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자선 빔 치료 시 삼차원프린터를 이용하여 제작한 환자맞춤형 볼루스의 유용성 및 선량 정확도 평가
Efficacy and Accuracy of Patient Specific Customize Bolus Using a 3-Dimensional Printer for Electron Beam Therapy 원문보기

Progress in Medical Physics = 의학물리, v.27 no.2, 2016년, pp.64 - 71  

최우근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방사선종양학교실) ,  전준철 (경기대학교 의학물리학과) ,  주상규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방사선종양학교실) ,  민병준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강북삼성병원 방사선종양학교실) ,  박수연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방사선종양학교실) ,  남희림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강북삼성병원 방사선종양학교실) ,  홍채선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방사선종양학교실) ,  김민규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방사선종양학교실) ,  구범용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방사선종양학교실) ,  임도훈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방사선종양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삼차원 프린터(3DP)를 이용하여 환자맞춤형 전자선 치료용 볼루스(patient specific customized bolus, PSCB)를 제작하는 절차를 고안하고 제안된 방법으로 제작한 PSCB의 선량 정확도를 평가했다. 치료계획장치에서 치료계획표적용적(PTV)에 적합한 전자선 빔과 조사면 크기를 선택하고 초기 선량계산을 수행했다. 계산된 선량분포를 기반으로 PSCB를 그리고 재계산을 수행했다. 수 차례 반복을 통해 최상의 PSCB를 설계하고 설계된 윤곽자료를 DICOMRT 프로토콜을 이용해 자체 제작한 변환프로그램으로 전송했다. PSCB의 윤곽자료는 자체 변환프로그램을 이용해 3DP에서 인식 가능한 파일(STL 포맷)로 변환한 후 3DP를 이용해 제작했다. PSCB의 유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2명의 가상 환자(오목, 볼록 유형)를 생성했고 각각의 환자에 가상의 PTV와 정상장기(OAR)을 생성했다. 3D-PSCB 를 사용했을 때와 사용하지 않았을 때의 선량체적히스토그램(DVH)와 선량 특성을 비교했다. 3D-PSCB 제작의 정확도를 분석하기 위해 필름 선량측정을 통해 선량 정확도를 평가했다. 치료계획 결과와 필름을 이용한 선량분포를 중첩한 후 빔 중심축에서의 심부선량곡선을 구했고 감마분석(3% 선량 오차와 3 mm 거리오차)을 수행 했다. 2명의 가상환자 모두에서 PSCB를 사용한 경우 PTV 선량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SCB를 사용할 경우 PSCB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OAR의 최대 선량, 최소선량, 평균선량은 각각 평균 9.7%, 36.6%, 28.3% 감소했다. 처방선량의 90% 선량($V_{90%}$)을 받는 OAR의 용적은 PSCB를 적용할 경우 약 99% 낮아졌다(14.40 vs $0.1cm^3$). 또한 처방선량의 80% 선량을 받는 OAR 체적도 PSCB를 사용할 경우 약 91% 줄었다(42.6 vs $3.7cm^3$). 감마분석 결과(3%, 3 mm) 오목 및 볼록 볼루스를 적용한 경우 각각 95%, 98% 통과율(pass rate)을 보였다. 3DP를 이용해 PSCB를 제작하는 절차를 정립하고 선량적 정확도를 평가해서 임상적용이 가능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다. 3DP 기술의 빠른 발전에 힘입어 PSCB의 임상적용이 좀 더 쉬워지고 적용대상이 확장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develop a manufacture procedure for the production of a patient specific customized bolus (PSCB) using a 3D printer (3DP). The dosimetric accuracy of the 3D-PSCB is evaluated for electron beam therapy. In order to cover the required planning target volume (PTV), we select the proper electron bea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3DP를 이용해 PSCB를 만드는 절차를 정립하고 임상적용 가능여부를 검증했다. PSCB를 이용해서 크게 2가지 효과를 얻고자 했다.
  • 본 연구는 PSCB 제작과정을 개선하고자 삼차원프린팅 (3-Dimentiomnal printing: 3DP) 기술을 도입했다. 3DP 기술은 설계된 삼차원 구조물을 쾌속 조형(Rapid Prototyping)기술을 이용하여 정밀하게 제작 가능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 이에 본 저자는 3DP를 이용해 전자선치료를 위한 PSCB 제작절차를 정립하고 선량 검증을 통해 정확도를 검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성공적인 방사선치료를 위해서 무엇이 중요한가? 성공적인 방사선치료를 위해서는 주변 정상장기에 가는 선량을 최소화하면서 종양에 계획된 치사선량을 정확히 조사하는 것이 중요하다. 전자선 빔은 유효치료 영역(80% Percentage Depth Dose: PDD)을 지나면 선량 흡수가 급격히 감소하는 특성으로 인해 5 cm 이하의 종양 치료에 많이 사용된다.
전자선 빔의 특징은 성공적인 방사선치료를 위해서는 주변 정상장기에 가는 선량을 최소화하면서 종양에 계획된 치사선량을 정확히 조사하는 것이 중요하다. 전자선 빔은 유효치료 영역(80% Percentage Depth Dose: PDD)을 지나면 선량 흡수가 급격히 감소하는 특성으로 인해 5 cm 이하의 종양 치료에 많이 사용된다.1) 이러한 특징은 표적 체적(Target Volume)을 넘어 정상장기(Organ At Risks: OARs)가 위치하는 종양의 치료에 매우 효과적이다.
전자선 빔의 특징으로 인한 장점은? 전자선 빔은 유효치료 영역(80% Percentage Depth Dose: PDD)을 지나면 선량 흡수가 급격히 감소하는 특성으로 인해 5 cm 이하의 종양 치료에 많이 사용된다.1) 이러한 특징은 표적 체적(Target Volume)을 넘어 정상장기(Organ At Risks: OARs)가 위치하는 종양의 치료에 매우 효과적이다. 전자선치료는 광자선 치료에 비해 치료 방법이 간단해서 유방암의 흉곽조사(Chest wall Irradiation for Breast Cancer), 피부암(Skin Cancer), 두 경부(Head and Neck) 종양 치료에 주로 이용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Khan FM, Doppke KP, Hogstrom KR, et al: Clinical electron-beam dosimetry: report of AAPM Radiation Therapy Committee Task Group No. 25. Med Phys 18(1):73-109 (1991) 

