는 하이드라진 계열 추진제인 무수 하이드라진, MMH (Mono Methyl Hydrazine), UDMH (Unsymmetrical Di-Methyl Hydrazine) 등이 추진제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
우주비행체에 사용되는 추진시스템 | 우주비행체에 사용되는 추진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
추진제의 안정성 및 추진시스템의 내구성
우주비행체 추진기관은 로켓엔진의 일종으로 인공위성, 우주탐사선 등의 임무수행을 위해 사용되며 인공위성 자세제어 및 궤도조정을 위한 수요에 따라 1950년대 말부터 개발되기 시작하였다. 우주비행체에 사용되는 추진시스템은 발사체와 달리 상대적으로 긴 기간의 임무수행이 요구되며, 이에 따라 추진제의 안정성 및 추진시스템의 내구성이 설계에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된다. 최근에 우주추진 분야에서 주목받는 기술은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친환경 추진과 전기추진만으로 추진시스템을 구성하는 기술로 국내에서도 체계적인 연구개발이 필요하다.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