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외 SPA 브랜드의 이미지 기반 패션 큐레이션 이미지 유형 및 이용자의 이미지 선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age Types and User's Preference on Image-based Fashion Curation of Domestic and Foreign SPA Brands 원문보기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v.18 no.4, 2016년, pp.477 - 488  

김지우 (중앙대학교 패션디자인전공) ,  오경화 (중앙대학교 패션디자인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classified and analyzed the types of images posted on official accounts operated by domestic and foreign SPA brands on Instagram and Pinterest, which are image-based fashion curations, and performed a survey on preferred image types in the fashion curations of SPA brands. It aims to indu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멀티미디어의 발달에 따라 정보 유통이 다채널화된 현대 사회에서 패션 이미지 큐레이션을 활용한 SPA 브랜드의 사례와 유형 분석을 바탕으로 패션 상품 소비 주체의 능동적 의복 구매 행동을 유도하는 보다 직관적인 패션 큐레이션의 이미지 유형을 모색하여 보고자 하는 데 있다. 또한, 이를 통하여 소비자의 자발적 참여와 판매 촉진을 도모하여 기업-소비자 간의 효율적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게 하는 패션 큐레이션 이미지 유형을 제안하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
  • 따라서 패션 브랜드의 마케팅 전략으로서 소비자와의 효과적 커뮤니케이션을 도모하기 위하여 SPA 브랜드의 주 소비 연령층을 대상으로 패션 큐레이션 이미지 유형의 선호에 관한 학문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되는 바, 본 연구는 국내·외 7개 SPA 브랜드의 인스타그램(Instagram)과 핀터레스트(Pinterest)의 메인 페이지에서 나타나는 패션 큐레이션 이미지를 중심으로 이를 분석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멀티미디어의 발달에 따라 정보 유통이 다채널화된 현대 사회에서 패션 이미지 큐레이션을 활용한 SPA 브랜드의 사례와 유형 분석을 바탕으로 패션 상품 소비 주체의 능동적 의복 구매 행동을 유도하는 보다 직관적인 패션 큐레이션의 이미지 유형을 모색하여 보고자 하는 데 있다. 또한, 이를 통하여 소비자의 자발적 참여와 판매 촉진을 도모하여 기업-소비자 간의 효율적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게 하는 패션 큐레이션 이미지 유형을 제안하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큐레이션이란 용어는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 본래 큐레이션(Curation)은 미술관이나 박물관에서 전시할 소장품 또는 작품을 선정 및 전시하는 일련의 작업을 뜻하는 용어였으나(Steven, 2011), 최근 각종 스마트 기기와 인터넷의 보급으로 인한 정보 유통량의 급증 및 정보 생산 주체의 확산으로 전통적인 큐레이션의 개념은 다채로운 형식의 콘텐츠와 디지털 빅테이터 등과 같이 정보를 다루는 부분으로 그 범위가 확장 사용되고 있다(Joo, 2014). 따라서 큐레이션의 개념은 단순한 정보 수집의 행위를 넘어서 정보의 재구성 및 재분류를 통하여 상대에게 새로운 정보 가치를 생산하는 작업이며 기계를 통한 검색이나 수집이 아닌 인간이 큐레이터로 개입하여 개개인의 관점에 따라 정보를 선별하는 것을 의미하는 용어로 자리 잡았다(Sasaki, 2012).
SPA 브랜드는 어떠한 장점을 가지고 있는가? 즉, SPA 브랜드는 제품의 수급 과정에서 자체 생산방식을 통해 기획, 생산, 유통 등 제품의 리드 타임에 영향을 미치는 일련의 과정을 최소화하여 소비자에게 상품을 공급하는 소매점 형태의 패션 브랜드를 뜻하며 소비자 반응, 디자인 트렌드, 시장 환경을 신속히 반영하는 장점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Cho(2013)는 이러한 SPA 브랜드의 전문성을 형성하는 특징으로 빠른 속도, VMD의 파워, 빠른 상품 회전율, 고품질의 상품, 다양한 디자인의 다섯 가지를 설명하고 있다.
소셜 큐레이션에 대하여 다채로운 연구가 진행됨과 동시에 디지털 데이터 분석, 모바일 앱스토어 개발 등의 광범위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오늘날 큐레이션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및 소셜커머스 등의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보다 진화된 방식인 소셜 큐레이션에 관한 다채로운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디지털 데이터 분석, 모바일 앱스토어 개발 등의 광범위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큐레이션의 형식과 규모는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과잉된 콘텐츠가 공급되는 환경에서 인간이 수집·구성하고자 하는 대상에 인간의 질적 판단을 추가하여 명료한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이다(Steven, 2011). 큐레이션의 사례를 정보의 형태에 따라 분류해 보면 이미지, 쇼핑, 뉴스 및 콘텐츠 중심(Lee, 2013) 또는 이미지 및 동영상, 쇼핑, 뉴스 기반(Gao, 2013)으로 세분화하거나 이미지, 쇼핑, 매거진, 기타의 4가지 항목으로의 분류(Jung & Jun, 2013)가 선행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aker, J. L. (1997). Dimension of brand personality.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34(3), 347-356. 