  2. Kirova YM, Campana F, Fournier-Bidoz N, et al: Postmastectomy electron beam chest wall irradiation in women with breast cancer: a clinical step toward conformal electron therapy.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69(4):1139-1144 (2007) 

  3. Perkins GH, McNeese MD, Antolak JA, Buchholz TA, Strom EA, Hogstrom KR: A custom three-dimensional electron bolus technique for optimization of postmastectomy irradiation.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51(4):1142-1151 (2001) 

  4. Low DA, Starkschall G, Bujnowski SW, Wang LL, Hogstrom KR: Electron bolus design for radiotherapy treatment planning: bolus design algorithms. Med Phys 19(1):115-124 (1992) 

  5. Zablow AI, Eanelli TR, Sanfilippo LJ: Electron beam therapy for skin cancer of the head and neck. Head Neck 14(3):188-195 (1992) 

  6. Hogstrom KR: Treatment planning in electron beam therapy. Front Radiat Ther Oncol 25:30-52; discussion 61-33 (1991) 

  7. Lief EP, Lo YC, Humm JL: Electron wedges for radiation therapy.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40(1):233-243 (1998) 

  8. Ma CM, Pawlicki T, Lee MC, et al: Energy- and intensity-modulated electron beams for radiotherapy. Phys Med Biol 45(8):2293-2311 (2000) 

  9. Kudchadker RJ, Hogstrom KR, Garden AS, McNeese MD, Boyd RA, Antolak JA: Electron conformal radiotherapy using bolus and intensity modulation.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53(4):1023-1037 (2002) 

  10. Archambeau JO, Forell B, Doria R, Findley DO, Jurisch R, Jackson R: Use of variable thickness bolus to control electron beam penetration in chest wall irradiation.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7(6):835-842 (1981) 

  11. Beach JL, Coffey CW, Wade JS: Individualized chest wall compensating bolus for electron irradiation following mastectomy: an ultrasound approach.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7(11):1607-1611 (1981) 

  12. Kesner SB, Howe RD: Design Principles for Rapid Prototyping Forces Sensors using 3D Printing. IEEE ASME Trans Mechatron PP(99):1-5 (2011) 

  13. Ju SG, Kim MK, Hong CS, et al: New technique for developing a proton range compensator with use of a 3-dimensional printer.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88(2):453-458 (2014) 

  14. Burleson S, Baker J, Hsia AT, Xu Z: Use of 3D printers to create a patient-specific 3D bolus for external beam therapy. J Appl Clin Med Phys 16(3):5247 (2015) 

  15. Harris BD, Nilsson S, Poole CM: A feasibility study for using ABS plastic and a low-cost 3D printer for patient-specific brachytherapy mould design. Australas Phys Eng Sci Med 38(3):399-412 (2015) 

  16. Lindsay C, Kumlin J, Jirasek A, et al: 3D printed plastics for beam modulation in proton therapy. Phys Med Biol 60(11):N231-240 (2015) 

  17. Zarghami N, Jensen MD, Talluri S, et al: Technical Note: Immunohistochemical evaluation of mouse brain irradiation targeting accuracy with 3D-printed immobilization device. Med Phys 42(11):6507-6513 (2015) 

  18. Zou W, Fisher T, Zhang M, et al: Potential of 3D printing technologies for fabrication of electron bolus and proton compensators. J Appl Clin Med Phys 16(3):4959 (2015) 

  19. Kim M, Ju SG, Chung K, et al: Development of a 3D optical scanning-based automatic quality assurance system for proton range compensators. Med Phys 42(2):1071-1079 (2015) 

  20. Alexa M, Behr J, Cohen-Or D, Fleishman S, Levin D, Silva CT: Computing and rendering point set surfaces. Ieee Transactions on Visualization and Computer Graphics 9(1):3-15 (2003) 

  21. Wikipedia: http://en.wikipedia.org/wiki/Stereolithography 

  22. Hogstrom KR, Mills MD, Meyer JA, et al: Dosimetric evaluation of a pencil-beam algorithm for electrons employing a two-dimensional heterogeneity correction.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10(4):561-569 (1984) 

  23. Low DA, Harms WB, Mutic S, Purdy JA: A technique for the quantitative evaluation of dose distributions. Med Phys 25(5):656-661 (199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