  2. 'BSTI Ranking'. (2015, October 12). Brand Stock. Retrieved October 12, 2015, from http://www.brandstock.co.kr/webdoc/app/doc.php?menu_namebt_2&view_flagY&title_id45&type_id110&term_flagD&term_date20160408 

  3. Cho, J. H. (2013). A study of fashion companies marketing plan of utilizing SNS - Focusing on the SPA(Special retailer of Private label Apparel) brand -. , Korea University, Seoul. 

  4. Choi, J. S., Choi, J. I., Lee, W. H., & Park, H. Y. (2015, March 12). 패션-뷰티 큐레이션을 입다 [Fashion-beauty, wearing curation]. Digieco. Retrieved October 15, 2015, from http://www.digieco.co.kr/KTFront/report/report_issue_trend_view.action?board_seq10026&board_idissue_trend 

  5. Choi, I. H. (2012, August 20). LTE 시대의 콘텐츠 비즈니스 차별화 키워드: 큐레이션 [The keyword of business differentiation in the LTE age]. Digieco. Retrieved October 15, 2015, from http://www.digieco.co.kr/KTFront/report/report_issue_trend_view.action?board_seq7067&board_idissue_trend 

  6. 'Classic fall fashion'. (N.D.). Pinterest. Retrieved November 28, 2015, from https://kr.pinterest.com/pin/566749934336142491/ 

  7. Gao, Y. (2013). A study on user interface design for social curation services of smart phone applic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8. Im, G. H. (2014, December 12). 트위터 제친 인스타그램 [Instagram beyond Twitter]. The Korea Economic Daily. Retrieved October 28, 2015, from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4121139411 

  9. Jang, A. R. (2007). Development of Korean style SPA of fast fashion for consumer needs. Korea Journal of Human Ecology, 16(5), 997-1006. 

  10. Joo, M. Y. (2014). Fashion curation for women in their thirties through online shopp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11. Jung, I. H., & Jun, S. J. (2013). Study in image-based social curation interface improvement to build self identity. Proceedings of Asia Digital Art and Design Association, Winter Conference, Korea, pp. 164-167. 

  12. Kang, Y. S. (2013). A study on the web user interface design of imagebased social network service. Unp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13. Kim, J. H., & Lee, S. Y. (2009). Global SPA brands in the Korean market: The cases of Uniqlo and Zara. International Business Review, 13(4), 271-297. 

  14. Kim, S. A., & Song, J. S. (2015). A study on GUI design of hashtag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S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21(3), 103-114. 

  15. Kim, S. G. (2012). 핀터레스트 완전 정복 [Mastering Pinterest]. Seoul: Cloud books. 

  16. Lee, G. E. (2014). A study on the fashion brand marketing using social media : Focused on the application of Pinterest and Instagram.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17. Lee, H. J. (2013). A study on social curation services: Focused on analyzing content ca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18. Lee, K. M., & Hwang, S. J. (2015). Case analysis on image-based marketing Pinterest of global SPA brands - Focusing on platforms of Uniqlo, Zara and H&M on Pinterest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15(2), 129-146. 

  19. Lee, S. H. (2013). An empirical study on curation service in mobile application stor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oongsil University, Seoul. 

  20. Ma, O. S. (2014). Analysis of affordance effect through case study on mobile curation commerce -With the focus on the theory of Harts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1. Nam, M. J., Kim, J. I., & S, J. H. (2014). A user emotion information measurement using image and text on Instagram-based.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17(9), 1125-1133. doi:10.9717/kmms. 2014.17.9.1125 

  22. Park, B. S. (2014). 글로벌 SNS 이용 현황과 시사점 [Global SNS usage and implications].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 26(2), 23-34. 

  23. Park, S. J., & Cho, S. H. (2015). The influence of Instagram's posts information attributes on acceptable intentions and word of mouth effect : Focusing on college student i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9), 115-128. 

  24. Sasaki, T. (2012). 큐레이션의 시대 [The age of curation]. (S. J. Han, Trans.). Seoul: Minumsa. (Original work published 2011) 

  25. Shim, N. H. (2002). Display terminology dictionary. Seoul: Kukje publishing house. 

  26. Shin, M. H. (2011). The influence of fast fashion value on commitment and repurchase intentions. Korea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24(6), 3505-3523. 

  27. Song, H. J. (2015). UI analysis and design parameter proposal of SNS -Focus on : mobile, Facebook, Twitter, Instagram, Pinterest-.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Anseong. 

  28. Steven, R. (2011). Curation nation (1st ed.). New York: McGraw-Hill Education. 

  29. 'Tngtgram'. (N.D.). Instagram. Retrieved November 28, 2015, from https://www.instagram.com/tngtagram/ 

  30. 'Top 15 most popular social networking sites'. (2015, October). eBizMBA. Retrieved October 14, 2015, from http://www.ebizmba.com/articles/social-networking-websites 

  31. Yang, J. S., & Kwak, H. W. (2010). A study on fabric pattern design of fast fashion -Focusing on the case of Forever21 bran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16(2), 347-355. 

  32. Yun, S. J., Jung, H. I. & Choo, H. J. (2015). Consumer experiences in fitting rooms in SPA stores. Fashion and Textiles. Advance online publication. doi:10.1186/s40691-015-0044-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